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국채지수 편입…내년부터 90조 해외자금 유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채금리 하락·환율 안정 동시 달성
‘원화채 디스카운트' 해소 기여
‘원화채 디스카운트' 해소 기여
한국 국채의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이 확정됐다. 세계 3대 채권지수인 WGBI는 연기금을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들이 벤치마크로 활용하는 핵심 지수다.
이른바 ‘선진국 국채클럽’인 WGBI 편입에 따라 내년부터 최대 90조원가량의 해외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외환시장 수급 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상대적으로 낮은 국채 위상에서 빚어졌던 ‘원화채 디스카운트’ 현상도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4수’ 도전 끝에 성공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FTSE(파이낸셜타임즈 스톡익스체인지) 러셀은 8일(현지시간) 한국 국채를 내년 11월부터 WGBI에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하반기 정례 시장분류를 공개했다.
FTSE 러셀은 모건스탠리캐피널인터내셔널(MSCI)과 함께 양대 글로벌 지수 제공 업체로 꼽힌다. MSCI가 미국계 펀드들이 주로 추종하는 지수이며, FTSE 러셀은 유럽계 투자 자금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FTSE러셀이 운영하는 인덱스인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즈 글로벌 종합지수, JP모건 신흥국 국채지수와 함께 세계 3대 채권지수로 꼽힌다. 미국·영국·일본·중국 등 25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다. 연기금을 비롯한 초우량 글로벌 투자자들이 벤치마크로 활용하는 지수다. 추종 자금은 3조 달러(약 4039조원)로 추산된다.
한국 국채는 이번에 네 번째 도전 만에 WGBI 편입에 성공했다. 한국은 2022년 9월 편입 전 단계인 관찰 대상국으로 이름을 올린 후 편입 시도가 세 차례 연속 불발됐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 국가 중 WGBI에 편입되지 않은 국가는 한국과 인도뿐이었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500억달러 이상) △국가신용등급(S&P 기준 A-이상·무디스 기준 A3 이상)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통상 관찰 대상국 등재 이후 WGBI 최종 편입까지는 2년가량 소요된다. 한국은 관찰 대상국 지정 때부터 정량적 기준인 국채 발행 규모와 국가신용등급은 모두 충족했지만, 시장 접근성이 발목을 잡았다.
WGBI 편입을 위해선 시장 접근성 레벨을 2단계로 올려야 하지만 한국의 시장 접근성 레벨은 1단계에 머물렀다. FTSE 러셀 측은 그동안 편입 조건으로 △외국인 이자·양도소득세 비과세 시행 △국제예탁결제기구 국채통합계좌 개설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IRC) 폐지 △외환시장 구조개선 등을 요구했다.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WGBI 편입을 위해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했다. 지난 6월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와 클리어스트림의 국채통합계좌가 개통했다. 덕분에 외국인은 국내에 개별 계좌를 개설하지 않고도 ICSD 계좌를 통해 편리하게 한국 국채를 투자할 수 있게 됐다. 외국 금융기관(RFI)의 국내 외환시장 참여를 허용하고, 시장 마감 시간도 영국 런던에 맞춰 지난 7월부터 새벽 2시까지로 연장했다.
당초 시장에선 한국 국채의 WGBI 편입이 내년 3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ICSD 연계와 외환시장 구조개선이 시행된 지 수개월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바클레이즈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도 내년 3월 편입이 유력하다고 봤다.
FTSE 러셀은 “한국 정부가 외환시장 접근성 강화 방안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시장 접근성 수준을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가 그동안 적극적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피드백에 대응해 왔다”며 “편입 결정 후 투자자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예기간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번에 편입이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한국 국채가 WGBI에 편입되면서 국내 시장에 글로벌 유동성이 대거 유입될 전망이다. 기재부와 해외 금융기관은 내년부터 최대 90조원의 해외 자금이 채권 시장으로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1년의 유예기간을 거친 후 자금이 유입된다.
