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이귀원 특파원=미중간 무역전쟁 등 국제적 무역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계 신차 판매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둔화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 자동차 시장의 주요 무대인 중국과 미국, 유럽 등에서의 신차 판매가 부진하다는 것이다.

WSJ는 자동차 수요 전망업체인 'LMC 오토모티브'를 인용, 올해 글로벌 신차 판매는 9천700만대에 이를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전년 대비 1.7% 늘어난 수준이라고 전했다. 신차 판매는 2010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해 매년 평균 5% 이상의 성장을 보여왔다.

우선 판매 기준 최대 시장인 중국내 신차 판매는 지난 7월에 작년 동기 대비 5.3% 줄었다. 올해 전체로는 중국에서의 신차 판매가 작년보다 1.2%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2016년엔 13%, 2017년에는 2.1%의 증가세를 보인 바 있다. 중국은 지난해 2천860만대의 신차 판매를 기록했다. 미국도 2016년 1천750만대의 판매로 정점을 찍은 뒤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의 신차 판매는 올해 상반기 2.9% 증가했으나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7%의 증가에 비하면 확연히 둔화한 모습이다.

WSJ은 관세폭탄을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정책이 주요 시장에서의 소비자 심리를 훼손하고 있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최대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적했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고율 관세부과도 비용 및 판매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자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폭탄에 대응해 중국은 미국산 자동차 관련 제품에 대해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 총 40%의 관세를 매기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여부를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EU와 중국 내에서의 자동차 환경규제 강화 움직임도 자동차 업계로서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중을 포함한 글로벌 무역 파트너들 간의 전면적인 무역전쟁 시 자동차 업계를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자동차 및 관련 업계는 최근 잇따라 실적 전망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다임러는 지난 6월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중국의 보복관세를 거론하며 미 앨라배마에서 생산하는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의 판매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포드 자동차는 지난달 중국과 유럽에서 기대 이하의 판매에 올해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인 '콘티넨털 AG'도 지난주 투자자들에게 유럽과 중국에서의 수요 둔화를 지적하며 올해 실적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