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선 회장, 토레스 쇼케이스 참석…"인수자금 조달 문제없어" 쌍용차 관리인 "내년 하반기 전기 SUV 출시…2년 내 경영 정상화"
쌍용차를 인수하는 KG그룹의 곽재선 회장은 5일 인수 이후 구조조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곽 회장은 이날 오전 인천 영종도 네스트호텔에서 열린 쌍용차 중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 토레스 '미디어 쇼케이스'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인수 이후) 구조조정은 생각하지 않았다"며 "KG의 인수라기보다 제가 쌍용차 회장으로 취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쌍용차 회생계획안이 법원에서 인가되지 않아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곽 회장은 쌍용차 신차 발표회 행사에 직접 참석해 '지원사격'에 나섰다.
곽 회장은 인수 자금 조달 계획과 채권단과의 협의에 대해서는 "별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현대차와 우리는 경쟁사가 아닌 동업자"라며 "쌍용차는 우리나라 안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다.
현대차가 큰 형님이라면 (쌍용차도) 해외 진출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 회장은 무대에 올라 인사말을 통해 "쌍용차 인수를 하게 된 마음가짐은 사명감을 뛰어넘는 소명감"이라고 언급했다.
곽 회장은 "많은 행사에 가지만 오늘같이 가슴 설레고 뜨거운 날이 없었다"며 "쌍용차가 제 인생에서 마지막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영자의 시간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은 3가지의 존재 이유가 있다"면서 "첫째는 좋은 제품 만들어 세상에 가치 있는 일을 하는 것, 둘째는 기업 구성원들을 위해 삶의 터전을 만드는 것, 셋째는 투자자에게 신뢰로 보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쌍용차는 이 3가지가 다 조금씩 부족했음을 인정해야 한다.
힘을 합쳐 삼발이를 지탱하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곽 회장은 "지금까지 잘해왔듯이 쌍용차도 반드시 멋진 회사로 다시 태어날 것을 약속드린다"며 "삼발이 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운영하는 주방장이 되겠다.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서 세상에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쇼케이스에는 쌍용차 기업회생절차를 총괄하는 정용원 관리인도 참석했다.
회생절차 기간 정 관리인이 언론 행사에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 관리인은 "회사 내부적으로 고객이 쌍용차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치열하게 분석하고 논쟁했다"며 "답은 쌍용차 정체성을 되찾자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토레스를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 중형급 SUV 전기차를 출시할 것"이라며 "2024년 중반에는 대한민국의 국민 가슴에 남아있는 코란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R 10'을, 2024년 하반기에는 대한민국 어떤 자동차 회사도 도전하지 않았던 전기 픽업을 출시하겠다"고 소개했다.
정 관리인은 "마힌드라 인수 이후 10여년간 몇 가지 모델을 개발해 시장에 출시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았다"며 "향후 2년 이내 쌍용차는 옛 SUV 명가 지위를 회복하고 경영정상화를 이룰 것"이라고 공언했다.
