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60 리차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타보니
신형서 '전기주행' 늘리고 마력 올라가
볼보 특유의 부드러운 주행에 힘 더해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노정동 기자.볼보의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XC60 리차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타봤다. 이 차는 2017년 XC60 2세대 출시 이후 지난해 약 4년 만에 선보인 볼보의 신형 XC60의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XC60은 2009년 볼보가 도심형 SUV로 개발한 모델로 지난해까지 전 세계에서 약 168만대를 판매한 볼보의 베스트셀링 차량이다. 국내에서도 볼보의 인기를 주도하고 있는 모델이다.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에서 출발해 경기도 성남에 있는 한 카페까지 왕복 약 65km를 주행했다. 국내에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B5와 B6,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T8 등 3종류의 트림으로 출시됐다. 실제 탑승 차량은 최상위 트림(등급)인 XC6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T8 모델이다. 8단 자동변속기에 상시 사륜구동(AWD)이 적용된 모델이다. 가격은 8570만원이다.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볼보자동차 제공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볼보자동차 제공외관은 기존 XC60 모델과 거의 유사하다. '토르의 망치'로 불리는 LED 헤드라이트를 비롯해 매끄러우면서도 강인한 스타일링을 계승했다. 다만 6가지 작은 변화를 줬다. 전면부에는 3D 형태의 아이언마크를 통합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고, 새 범퍼와 넓은 차체를 강조하는 크롬바가 추가됐다. 전동화를 상징할 수 있도록 내연기관차에 있던 이그조스트 테일 파이프(머플러)를 보이지 않게 마감처리했다. 역동적 차체 비율을 강조하는 새 휠 디자인도 도입됐다.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볼보자동차 제공내부는 북유럽풍의 안락한 디자인을 그대로 따랐다. 드리프트 우드 등 천연 나무 트림과 함께 크리스탈 기어노브, 하이엔드 스피커 바워스&윌킨스의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됐다. 내부에 장착된 12.3인치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부분이 전작 대비 소폭 개선됐다. 차체 크기는 공차중량 2155kg에 4710mm(전장)x1900mm(전폭)x1645mm(전고)로 기아 쏘렌토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휠베이스가 2865mm로 쏘렌토보다 길어 매끈한 느낌을 준다.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볼보자동차 제공주행을 위해 운전석에 앉자 북유럽풍 실내 디자인 특유의 안락한 느낌이 들었다. 개방감은 나쁜 편은 아니지만 경쟁 차량인 제네시스 GV80에 비해선 다소 아쉬웠다.
서울 도심에 들어서자 하이브리드의 장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이번 모델은 XC60 전작 대비 전기 주행거리와 최대 출력 등이 향상됐다. XC60 리차지 PHEV는 기존 모델 대비 배터리 용량이 11.6kWh에서 18.8kWh로 커진 것과 동시에 약 65% 향상된 리어 휠 출력을 제공하는 후면 전기모터가 특징인 롱레인지 배터리가 탑재돼 기존 모델 대비 약 80%가 향상된 최대 57km까지 순수 전기모드로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서울시 승용차 소유주들의 일평균 주행거리 29.2㎞(비사업용 기준)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5가지 주행 모드 중에서 오로지 전기로만 운행되는 '퓨어모드(Pure)'로 설정할 시 추가적인 충전 없이 웬만한 출퇴근 거리를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퓨어모드로 운행하다가 전기 충전량이 다 소진되면 자동 하이브리드 주행모드로 전환됐다.
간선도로에서 속도를 내자 볼보 특유의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주행 질감이 느껴졌다. 가속 구간에서도 군더더기 없이 쾌적하게 달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경쟁 수입차 모델처럼 '파워풀'하거나 '박진감' 있는 주행 성격은 분명 아니다. 개성은 없지만 부족함을 찾기 어려운 주행 질감을 보여줬다.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노정동 기자.이전 모델에 비해 향상된 출력은 기존 모델이 갖고 있던 부드러움에서 힘을 더한 듯 했다. XC60 리차지 PHEV는 기존 모델 대비 50마력 향상된 출력을 제공하는 e-모터가 탑재돼 최고 출력 455마력, 최대 토크 72.3 kg·m 성능을 보유해 브랜드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를 갖고 있다. 다만 상당한 출력을 갖고 있는 T8 파워트레인이 XC60 체급에 과한 측면은 있다. B5 트림에 비해 2400만원가량 비싼데 이 정도면 한 단계 위 체급인 XC90 마일드 하이브리드 가격대다.
