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남북경협에 결정적인 걸림돌이 돼왔던 북한핵문제가 해결의 실마리
를 찾게됨에 따라 재계가 남북경협재개에 대비,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있다.

재계는 16일 북한의 핵사찰수용 결정이 전해지자 통일원등 정부측과 해외
지사망등을 통해 북한측의 진의파악에 나서는한편 긴급대책회의를 잇달아
갖는등 남북경협재개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재계는 일단 남북경협에 있어 가장 큰 관심사인 기업인방북문제는 조만간
풀릴것으로 예상하고있다.

통일원에서 북한의 핵사찰수용과 함께 남북한 동시핵사찰등도 이뤄져야만
기업인방북을 허용할수있다는 기존방침을 바꿔 북한핵문제 해결을 위한 "돌
파구"가 마련될경우 전향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있어 이번 북한
의 핵사찰수용결정으로 기업인방북허용의 전제조건이 어느정도 충족됐기때
문이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변화로 김달현전총리등 기존 대남사업담
당자들이 대폭 교체돼 주로 이들라인을 통해 초청장을 받았던 국내기업들로
서는 새로운대북접촉창구를 개척해 초청장을 새로 받아야만 대북사업을 진
행할수있다는 부담을 안고있다.

이에따라 북한측으로부터 이미 초청장을 받아놓고있는 것으로 알려지고있
는 현대 삼성 럭키금성 대우 선경 롯데 효성 두산 코오롱 동양 한일 진로
미원 고합등 40여개의 기업들은 초청장을 먼저 발급받기위해 치열한 물밑경
쟁을 벌일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재계의 북한지역 관계자들은 먼저 진출지역의 경우 북한측이 가장 중점적
으로 개발을 추진하고있는 나진.선봉지역을 우선적으로 배려할것이며 국내
기업들이 계획하고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도 강화할 것으로 보고있다.

북한측은 남포공단조성사업처럼 한국정부의 승인을 얻지못해 프로젝트가
실행되지 못하게되는 경우를 우려,과거처럼 무차별적으로 국내기업과의 합
작사업에 나서기보다 합작파트너와 합작사업을 엄격히 가려 일종의 "시범사
업"형태로 합작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갖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