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사료업체인 부국사료는 요즘 살얼음판의 하루하루를 버텨가고 있다.

대기업은 물론 덩치큰 외국기업들이 중소기업 영역이던 사료시장에 진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비자금만 뒷받침이 돼도 이들과 한판 겨뤄보겠으나 사료가 소비성제품
으로 분류돼 자금조달의 길이 막혀있다.

대기업들이 고형사료를 외상 할인판매등으로 팔고있어 생산 판매계획조차
짜지 못하고 있다.

30년간 부동액을 생산해온 경남유화는 상당한 기술 노하우를 갖췄으나
대기업들의 물량공세로 거래선을 거의 잃고 있다.

이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문닫을수 밖에 없다.

대기업들이 10-20%정도 싼값에 부동액을 공급하자 단골거래선마저 등을
돌리고 있다.

KS제품업체인 동아특수화학의 경우 일본과의 기술제휴를 모색하는 딱한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58개 중소기업고유업종이 고유영역에서 해제된지 한달.

관련 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은 예견된 일이지만 몇몇 업종의 중소업체들이
맞고 있는 오늘의 모습이다.

기협중앙회및 관련조합은 고유업종해제로 10여개 업종의 중소업체들이
경영난에 직면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합사료와 부동액 브레이크액분야는 이미 치명타를 입고 있다.

2조5천억원시장을 60여개 중소기업이 분점하고 있는 배합사료시장은
외국기업마저 군침을 삼키는 분야이다.

태국의 씨피그룹은 서울근교에 사료공장 건설을 추진중이다.

이그룹이 인도네시아 태국에서의 성공경험을 한국에 적용할 경우 사료뿐
아니라 국내 축산업도 시장을 뺏길수 밖에 없다.

세계적인 곡물다국적기업인 콘티넨탈이 국내시장에 참여하고 미국의
퓨리나와 카길도 본격적인 영업을 펼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기업으로는 두산종합식품과 대한제당이 공장추가건설을 추진중이고
농협도 사료생산을 검토중인 것으로 조합은 밝히고 있다.

부동액과 브레이크액을 생산하는 30개 중소업체들은 대기업들의 대량
생산과 할인판매로 대부분이 2년내 문을 닫게 될것으로 걱정하고 있다.

유공 호남정유 경인에너지 쌍용정유등의 움직임에 중소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형광등안정기 김치 장류 페인트 복층유리 싱크대분야등 시장규모가 1천
억원이 넘는 분야에도 대기업의 참여가 구체화되고 있다고 관련조합은
말하고 있다.

형광등안정기의 경우 금성계전과 금호그룹의 금동조명이 내수참여를
추진중이며 금호전기는 수원공장의 라인을 증설해 놓고 있다.

삼성전자도 관계사 두영전자를 통해 이미 안정기를 공급받고 있으며
대우전자 현대전자등도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치 장류는 그동안 줄곧 대기업들이 군침을 삼켜온 업종이다.

연간 1천2백억원 규모인 김치시장에선 제일제당 미원 오뚜기식품이 제품
개발과 공장건립을 추진중이다.

농협과 선경 두산종합식품 풀무원등도 증설을 계획중으로 조합은 밝히고
있다.

간장 된장등 장류는 1천5백억원규모의 시장을 갖고 있다.

두산과 미원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제일
제당과 동방유량등이 신규진출할 움직임이다.

페인트시장은 대기업이 일제히 참여자제를 선언한 분야이긴 하나 시장규모
가 1조2천억원이어서 조선 자동차 건설관련 그룹사의 향후동향에
중소업체들이 관심을 쏟고 있다.

삼성 럭키금성 쌍용 동부화학등이 참여할 가능성이 큰 업체들로 이야기되고
있다.

5백여개 영세업체들이 4천5백억원어치를 팔아온 복층유리는 원재료인
판유리업체가 뛰어들 전망이다.

한국유리 금강유리가 참여할 경우 판유리를 공급받는 중소기업들이 경쟁력
을 상실할 것이 뻔하다.

6천5백억원규모의 싱크대시장에는 가구업체들이 이미 참여했고 가전3사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바로크가구가 자회사를 통해 싱크대를 생산중이고 한양목재 현대종합목재가
생산채비를 서두르는 것으로 조합측은 보고 있다.

흄관과 계면활성제는 원료공급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지퍼의
경우 그동안 내수판매를 제한받아온 한국YKK가 시설투자와 함께 내수판매
확대 가능성을 타진할 것으로 관련조합들은 분석하고 있다.

관련중소기업들은 시장경쟁력확보 차원에서 고유업종을 해제한다는 명분에
밀려 목소리를 낮춘채 별다른 대응책도 없이 대기업들의 움직임만 주시하고
있다.

기협중앙회의 이병균부회장은 "고유업종해제로 대기업과의 경쟁이 불가피
해진 업종에 대해선 자력성장이 가능할 때까지 정부가 자금 기술및 인력
지원을 해주도록 기협차원에서 강력히 요청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