스티어링 휠 조향과 조작 감각, 차체 견고함 등이 이전 모델 대비 개선됐다고는 하지만 하체의 반응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가속감이 있는 상태에서 조향은 다소 부담스러웠다. 요철이나, 과속 방지턱 등을 넘을 때는 충격이 기대보다 있는 편이었다. 하지만 이 역시 민감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부족함 없는 수준이다.
볼보자동차 XC60 리차지 PHEV. 노정동 기자.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안에는 국내 운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티맵'과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NUGU), 사용자 취향 기반 음악 플랫폼 플로(FLO) 등이 모두 담겨 있고, 이 모든 기능을 음성 인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주행 중 어떠한 버튼도 만지지 않고 목적지까지 도달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으로 "아리아"를 호출하면 목적지 설정에서부터 실내 및 시트 온도 조절까지 가능했다.
기아 대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셀토스 연식변경 모델(2022년형)은 2019년 7월 출시돼 이제 막 4년차가 됐다.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압도적 판매량으로 시장 1위에 올라서며 소형 SUV계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치열한 소형 SUV 시장에서 '프리미엄화'로 차별화한 게 주효했다. 지난 11일 서울 올림픽대로와 도심 곳곳 약 60km를 주행하며 차의 상품성을 따져봤다. 셀토스는 현재 가솔린 모델만 판매된다. 디젤 모델은 지난해를 끝으로 생산 중단됐다. 트림 구성은 트렌디→프레스티지→시그니처→그래비티 순이다. 시승은 1.6 가솔린 시그니처 트림에 주행보조·안전기능, 선루프 등의 옵션이 적용된 차량으로 진행했다. 인기 비결은 '옵션'에 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전략을 내세울 수밖에 없는 차급 특성상 상품성을 놓치는 경우가 많지만 셀토스는 그렇지 않다. 동급 최고 수준의 첨단 주행보조 기능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보스 스피커 등 소형 SUV에선 흔히 찾아볼 수 없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옵션인만큼 추가시 가격은 올라간다. 소형 SUV를 원하지만 마냥 저렴한 차는 구매하고 싶지 않은 이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 것. 예상 외로 4050 세대 구매 비중이 전체 고객의 절반 수준으로 높은 이유다. 특히 이번 연식변경 모델부터는 고객 선호 사양을 일부 기본화하고 상위 트림에만 적용 가능했던 옵션을 하위 트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보다 합리적인 구매가 가능해졌다. 셀토스는 뚜렷한 개성보다는 무난한 주행감이 장점인 차다. 크기도 소형이라 누구든지 편안하게 몰 수 있다. SUV 특유의 묵직한 안정감보단 경쾌한 주행을 선보인다. 그렇다고 마냥 가벼운 건 아니다. 고속 주행에서 차체가 흔들리는 등의 불안정한 모습은 딱히 보이지 않았다. 이 차는 1.6L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과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DCT) 조합으로 최대 출력 177마력, 최대 토크 27.0kg·m의 동력 성능을 발휘한다. 터보 엔진의 고질적인 문제인 '터보 랙' 현상이 오르막 구간이나 급가속 시 꽤 자주 나타난다. 경사가 가파른 곳에선 웬만하면 몰지 않는 게 좋다. 잠시 정지했다 가속 페달을 밟으면 바퀴가 살짝 헛돌기 때문이다. SUV지만 데일리카, 도심용 차로 더 적합하다. 공인 복합연비는 L당 12.7km다. 실제 주행한 이후 확인한 연비는 13.8km/L가 나왔다. 가다 서기를 반복하는 도심 주행 비율이 높았던 점을 감안하면 효율이 좋았다고 할 수 있다. 외관은 트렌디하면서 멋스럽다. 그렇지만 튀지 않아 크게 호불호가 갈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형 SUV 가운데 실내공간이 넓은 편이라 실용적이다. 성인 4명으로 이뤄진 가족이 앉아도 충분했다. 셀토스 휠베이스(축간거리)는 2630mm로 동급 차종인 현대차 코나(2600mm), 쌍용차 티볼리(2600mm),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2640mm), 르노코리아 XM3(2720mm) 가운데 긴 편에 속한다. 트렁크 용량은 최대 498L다. 