FTSE 러셀은 한국 국채 비중은 국채시장 규모를 감안할 때 전체의 2.2%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WGBI 추종 자금이 3조달러로 추정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660억달러(89조~90원)의 추종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는 뜻이다. WGBI 편입에 따라 유입이 예상되는 90조원은 연간 국고채 순발행 규모에 육박한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WGBI에서 편입 비중이 가장 높은 건 미국 국채로, 41.3%다. 이어 △일본 (10.4%) △중국 (9.9%) △프랑스 (6.8%) △이탈리아 (6.2%) △독일 (5.4%) 등의 순이다. 한국이 WGBI에 편입되면서 미국, 일본, 중국 등 규모가 큰 국가들 위주로 비중이 감소하고,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한국 국채는 WGBI에 편입되자마자 9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WGBI 편입에 따라 외국인의 국고채 투자가 증가하면서 금리 안정 및 외환 수급 개선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게 된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 투자자의 국고채 보유 비중은 20.6%다. 글로벌 채권지수를 추종하는 자산운용사와 연기금 등의 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국제기구와 중앙은행 등 해외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국고채 시장의 외국인 투자자 저변도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기재부는 WGBI 편입에 따라 2026년 말께는 외국인 보유 비중이 27%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채 시장에 해외 투자자금이 들어오면 국채 조달금리가 낮아지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 국채의 위상 때문에 원화 채권에 대한 디스카운트 현상이 발생해 국채 금리가 높았다. WGBI 편입에 따라 채권가격 상승에 따른 금리 인하로 연간 최대 1조1000억원의 이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부와 해외 금융기관의 분석이다.
특히 WGBI 추종 자금은 대부분 패시브 성격이어서 단기 차익을 노린 자금이 아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금 유입이 예상된다. 특정 벤치마크지수 추종을 명시화하고 있는 패시브펀드 등은 지수 편입과 동시에 편입국 자산에 대한 투자가 진행된다.
대규모 해외 자금 유입에 따라 원·달러 환율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 국고채 투자를 위한 원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외환시장 수급이 개선돼 원·달러 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한다. 채권금리 하락 및 원화강세에 따라 코스피 지수 상승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 실제 편입 때까지 유예기간 동안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방안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이른바 ‘선진국 국채클럽’인 WGBI 편입에 따라 내년부터 최대 90조원가량의 해외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외환시장 수급 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상대적으로 낮은 국채 위상에서 빚어졌던 ‘원화채 디스카운트’ 현상도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4수’ 도전 끝에 성공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FTSE(파이낸셜타임즈 스톡익스체인지) 러셀은 8일(현지시간) 한국 국채를 내년 11월부터 WGBI에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하반기 정례 시장분류를 공개했다.
FTSE 러셀은 모건스탠리캐피널인터내셔널(MSCI)과 함께 양대 글로벌 지수 제공 업체로 꼽힌다. MSCI가 미국계 펀드들이 주로 추종하는 지수이며, FTSE 러셀은 유럽계 투자 자금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FTSE러셀이 운영하는 인덱스인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즈 글로벌 종합지수, JP모건 신흥국 국채지수와 함께 세계 3대 채권지수로 꼽힌다. 미국·영국·일본·중국 등 25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다. 연기금을 비롯한 초우량 글로벌 투자자들이 벤치마크로 활용하는 지수다. 추종 자금은 3조 달러(약 4039조원)로 추산된다.
한국 국채는 이번에 네 번째 도전 만에 WGBI 편입에 성공했다. 한국은 2022년 9월 편입 전 단계인 관찰 대상국으로 이름을 올린 후 편입 시도가 세 차례 연속 불발됐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 국가 중 WGBI에 편입되지 않은 국가는 한국과 인도뿐이었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500억달러 이상) △국가신용등급(S&P 기준 A-이상·무디스 기준 A3 이상)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통상 관찰 대상국 등재 이후 WGBI 최종 편입까지는 2년가량 소요된다. 한국은 관찰 대상국 지정 때부터 정량적 기준인 국채 발행 규모와 국가신용등급은 모두 충족했지만, 시장 접근성이 발목을 잡았다.
