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아의 신차털기 28회
뉴 렉스턴 스포츠&칸 익스페디션 시승기
뉴 렉스턴 스포츠&칸 익스페디션 시승기

뉴 렉스턴 스포츠&칸. 사진=쌍용차
지난 12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파주 출판도시휴게소까지 왕복 약 70km 구간에서 '뉴 렉스턴 스포츠&칸 익스페디션' 모델을 몰아봤다. 익스페디션 모델은 일반 모델과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에서 차이가 있으며, 주행보조 기능이 기본화 된 특별판 모델이다.
이 차의 강점은 가격 경쟁력. 칸 모델의 가격은 2990만원부터 시작한다. 풀옵션을 해도 4500만원을 넘지 않는다. 쉐보레 콜로라도, 포드 레인저, 지프 글래디에이터 등 경쟁 모델의 가격이 5000만원대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합리적이다.

뉴 렉스턴 스포츠&칸. 사진=신현아 기자
스티어링 휠 조작감은 직전 모델 대비 한층 가벼워지고 민첩해졌다. 이번에 처음으로 적용된 랙 타입 전자식 스티어링 시스템 덕분이다. 핸들 크기 자체는 다소 컸지만 다루기에 부담은 없었다.
속도를 올려보니 그제야 투박한 질감이 느껴졌다. 사륜구동 모드로 바꿨을 땐 확실히 땅에 붙어가는 맛도 있다. 다만 차 무게에 비해 힘이 넉넉한 차는 아니어서 시원한 가속감을 느끼긴 어려웠다. 하지만 답답한 정돈 아니다. 이 차는 퍼포먼스가 향상된 2.2 LET(유로6d) 디젤엔진과 일본 아이신사(社)의 6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최대출력 207마력, 최대 토크 45.0kg·m의 동력성능을 낸다. 이전 모델(187마력·42.8kg.m)보다 각각 8%, 5% 늘었다.

뉴 렉스턴 스포츠&칸. 사진=신현아 기자
반자율주행 기능인 '오토크루즈'는 꽤 적극적이다. 속도를 올릴 땐 안정적으로 가속하지만 감속이 필요할 땐 약간 늦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차로 중앙 유지는 제법 잘 해냈다. 지속적으로 운전자에게 경고를 줘 덩치 큰 차의 차선 이탈 가능성을 미리 차단했다.
이번 연식변경 모델부터는 안전·주행보조 기능이 기존 9가지에서 16가지로 대거 늘었다. 새롭게 적용된 기능은 중앙차선유지보조, 안전하차경고, 안전거리경고 등 7가지다. 이중 후측방 접근충돌방지보조 등 일부 기능은 익스페디션 모델에 기본 적용된다.

뉴 렉스턴 스포츠&칸 실내. 사진=신현아 기자
인포콘 스마트폰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차량 시동부터, 온도 높이기도 가능하다. 물론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이미 수많은 차량에 도입된 기능이지만 국내 픽업 모델 중엔 최초로 렉스턴 스포츠&칸에 들어갔다.
이 밖에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통풍·열선 시트가 들어간다.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무선 충전 시스템도 지원한다. 3차원(3D) 어라운드 뷰 기능은 큰 차 주차 및 좁은 길 운전 부담을 한층 덜어줬다. 스티어링 휠 조작에 따라 주차 가이드라인이 연동되는 기능도 새롭게 적용돼 편리한 주차를 돕는다.

뉴 렉스턴 칸에 신규 적용된 맵인 클러스터. 사진=신현아 기자
이번 연식모델부터 들어간 12.3인치 크기의 디지털 클러스터는 활용도가 높았다. 주행 정보, 크루즈 기능 화면, 내비게이션 등으로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큼직하게 표시된 내비게이션은 주행 편의를 높였다. 스티어링 휠 조작키를 비롯해 센터페시아 공조 장치 버튼은 처음 차량을 접한 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직관적이다.

뉴 렉스턴 스포츠&칸 후면. 사진=신현아 기자
승차감은 오프로드 전용 타이어가 탑재됐던 터라 거친 노면 충격에서 그다지 자유롭진 못했다. 다만 기본형 타이어를 장착하면 일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오프로드 체험이 가능했다면 이 차의 진가를 더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을 듯싶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