상하이서 '기아 EV데이' 행사…올해 중국서 양산차 출시 예정 기아가 올해 두번째 전용 전기차 EV9 출시를 앞둔 데 이어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내놓을 예정이다. 기아는 20일 중국 상하이 E-스포츠 문화센터에서 중국 미디어를 대상으로 '기아 EV(전기차) 데이' 행사를 열고 준중형 전동화 SUV '콘셉트 EV5'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기아는 콘셉트 EV5를 기반으로 한 양산차를 올해 중국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실제 양산되면 EV6와 EV9에 이은 기아의 세번째 전용 전기차가 될 전망이다. 현지 업체들이 장악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디자인과 공간 활용성, 품질 등의 차별성을 성공적으로 부각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콘셉트 EV5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5개 방향성 중 하나인 '볼드 포 네이처'(Bold for Nature,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를 적용해 강인하고 대담한 외관을 구현했다고 기아는 설명했다. 콘셉트 EV5의 외관은 상위 차급인 대형 SUV EV9이 보여준 최근 디자인의 맥을 잇고 있다. 전면부는 별자리에서 영감을 받은 스타맵 시그니처 램프 디자인을 적용했고, 깔끔함과 견고함을 강조한 새로운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도 선보였다. 여기에 강인한 느낌의 후드와 미래지향적 이미지의 범퍼를 결합해 당당한 외관을 연출했다고 기아는 설명했다. 측면부는 박스형 실루엣으로 역동성을 강조했고, 측면 디지털 램프와 다이아몬드 커팅 21인치 휠, 에어로 스포일러 등으로 기아 전동화 SUV의 디자인 정체성을 표현했다. 후면부도 D필러를 과감히 후방으로 옮겨 박스형 실루엣을 연출했고, 전면부와 조화를 이루는 리어램
기아가 국내 첫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9'을 선보인 데 이어 준중형 전기 SUV 'EV5 콘셉트'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기아는 20일 중국 상하이 E-스포츠 문화센터에서 열린 '기아 EV 데이'에서 준중형 전동화 SUV EV5의 콘셉트 모델을 선보였다.콘셉트 EV5는 미래지향적 스타일과 경계를 허무는 실내공간을 통해 기아가 제시하는 모빌리티 라이프의 비전을 형상화한 모델이다. 기아는 올해 중국 시장에서 콘셉트 EV5에 기반한 양산차를 출시해 부진을 겪는 중국 시장에서 전기차로 활로를 뚫을 계획이다.콘셉트 EV5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방향성 중 하나인 '볼드 포 네이처(Bold for Nature,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를 적용해 강인하고 대담한 외관을 갖춘 게 특징이다. 실내는 자연과 사람의 공존을 테마로 한 현대적이면서도 독창적인 분위기로 꾸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콘셉트 EV5 전면부는 별자리에서 영감을 받은 스타맵 시그니처 램프 디자인과 깔끔하고 견고함을 강조한 새로운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를 적용했으며, 이와 대비를 이루는 강인한 느낌의 후드와 테크니컬한 범퍼를 결합했다.측면부는 역동적 박스형 실루엣에 탄탄한 느낌의 펜더와 테크니컬한 디자인의 휠 아치가 조화를 이뤘다. 또 감각적인 측면 디지털 램프, 다이아몬드 컷팅 21인치 휠, 에어로 스포일러 등으로 기아 전동화 SUV의 디자인 정체성을 완성했다.후면부는 D필러(차량 후방 창문 기둥)를 더 후방으로 밀어 박스형 실루엣을 연출했으며 리어램프와 넓은 이미지의 테일게이트 디자인을 적용해 전면부와 조화를 이루
현대자동차의 지난해 승용차 평균 가격이 국내와 해외에서 동시에 5000만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해외 레저용 차량(RV) 평균 가격은 6000만원을 처음 돌파했다. 제네시스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급 라인업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한 단계 올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현대차가 생산하는 승용차 라인업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국내 기준 5032만원으로 전년보다 5.7% 높아졌다. 해외에서의 가격 상승 폭은 더 가팔랐다. 지난해 해외 승용차 평균 가격은 5044만원으로 전년보다 18.2% 뛰었다. 2020년 대비 2021년 19.2% 급등한 데 이어 또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기아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가 집중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RV의 해외 평균 가격은 지난해 5090만원으로 2021년보다 12.0% 상승했다. 제네시스, SUV 등 상품성과 수익성이 높은 모델을 중심으로 차량을 출시한 결과다.제네시스는 글로벌 완성차업계의 격전지인 미국에서 출시 6년 만에 주요 프리미엄카로 거듭나고 있다. 미국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제네시스의 현지 2월 평균 가격은 6만2768달러로 전년보다 9.1% 높아졌다. 도요타의 렉서스(5만7387달러), 제너럴모터스(GM)의 GMC(6만1694달러), 닛산의 인피니티(6만1363달러) 등을 모두 앞질렀다.시장조사업체 아이시카스에 따르면 지난달 중형 SUV GV70는 권장소비자가격(MSRP) 대비 웃돈이 가장 많이 붙은(27.5%) 차종으로 꼽히기도 했다. GV80 역시 21.0% 웃돈이 붙어 산업 평균(8.8%)을 훌쩍 뛰어넘었다.올해도 상품성이 높은 고가 차량 판매를 중점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기아는 최근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연 기업설명회에서 “대당 판매 이익이 500만~800만원 수준인데, 판매단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더 개선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