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혁신 과학의 파트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
한국 대중에게 이탈리아는 여전히 3F로 알려져 있다. 3F가 무엇인지 아시는지. 대부분 독자는 Fashion(패션), Food(식품), Furniture(가구 및 디자인)를 쉽게 알아맞힐 것이다.
여기에 네 번째 F를 추가하자면 드림카의 상징인 Ferrari(페라리)를 들 수 있겠다. 이탈리아는 페라리뿐 아니라 람보르기니, 마세라티와 같은 럭셔리카로 유명하다. 마세라티를 주한 이탈리아대사관 공관 차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나의 꿈이기도 하다.
이탈리아는 오토바이 브랜드도 유명한데 예를 들면 두카티는 스포티한 취향의 바이커, 베스파는 ‘적당히 역동적인’ 취향을 지닌 바이커의 사랑을 받는다. 그렇다. 한국 대중의 집단적 상상력 속에서 이탈리아는 이런 이미지로 각인돼 있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니다. 이탈리아는 이보다 훨씬 많은 강점이 있다. 그중 하나가 기초과학이다. 이탈리아는 2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 중 14명이 과학 부문 수상자다. 이 이야기를 하면 대부분 사람이 깜짝 놀라곤 한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이탈리아는 천문학과 현대 과학의 아버지인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1942년 최초의 원자로를 건설한 핵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나라가 아닌가.
또 1971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한 과학자 페데리코 파진과 복잡계 연구로 가장 최근인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조르조 파리시도 있다. 며칠 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설립 7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세계 최대 규모 연구소 수장 역시 이탈리아 출신 여성 과학자 파비올라 지안노티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과 이탈리아가 과학 연구에서 상호보완적이라는 사실이다. 이탈리아는 전통적으로 기초과학 부문에 공을 들였다. 이에 비해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5%에 달하는 예산을 연구개발(R&D) 부문에 투자해 첨단 기술, 반도체, 우주·항공 및 인공지능 분야 리더로 거듭났다.
이탈리아는 응용과학 연구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한국 역시 기초과학에 조금만 더 초점을 맞추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이탈리아가 서로의 스승이 되는 등 협력해 좋은 결과를 끌어내기를 바란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2007년 최초로 한·이 과학기술 협력 협정을 맺었으며, 이후 200건 이상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며칠 전엔 토리노대와 한국 기초과학연구원(IBS)이 화학, 물리학, 수학, 신경과학 부문을 아우르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국에 오기 전 근무한 아프리카에는 이런 속담이 있다. “천천히 가고 싶으면 혼자 가고, 멀리 가고 싶으면 함께 가라.” 이야말로 내가 이곳에서 이루고 싶은 바다.
여기에 네 번째 F를 추가하자면 드림카의 상징인 Ferrari(페라리)를 들 수 있겠다. 이탈리아는 페라리뿐 아니라 람보르기니, 마세라티와 같은 럭셔리카로 유명하다. 마세라티를 주한 이탈리아대사관 공관 차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나의 꿈이기도 하다.
이탈리아는 오토바이 브랜드도 유명한데 예를 들면 두카티는 스포티한 취향의 바이커, 베스파는 ‘적당히 역동적인’ 취향을 지닌 바이커의 사랑을 받는다. 그렇다. 한국 대중의 집단적 상상력 속에서 이탈리아는 이런 이미지로 각인돼 있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니다. 이탈리아는 이보다 훨씬 많은 강점이 있다. 그중 하나가 기초과학이다. 이탈리아는 2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 중 14명이 과학 부문 수상자다. 이 이야기를 하면 대부분 사람이 깜짝 놀라곤 한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이탈리아는 천문학과 현대 과학의 아버지인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1942년 최초의 원자로를 건설한 핵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나라가 아닌가.
또 1971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한 과학자 페데리코 파진과 복잡계 연구로 가장 최근인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조르조 파리시도 있다. 며칠 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설립 7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세계 최대 규모 연구소 수장 역시 이탈리아 출신 여성 과학자 파비올라 지안노티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과 이탈리아가 과학 연구에서 상호보완적이라는 사실이다. 이탈리아는 전통적으로 기초과학 부문에 공을 들였다. 이에 비해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5%에 달하는 예산을 연구개발(R&D) 부문에 투자해 첨단 기술, 반도체, 우주·항공 및 인공지능 분야 리더로 거듭났다.
이탈리아는 응용과학 연구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한국 역시 기초과학에 조금만 더 초점을 맞추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이탈리아가 서로의 스승이 되는 등 협력해 좋은 결과를 끌어내기를 바란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2007년 최초로 한·이 과학기술 협력 협정을 맺었으며, 이후 200건 이상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며칠 전엔 토리노대와 한국 기초과학연구원(IBS)이 화학, 물리학, 수학, 신경과학 부문을 아우르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국에 오기 전 근무한 아프리카에는 이런 속담이 있다. “천천히 가고 싶으면 혼자 가고, 멀리 가고 싶으면 함께 가라.” 이야말로 내가 이곳에서 이루고 싶은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