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에서 봐야 영화냐"…부산국제영화제, 놀라운 '행보'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국제 29년 역사 최초로 OTT 영화 개막작 선정
정체성 논란 있지만 "영화관에서 봐야 영화냐"
영화제 측은 OTT와 '공생' 택했다
정체성 논란 있지만 "영화관에서 봐야 영화냐"
영화제 측은 OTT와 '공생' 택했다
팬데믹을 지나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급성장으로 영화계의 침체기는 계속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2일 개막한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부국제)는 OTT와의 '공생'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개막작은 박찬욱 감독이 제작, 각본에 참여한 넷플릭스의 '전, 란'이 선정됐다. 부국제 역사상 OTT 작품이 개막작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 3대 영화제인 칸 영화제는 2017년 넷플릭스 영화인 '옥자'(봉준호 감독)와 '마이어로위츠 이야기'(노아 바움백 감독)을 경쟁 부문에 초청했다가 영화 생태계를 교란에 빠뜨릴 것이라는 프랑스 영화업계의 거센 반발에 부닥쳤다. 결국 칸 영화제는 프랑스 극장에 상영해야만 경쟁 부문 출품이 가능하게 규칙을 제정했다.
2017년을 끝으로 넷플릭스 영화를 볼 수 없는 칸 영화제와 달리 세계 3대 영화제로 불리는 이탈리아 베니스 영화제는 넷플릭스 영화 여러 편을 경쟁 부문에 초청했다.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애플TV+ '코다'가 OTT 최초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세계 영화계에서 변화의 바람은 계속되고 있는 것. 부산국제영화제도 이러한 시류에 동승한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가 전액 투자한 영화 '전, 란'을 개막작으로 선정한 것이다. 하지만 영화제의 상징성을 고려해야 했다는 반발에 부딪혔고 개막작 기자회견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박도신 집행위원장 직무대행은 "개인적으로 '전, 란'을 재미있게 봤고 영화제의 관객들에게 소개하고 싶었다"며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이지만 해볼 만한 모험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완성도 높은 독립영화를 개막작으로 선정해 왔는데 그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며 "OTT인지 아닌지를 떠나 그 기준은 개방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전, 란'을 연출한 김상만 감독은 "넷플릭스 작품이 영화제에 나오면 논란이 생기곤 하는데 이게 과연 문제인가 묻고 싶다"며 "큰 스크린에서 보는 영화만이 좋은 영화인가. 이제는 집에서도 100인치가량의 TV로 영화를 본다. 좋은 영화에 대해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신록은 "넷플릭스를 통해 190개국에 오픈된다는데 여러 나라에서 우리 영화를 사랑해주면 이것 또한 스크린으로 이어지고 극장에 걸리는 영화도 활력을 얻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 란' 외에도 '온스크린' 부문을 통해 다양한 OTT 시리즈 작품이 영화제를 통해 최초 공개됐다. '온스크린'은 2021년 신설된 OTT 시리즈 소개 부문이다. 초창기와 비교했을 때보다 차츰 작품 수도 늘었고, 플랫폼도 다양해졌다.
넷플릭스는 한국 시리즈 '지옥' 시즌2, 일본 시리즈 '이별, 그 뒤에도', 대만 시리즈 '스포트라이트는 나의 것', 노르웨이 다큐멘터리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을 부산에서 공개한다.
티빙의 경우 '좋거나 나쁜 동재', '내가 죽기 일주일 전' 상영은 3분 만에 매진됐다. 디즈니 플러스는 '강남 비-사이드'를 준비해 관객과 만난다. 대중과의 접점 확대를 위해 팝업스토어, 파티 등 행사도 마련했다.
해운대 인근에 자리한 ‘티빙 하이라이트 인 부산 팝업’은 관람객들의 발걸음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총 4층 규모의 콘텐츠 체험존으로 조성된 팝업은 부국제 초청작을 비롯, '환승연애', '선재 업고 튀어', '정년이' 등 작품 속 주요 배경을 그대로 재현하는 한편, 방문객이 작품의 주인공처럼 사진이나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이벤트를 준비해 눈길을 끌었다.
세계적인 OTT 공룡, 넷플릭스의 자본력도 드러났다.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맞은편 KNN 건물에는 '전, 란'과 '지옥' 시즌2 대형 외벽 광고를 내걸었다. 이 건물 1층 카페를 빌려 '넷플릭스 사랑방'이라는 팝업 스토어도 마련해 갤러리, 포토 부스 등을 운영한다.
