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의 하반기 생산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노조가 임금·단체협상(임단협) 요구안 관철을 위해 파업을 불사하고 나서면서다. 화물연대 파업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노조가 파업에 나설 경우 추가 생산 차질이 예상된다. 출고 적체 심화로 소비자 불편도 뒤따를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파업 수순에 돌입했다. 노조는 지난 22일 임단협 교섭 결렬을 선언한 하루 뒤인 23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 조정신청을 했다. 오는 28일 임시대의원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다음달 1일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중노위가 노사 입장 차이가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결정을 내리고 조합원 투표에서 파업이 가결되면 노조는 합법적 쟁의권을 얻는다.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2018년 이후 4년 만의 파업을 벌이는 것이다. 2019년 이후 지난 3년간 현대차 노사는 파업 없이 임단협을 끝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자동차 업계 위기에 노사가 공감한 결과였다. 실리주의 성향의 이상수 전 노조위원장이 노조 지도부를 이끈 영향도 있었다.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안현호 위원장을 주축으로 한 강성 노조 지도부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생산 차질은 불가피하다. 약 한 주간 이어진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2000대 이상의 생산 차질, 누적 3000억원(추산)의 피해액이 발생한 상황이라 타격이 더 클 전망이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집계한 생산 물량 기준 현대차는 노조 파업으로 연평균 6만3000대의 생산 차질, 1조6000억원의 손실을 냈다. 노조가 올해 파업하면 파업 일수에 따라 피해 규모는 달라지겠지만 손실 자체는 불가피하다. 출고 대란도 지금보다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 투싼, 싼타페 등 인기 모델의 출고 대기기간은 지금도 최대 16개월에 달한다.

앞서 노사는 특히 국내 전기차 공장 건설 관련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노후 공장을 새로 짓든 유휴 부지에 공장을 짓든 이제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사측은 "땅이 없다. 현실성이 없다"며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으로 맞섰다.

이외에도 노조는 기본급 16만52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신규인원 충원, 정년 연장,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지급, 해고자 복직 등을 사측에 요구했다. 노조는 투쟁으로 사측을 압박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서도 사측이 대화할 준비가 되면 교섭 창구는 열려 있다는 입장이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