WGBI 편입을 위해선 시장 접근성 레벨을 2단계로 올려야 하지만 한국의 시장 접근성 레벨은 1단계에 머물렀다. FTSE 러셀 측은 그동안 편입 조건으로 △외국인 이자·양도소득세 비과세 시행 △국제예탁결제기구 국채통합계좌 개설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IRC) 폐지 △외환시장 구조개선 등을 요구했다.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WGBI 편입을 위해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했다. 지난 6월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와 클리어스트림의 국채통합계좌가 개통했다. 덕분에 외국인은 국내에 개별 계좌를 개설하지 않고도 ICSD 계좌를 통해 편리하게 한국 국채를 투자할 수 있게 됐다. 외국 금융기관(RFI)의 국내 외환시장 참여를 허용하고, 시장 마감 시간도 영국 런던에 맞춰 지난 7월부터 새벽 2시까지로 연장했다.
당초 시장에선 한국 국채의 WGBI 편입이 내년 3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ICSD 연계와 외환시장 구조개선이 시행된 지 수개월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바클레이즈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도 내년 3월 편입이 유력하다고 봤다.
FTSE 러셀은 “한국 정부가 외환시장 접근성 강화 방안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시장 접근성 수준을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가 그동안 적극적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피드백에 대응해 왔다”며 “편입 결정 후 투자자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예기간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번에 편입이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한국 국채가 WGBI에 편입되면서 국내 시장에 글로벌 유동성이 대거 유입될 전망이다. 기재부와 해외 금융기관은 내년부터 최대 90조원의 해외 자금이 채권 시장으로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1년의 유예기간을 거친 후 자금이 유입된다.
FTSE 러셀은 한국 국채 비중은 국채시장 규모를 감안할 때 전체의 2.2%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WGBI 추종 자금이 3조달러로 추정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660억달러(89조~90원)의 추종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는 뜻이다. WGBI 편입에 따라 유입이 예상되는 90조원은 연간 국고채 순발행 규모에 육박한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WGBI에서 편입 비중이 가장 높은 건 미국 국채로, 41.3%다. 이어 △일본 (10.4%) △중국 (9.9%) △프랑스 (6.8%) △이탈리아 (6.2%) △독일 (5.4%) 등의 순이다. 한국이 WGBI에 편입되면서 미국, 일본, 중국 등 규모가 큰 국가들 위주로 비중이 감소하고,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한국 국채는 WGBI에 편입되자마자 9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WGBI 편입에 따라 외국인의 국고채 투자가 증가하면서 금리 안정 및 외환 수급 개선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게 된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 투자자의 국고채 보유 비중은 20.6%다. 글로벌 채권지수를 추종하는 자산운용사와 연기금 등의 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국제기구와 중앙은행 등 해외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국고채 시장의 외국인 투자자 저변도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기재부는 WGBI 편입에 따라 2026년 말께는 외국인 보유 비중이 27%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채 시장에 해외 투자자금이 들어오면 국채 조달금리가 낮아지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 국채의 위상 때문에 원화 채권에 대한 디스카운트 현상이 발생해 국채 금리가 높았다. WGBI 편입에 따라 채권가격 상승에 따른 금리 인하로 연간 최대 1조1000억원의 이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부와 해외 금융기관의 분석이다.
특히 WGBI 추종 자금은 대부분 패시브 성격이어서 단기 차익을 노린 자금이 아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금 유입이 예상된다. 특정 벤치마크지수 추종을 명시화하고 있는 패시브펀드 등은 지수 편입과 동시에 편입국 자산에 대한 투자가 진행된다.
대규모 해외 자금 유입에 따라 원·달러 환율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 국고채 투자를 위한 원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외환시장 수급이 개선돼 원·달러 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한다. 채권금리 하락 및 원화강세에 따라 코스피 지수 상승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 실제 편입 때까지 유예기간 동안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방안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