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협력사 340여개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단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쌍용차가 제시한 채권 변제율이 상식적이지 않고 공정하지도 못하다"고 호소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쌍용차 상거래 채권단은 26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 '쌍용차의 성공적 인수·합병(M&A) 완수를 위한 상거래 채권단 청원' 제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채권단은 탄원서에서 "인수 예정자로 선정된 KG컨소시엄이 제시한 회생채권에 대한 현금 변제율 6% 및 출자전환을 통한 주식 변제율 30%는 중소 협력사가 감내하기 힘든 수치"라며 "지난번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제시했던 1.75% 변제율보다는 다소 높아졌지만,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상거래 채권단 밑으로는 50명 이하 소규모 2·3차 협력사 약 1천여개가 있다"면서 "상거래 채권단 협력사들은 상식을 벗어난 낮은 변제율로 인해 대출금 상환과 이자 부담에 따른 연쇄 도산을 걱정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회생절차를 무시하고 오로지 상거래 채권단의 회생채권 변제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업체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공정한 기준으로 회생채권이 변제되기를 간절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6천500여억원의 상거래 채권 금액이 동결돼 16만여명(협력사 직원)의 고용과 생계가 위협받는 최악의 경영 환경에서도 협력사들은 연쇄 부도를 스스로 막아왔다"며 "오직 쌍용차 경영 정상화가 이뤄지기를 희망하면서 묵묵히 자재를 납품했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은 또 "상거래 회생채권은 쌍용차 생산을 위해 공급한 자재 대금으로, 협력업체 직원들의 급여와 운영자금으로 쓰일 돈"이라며 "회생채권과 달리 산업은행의 담보채권과 조세채권의 경우 100% 원금 변제뿐 아니라 연체 이자, 납세 지연의 가산금까지 변제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채권단은 아울러 "낮은 변제율로 쌍용차 재매각의 기회가 불발돼 파국으로 가는 사태가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며 "대통령이 산업은행 이자 195억원과 세무 당국의 가산금 35억원 탕감이라는 정책적 결정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채권단은 앞으로 산업은행, 기획재정부, 국무총리실, 국세청에도 같은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상거래 채권단이 낮은 변제율에 반발해 관계인 집회에서 반대표를 던진다면 쌍용차 M&A가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
쌍용차는 이르면 이번주 내 회생채권 변제율이 담긴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관계인 집회에서 회생계획안에 대해 회생담보권자의 4분의 3, 회생채권자의 3분의 2, 주주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법원의 최종 인가를 받을 수 있다.
테슬라 촉발 후 中 자동차기업에 확산…"공급 과잉이 문제" 중국에서 자동차 가격 인하 경쟁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27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작년 말부터 전기자동차에 이어 내연기관차 소비 감소로 궁지에 몰린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할인 경쟁에 나서고 있다. 2017년부터 지속돼온 중국 당국의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보조금 지원과 자동차 구매세 감면 조치가 작년 말로 종료돼 지난 1월부터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중국 내 상당수 자동차기업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모두 생산하는데, 토종업체인 둥펑자동차는 지난 6일부터 둥펑 시트로엥·푸조·닛산·펑선 등의 모델에 최대 9만위안(약 1천700만원)을 할인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둥펑자동차 본사가 있는 후베이성(省) 정부도 자동차 소비 촉진을 지원할 목적으로 신차 구매 때 보조금을 주고 있다. 한때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1위 전기차 판매를 기록한 중국 토종 비야디(BYD)는 지난 10일부터 이달 31일까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쑹(宋) 플러스와 세단 씰 가격을 각각 6천888위안(약 131만원)과 8천888위안(약 169만원) 할인하고 있다. 창안자동차 역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모두 한정된 기간에 할인행사를 하고 있다. 10만2천위안(약 1천930만)인 내연기관차의 경우 4만위안(약 756만원)을 싸게 팔기도 한다. 중국 체리(치루이·奇瑞)자동차는 100억위안 규모의 차 판촉 계획을 발표했다. 베이징 현대자동차와 중국 지리자동차, 상하이자동차(SAIC)도 최근 가격 인하 경쟁에 가세했다. 차이신은 올해 자동차 가격 인하 경쟁은 테슬라가 시작했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지난 1월 6
-네이버 QM6 커뮤니티 회원 대상 진행 -계약 인증 시 3만원 충전권 선착순 증정 대한LPG협회가 중형 LPG 화물 밴 'QM6 퀘스트' 출시를 기념해 구매자를 대상으로 LPG 충전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행사는 4월23일까지 네이버 카페 'QM6 매니아'와 '클럽 르노'에서 참여할 수 있다. 각 온라인 카페 내 이벤트 메뉴에서 QM6 퀘스트 계약서 또는 계약 완료 문자를 게시글을 통해 인증하면 참여 완료된다. 선착순 참여자 총 100명에게 3만원 상당의 LPG 충전권을 증정한다. 또 우수 후기자로 선정된 10명에게는 5만원 상당의 LPG충전권을 추가로 지급할 예정이다. QM6 퀘스트는 1열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실내 공간을 적재함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물형 밴이다. QM6의 안락한 승차감에 충분한 화물 적재까지 가능해 기존 트럭형 차 크기가 부담스러웠던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를 위한 수요 맞춤형 화물차이다. QM6 퀘스트는 환경성, 실용성, 경제성을 감안해 LPG트림만 출시하며 적재 용량 1,413ℓ로 라면 박스 기준 70개까지 수납할 수 있는 넉넉한 공간감을 갖췄다. 최고출력 140마력, 최대토크 19.7㎏.m, 효율은 복합 기준 8.7㎞/ℓ다. 가격은 SE 2,680만원, LE 2,810만원, RE 3,220만원이다. 이와 함께 QM6 퀘스트는 소형 화물차로 분류돼 환경부 'LPG화물차 신차구입 지원사업'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소유 경유차를 폐차하고 QM6 퀘스트를 구매하면 신차구입 보조금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조기폐차 지원 차가 4등급으로 확대돼 4, 5등급 경유차를 조기폐차하고 QM6 퀘스트를 구매하면 조기폐차 지원금 최대 800만원을 더해 9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이호중 대한LPG협회 회장
현대자동차그룹이 오는 31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하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쏘나타 부분변경모델과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9 실차를 처음으로 선보인다.현대차는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현재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함께 우리의 삶에 한층 가까이 다가온 미래 모빌리티를 경험하는 공간'을 콘셉트로 2600㎡ 규모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현대차는 8세대 쏘나타 부분변경모델인 쏘나타 디 엣지,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 아이오닉 6, 더 뉴 아반떼, 캐스퍼, 더 뉴 파비스와 콘셉트카 RN22e, N Vision 74 등 13대를 전시한다.'로봇 개'로 알려진 4족 보행 로봇 '스팟', 배송 로봇 등의 작동도 시연한다.기아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기 위한 기아의 또 하나의 움직임'을 주제로 2400㎡ 규모의 부스를 차린다.기아는 첫 대형 전기 SUV인 EV9 실차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EV6, 디 올 뉴 니로 EV, 니로 플러스 택시용 등 12대를 전시한다.부스에는 EV9과 EV6 GT 주행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체험 공간과 카카오프렌즈와 협업해 꾸민 패밀리커뮤니케이션존도 마련된다.제네시스는 1200㎡ 규모의 부스에서 콘셉트카와 양산차 등 8대를 전시한다.지속 가능한 미래 전기차 디자인 방향성을 보여주는 콘셉트카 'X TRILOGY'(엑스 트릴로지)와 GV60, GV70 EV, G80 EV, G90 롱휠베이스 등을 선보인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