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지난해 승용차 평균 가격이 국내와 해외에서 동시에 5000만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해외 레저용 차량(RV) 평균 가격은 6000만원을 처음 돌파했다. 제네시스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급 라인업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한 단계 올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현대차가 생산하는 승용차 라인업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국내 기준 5032만원으로 전년보다 5.7% 높아졌다. 해외에서의 가격 상승 폭은 더 가팔랐다. 지난해 해외 승용차 평균 가격은 5044만원으로 전년보다 18.2% 뛰었다. 2020년 대비 2021년 19.2% 급등한 데 이어 또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기아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가 집중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RV의 해외 평균 가격은 지난해 5090만원으로 2021년보다 12.0% 상승했다. 제네시스, SUV 등 상품성과 수익성이 높은 모델을 중심으로 차량을 출시한 결과다.제네시스는 글로벌 완성차업계의 격전지인 미국에서 출시 6년 만에 주요 프리미엄카로 거듭나고 있다. 미국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제네시스의 현지 2월 평균 가격은 6만2768달러로 전년보다 9.1% 높아졌다. 도요타의 렉서스(5만7387달러), 제너럴모터스(GM)의 GMC(6만1694달러), 닛산의 인피니티(6만1363달러) 등을 모두 앞질렀다.시장조사업체 아이시카스에 따르면 지난달 중형 SUV GV70는 권장소비자가격(MSRP) 대비 웃돈이 가장 많이 붙은(27.5%) 차종으로 꼽히기도 했다. GV80 역시 21.0% 웃돈이 붙어 산업 평균(8.8%)을 훌쩍 뛰어넘었다.올해도 상품성이 높은 고가 차량 판매를 중점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기아는 최근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연 기업설명회에서 “대당 판매 이익이 500만~800만원 수준인데, 판매단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더 개선될 것&
기아에서 차량을 4000대 넘게 판매한 '그랜드 마스터'가 또 한 명 탄생했다.기아는 지난 17일 제주 해비치호텔에서 '2023 기아 스타 어워즈' 행사를 열고 지난해 670대를 판매한 상암지점의 이광욱(사진) 선임 오토컨설턴트 등 판매 우수자 151명을 시상했다고 20일 밝혔다.올해 행사에서 판매왕으로 선정된 이 선임은 1995년 기아에 입사해 28년간 판매 일선에서 근무했고 올 초에는 누적 4000대를 판매한 공로로 24번째 '그랜드 마스터'가 됐다.이 선임은 "그동안 영업을 하면서 겪었던 많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조금 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진실된 만남으로 이어간 것이 좋은 결실을 본 것 같다"고 말했다.기아 판매왕 상위 10명에는 이 선임에 이어 △대치갤러리지점 박광주 영업이사 △당진지점 이선주 선임 △전주지점 정태삼 영업이사 △상암지점 장인혁 선임 △상계지점 고상희 선임 △성남지점 신민철 선임 △신구로지점 진유석 선임 △서전주지점 이영록 선임 등이 이름을 올렸다.기아는 '기아 스타 어워즈', '장기판매 명예 포상 제도' 등 다양한 포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스타 어워즈를 통해 최다 판매 1~10위는 '기아 판매왕', 연간 판매 200대 이상은 '기아 슈퍼스타', 연간 120대 이상은 '기아 스타' 칭호를 부여한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아우디·벤틀리·람보르기니 등으로 구성된 독일 아우디그룹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아우디 그룹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16.4% 늘어난 618억유로(약 86조원)를, 영업이익은 40%가량 뛴 76억유로(11조원)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이다.아우디 관계자는 "글로벌 이슈 상황에서 위기 관리 능력과 적절한 가격 책정 정책 때문"이라며 "순수 전기차 인도량 역시 상당수 증가하며 매출에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아우디 그룹은 지난해 아우디 자동차 약 161만대, 벤틀리 자동차 1만5174대, 람보르기니 자동차 9233대, 두카티 오토바이 6만1562대를 소비자에게 전달했다.이중 3년 연속 인도량 기록을 경신한 벤틀리는 전년(1만4659대)보다 3.5% 증가한 1만5174대의 자동차를 인도했다. 영업이익률은 사상 최고치인 20.9%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의 2배 수준인 7억8000만유로를 달성했다.람보르기니는 지난해 전년보다 21.9% 증가한 매출 237만 5000유로를 기록했다. 람보르기니의 영업이익은 6억 1400만유로, 영업이익률은 25.9%를 기록했다.지난해 아우디그룹의 순수 전기차 인도량 역시 늘었다. 지난해 아우디의 순수 전기차 인도량은 전년보다 44% 늘어 11만8196대를 기록했다. 전체 차량 인도량에서 순수 전기차 비율은 2021년 4.8%에서 지난해 7.2%로 늘었다.아우디는 올해 새로운 Q6 e-트론 모델 시리즈를 시작으로 그룹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제품 캠페인에 나선다. Q6 e-트론 모델 시리즈는 PPE(Premium Platform Electric)가 적용된 첫 번째 순수 전기 모델이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