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중견 3사 설 자리 '위태'
규제 강화로 시름…'돌파구'도 없다
규제 강화로 시름…'돌파구'도 없다

자동차 업계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시장 점유율 83%(2020년 판매량 기준)를 차지한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한층 승승장구할 전망이다. 자체 전기차 전용 플랫폼까지 구비하고 오는 23일 아이오닉 5를 시작으로 기아 CV, 제네시스 JW 등 전기차 출시에 본격 박차를 가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 등 중견 3사는 전기차 원년 시대를 맞아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3사는 현재까지 별다른 전기차 신차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쌍용차는 전기차 e-모션을 출시할 계획이지만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한국GM과 르노삼성은 본사로부터 전기차 생산 물량을 받지 못했다. 경영 여건도 쉽지 않다. 한국GM은 2018년 군산공장 폐쇄 이후 배정 물량이 줄고 있고, 유동성 위기에 빠진 르노삼성은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르노 조에./ 사진=르노삼성
같은 기간 르노 조에는 840대 팔렸다. 지난해 국내에서 모델 3 한 차종으로 판매량 1만대를 달성한 테슬라와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히 느껴진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강화하면서 중견 3사의 위기감은 더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전날 '온실가스 관리 제도' 이행 실적(2012~2019년)을 공개하고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되는 기준을 확정·공포했다. 이에 따르면 환경부는 2021년 97g/㎞, 2025년 89g/㎞, 2030년 70g/㎞로 단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조여 나갈 방침이다.

지난15일 환경부는 '온실가스 관리 제도' 이행 실적(2012~2019년)을 공개하고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되는 기준을 확정·공포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쌍용차와 르노삼성은 2019년 배출 기준 달성에 실패했다. 과거 초과 달성분을 이월하더라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400억원에 육박하는 과징금을 물어야 할 판이다.
정부 기준을 충족하려면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판매량을 늘려야 하는데 이에 대응할 만한 무기가 없다는 게 문제로 꼽힌다. 쌍용차와 한국GM, 르노삼성은 현재 전기차를 제외하고 수소차, 하이브리드차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중견3사는 자동차 업계가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는 각종 '모빌리티'는 고사하고 당장 이렇다 할 전기차도 없는 상황"이라며 "이대로면 국내 시장에서 현대차·기아와의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라고 예상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