실내 인테리어는 깔끔하지만 기어 노브, 아날로그 형태의 클러스터를 보면 2000만원대 모델의 한계도 느껴진다. 10.25인치 센터 디스플레이는 보기 편리하다. 인터페이스는 복잡하지 않아 처음 사용한 사람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열선·통풍 시트도 적용됐다.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만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휴대폰 무선 충전은 옵션으로 제공된다. 올 1~4월 셀토스 판매량은 1만4636대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경쟁 모델인 코나 내연기관 모델(2102대), XM3(5108대), 트레일블레이저(4609대), 티볼리(4946대)와 비교하면 3배에서 많게는 7배까지 더 많이 팔렸다. 가격은 개별소비세 3.5% 적용 기준 △트렌디 1944만원 △프레스티지 2258만원 △시그니처 2469만원 △그래비티 2543만원부터 시작된다. 시그니처 트림에 보스 스피커, 내비게이션 등 옵션이 일부 추가된 시승차 가격은 2923만원이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메르세데스-벤츠의 'GLE 350 e 4MATIC'을 타봤다. 이 차량은 2019년 국내에 출시된 이후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끌어온 벤츠의 프리미엄급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GLE' 라인의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외관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국내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는 차량이다.지난 2일 서울 도심과 경인고속도로 일부 구간 등 왕복 80km를 주행해봤다. 벤츠는 국내에 더 뉴 GLE 350 e 4MATIC과 더 뉴 GLE 350 e 4MATIC 쿠페를 출시했는데 이날 주행에선 더 뉴 GLE 350 e 4MATIC 모델을 탔다. 가격은 부가세 포함 1억1460만원이다.외관은 벤츠 SUV 모델의 전통성을 따랐다. 4930mm에 이르는 긴 전장과 각각 2010mm와 1780mm의 전폭과 전고를 갖췄으며 휠베이스 역시 2995mm에 이른다. 여기에 전동화 파워트레인과 더 뉴 GLE의 추가 기능이 더해져 2655kg의 공차중량을 자랑한다.외관 디자인은 전작 대비 벤츠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욱 강조했다. 날렵한 사격형 형태의 헤드라이트와 넉넉한 크기의 프론트 그릴을 적용해 시선을 끌었다. 더불어 SUV 특유의 스포티한 감성의 바디킷이 차량의 체격을 더욱 선명히 드러내는 듯 했다.측면은 유려하면서도 육중했다. 부드럽고 세련되게 다듬어진 차체와 더불어 큼직한 휠하우스가 고급스러움을 보탰다. 후면 디자인은 최근 벤츠가 내세우고 있는 날렵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고스란히 이어 받은 것은 물론이고 대형 SUV의 감성을 드러내는 볼륨감이 돋보이는 바디킷을 더해 감각적인 느낌을 살렸다.내부는 직선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대시보드 위에 고급스러운 가죽을 입혔다. 이와 함께 독특한 형태를 가진 네 개의 에어밴트 등이 더해져 벤츠 고유한 감성을 보여줬다. 계기판과 센터페시아 상단을 하나의 패널로 구성했다.GLE 350 e 4MATIC의 체격적 여유가 돋보이는 만큼 실내 공간은 넉넉했다. 1열 공간은 SUV의 특성에 맞춰 시트 포지션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헤드룸과 레그룸의 여유는 확실했다. 2열 공간 역시 덩치 큰 성인 3명이 탑승해도 답답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했다. 2열 레그룸과 거주 공간 자체는 우수하며, 시트의 완성도 역시 탁월했다.시동을 걸고 주행을 시작하자 전기 모터 특유의 '위잉~' 소리가 들렸다. 벤츠 GLE 350 e 4MATIC의 거대한 보닛 아래에는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100kW의 전기 모터의 조합이 자리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인 만큼 초반 저속 구간에선 전기 모터만을 사용했다.내연기관에서는 211마력과 35.7kg.m의 토크를 내며, 전기 모터는 100kW의 출력으로 약 136마력과 44.9kg.m의 토크를 선사해 시스템 합산 333마력의 성능을 낸다. 여기에 다단화된 변속기, 4MATIC 시스템이 안정감을 더한다.본격적인 주행을 시작하자 벤츠 SUV 특유의 깔끔하고 우아하게 미끄러지는 듯한 질감이 곧바로 느껴졌다. 특히 벤츠가 자랑하는 '정숙성'은 전기모드에서뿐만 아니라 내연기관을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였다.