중소기업 내에서도 우량업체와 영세업체 사이에 자금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9일 한국은행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중소기업의 부도가 크게 늘고
특히 중견기업인 덕산그룹 등의 부도와 유원건설 자금악화 등의 여파로 은
행들이 대출 심사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은행들은 올들어 사업전망이 좋지 않고 담보력이 빈약한
중소기업 등에 대한 대출을 사실상 전면 동결하고 있는 대신 중소기업 의
무대출 비중을 지키기 위해 우량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금리를 낮추어 주면
서 대출세일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전자,자동차 등 소위 호황을 누리고 있는 업종의 중소기
업을대상으로 은행들이 대출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그러나 신발,섬유.의복,완구,피혁,등의 소위 사양업종 관련 중소업체나
재래시장의 도.소매업체들에 대해서는 대출을 기피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은행권 뿐만 아니라 덕산그룹 부도와 관련,최근 대한투금의 임원 4
명이전격 경질되면서 투금사와 투신사 등 제2금융권에서도 신용도가 약한
중소기업 발행어음 매입을 꺼리고 있어 이들 업체의 자금난은 갈수록 악화
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사업전망이 밝고 담보력이 있는 우량중소기업에 대
해서는 금리를 깎아주면서까지 치열한 대출경쟁을 벌이고 있으나 부실징후
가 있는 영세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은 아예 기피하거나 기존 대출의 환수
작업을 진행중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반은행의 중소기업 의무대출 비중은 시중은행이 전체 은행계정
대출잔액의 45%를 넘어야 하고 지방은행은 70%,외국은행 국내지점은 한국
은행 차입금을 기준으로 25~35% 까지 차등화돼 있다.

중소기업 의무대출비중을 지키지 못할 경우 한은의 총액한도대출 배정규
모가 감소하는 등 여러가지 불이익을 받게 되기 때문에 각 은행들은 어떤
형태로건 이 기준을 지켜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