다만 333마력의 성능은 2655kg의 공차중량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는 다소 부족해 보였다. 실제 주행에서도 치고나가거나 쭉쭉 뻗어나간다는 주행 느낌이 부족해 아쉬운 부분으로 다가왔다. 4기통 엔진의 한계 때문에 RPM을 끌어올릴 때 느껴지는 주행 질감도 상당히 거칠었다.이 차량은 31.2kWh의 배터리 덕분에 약 66km의 거리를 전기의 힘만으로 달릴 수 있다. 주행 모드를 '전기 모드'로 바꾸면 전기 주행 퍼포먼스를 극대화해준다. 이 모드에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만으로 주행하며,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아 전기 모터가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이 요구될 때에만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댐핑 조절 시스템(Adaptive Damping System, ADS)이 포함된 에어매틱(AIRMATIC) 패키지가 탑재돼 노면 상황, 차량 속도 및 하중에 따라 서스펜션을 지능적으로 조절해줬다. 실제 돌들이 울퉁불퉁 튀어나온 흙길을 달릴 때에도 차량이 각 휠을 개별적으로 통제해 편안하고 안락한 주행을 도왔다. 고속 주행 시에도 셀프 레벨링을 통해 차체 레벨을 낮춰 안정적인 조향과 역동적인 드라이빙에 도움을 줬다.스티어링 휠의 무게감이나 조향 상황에서의 조작감 및 반응 속도는 탁월해 누구라도 쉽게 다룰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스티어링 휠 뒤에 암 타입으로 자리한 기어 레버는 직관적으로 느껴지지 않아 조작하기 어렵다고 느껴졌다.예컨대 주차시 스티어링 휠 우측 뒷편에 암 타입으로 자리한 'P'를 버튼 형태로 누른 뒤 운전대 좌측 아래 자리한 전자식 파킹브레이크를 추가로 눌러야 한다. 주행 시에는 반대로 파킹 브레이크를 푼 뒤 암 타입 기어 레버를 아래 쪽으로 내려야 'D(드라이빙)' 모드로 바뀐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올 4월에 전년 동월 대비 117.4% 증가한 총 2만318대의 차량을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이 기간 내수는 2328대가 판매돼 지난해 같은달보다 57.4% 줄었다. 반면 수출은 XM3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1만7990대를 판매하면서 363.8% 급증했다.르노코리아는 "같은 기간 내수 판매는 부품 수급 차질로 인한 생산 지연이 발생하며 전 모델에 걸쳐 시장에 충분한 공급을 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설명했다.국내 시장에서 총 1104대가 판매된 XM3는 RE 트림 이상의 고급 사양 모델 비중이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엔진 타입으로는 실용적 모델로 평가받는 1.6 GTe가 560대로 51%, 뛰어난 연비와 다이내믹한 주행성능을 함께 제공하는 1.3L 가솔린 터보 엔진의 TCe 260 모델이 544대로 49%를 차지했다.부품 수급 차질로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QM6는 847대가 판매됐다. 현재 QM6 출고 대기 고객 수는 약 7300여명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중형 세단 SM6는 4월 한 달간 223대가 판매됐다. 다임러와 공동 개발한 1.3L 가솔린 터보 엔진의 TCe 260 모델이 122대로 전체 SM6 판매의 55%를 차지했다.르노 그룹사 모델인 마스터와 조에는 각각 82대와 72대 등 총 154대의 판매 실적을 거뒀다.4월 수출은 전달의 선적 지연 물량까지 더해지며 크게 늘었다.XM3(수출명 르노 뉴 아르카나)는 1만6267대로 월간 최대 수출 물량을 기록했다. 특히 하이브리드 엔진 모델이 73%인 1만1939대를 차지했다.르노코리아에 따르면 연초부터 올 1분기까지 XM3 유럽 수출은 1만858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5120대)보다 3.6배 늘었다. 이는 르노코리아 1분기 전체 국내 시장 자동차 판매량(1만2659대)보다 많은 것이다.특히 해외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의 인기가 높다. 지난 1분기 유럽에서 XM3 하이브리드는 1만1179대가 팔려 르노그룹 산하 하이브리드차량 중 가장 많이 팔린 하이브리드 모델로 등극했다.XM3 하이브리드는 국내에선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이다.이밖에 지난 4월 QM6(수출명 르노 꼴레오스)는 1615대, 트위지는 108대가 선적됐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