넷플릭스는 오는 6일 내년 한국 영화 라인업을 발표하는 '넥스트 온 넷플릭스: 2025 한국영화'를 개최한다. 또 넷플릭스 아시아 지역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는 '크리에이티브 아시아 포럼'도 열린다.
넷플릭스 측은 "아시아 최대 규모, 최고 권위의 영화제인 부산영화제에서 넷플릭스 작품을 초청한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영광"이라며 "영화제를 통해 많은 팬이 즐길 수 있는 영화를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부산영화제 측에서 불러주신다면 최선을 다해 좋은 파트너로 계속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영화의전당 야외무대 인근에서 만난 30대 여성은 "꼭 영화관에서 봐야 영화냐"며 "넷플릭스 통해 공개되는 영화도 작품성만 훌륭하다면 영화제에 초대받을 수 있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이어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 친구와도 대중적인 OTT 시리즈 때문에 함께 영화제에 올 수 있어 좋다"고 덧붙였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영화 생태계와 콘텐츠 소비 방식은 이미 변했다"며 "칸과 같이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는 영화제가 있다면 부국제처럼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분석했다.이어 "부국제의 대중친화적 선택은 시대의 흐름을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부연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세계 3대 영화제인 칸 영화제는 2017년 넷플릭스 영화인 '옥자'(봉준호 감독)와 '마이어로위츠 이야기'(노아 바움백 감독)을 경쟁 부문에 초청했다가 영화 생태계를 교란에 빠뜨릴 것이라는 프랑스 영화업계의 거센 반발에 부닥쳤다. 결국 칸 영화제는 프랑스 극장에 상영해야만 경쟁 부문 출품이 가능하게 규칙을 제정했다.
2017년을 끝으로 넷플릭스 영화를 볼 수 없는 칸 영화제와 달리 세계 3대 영화제로 불리는 이탈리아 베니스 영화제는 넷플릭스 영화 여러 편을 경쟁 부문에 초청했다.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애플TV+ '코다'가 OTT 최초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세계 영화계에서 변화의 바람은 계속되고 있는 것. 부산국제영화제도 이러한 시류에 동승한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가 전액 투자한 영화 '전, 란'을 개막작으로 선정한 것이다. 하지만 영화제의 상징성을 고려해야 했다는 반발에 부딪혔고 개막작 기자회견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박도신 집행위원장 직무대행은 "개인적으로 '전, 란'을 재미있게 봤고 영화제의 관객들에게 소개하고 싶었다"며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이지만 해볼 만한 모험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완성도 높은 독립영화를 개막작으로 선정해 왔는데 그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며 "OTT인지 아닌지를 떠나 그 기준은 개방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전, 란'을 연출한 김상만 감독은 "넷플릭스 작품이 영화제에 나오면 논란이 생기곤 하는데 이게 과연 문제인가 묻고 싶다"며 "큰 스크린에서 보는 영화만이 좋은 영화인가. 이제는 집에서도 100인치가량의 TV로 영화를 본다. 좋은 영화에 대해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신록은 "넷플릭스를 통해 190개국에 오픈된다는데 여러 나라에서 우리 영화를 사랑해주면 이것 또한 스크린으로 이어지고 극장에 걸리는 영화도 활력을 얻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 란' 외에도 '온스크린' 부문을 통해 다양한 OTT 시리즈 작품이 영화제를 통해 최초 공개됐다. '온스크린'은 2021년 신설된 OTT 시리즈 소개 부문이다. 초창기와 비교했을 때보다 차츰 작품 수도 늘었고, 플랫폼도 다양해졌다.
넷플릭스는 한국 시리즈 '지옥' 시즌2, 일본 시리즈 '이별, 그 뒤에도', 대만 시리즈 '스포트라이트는 나의 것', 노르웨이 다큐멘터리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을 부산에서 공개한다.
티빙의 경우 '좋거나 나쁜 동재', '내가 죽기 일주일 전' 상영은 3분 만에 매진됐다. 디즈니 플러스는 '강남 비-사이드'를 준비해 관객과 만난다. 대중과의 접점 확대를 위해 팝업스토어, 파티 등 행사도 마련했다.
해운대 인근에 자리한 ‘티빙 하이라이트 인 부산 팝업’은 관람객들의 발걸음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총 4층 규모의 콘텐츠 체험존으로 조성된 팝업은 부국제 초청작을 비롯, '환승연애', '선재 업고 튀어', '정년이' 등 작품 속 주요 배경을 그대로 재현하는 한편, 방문객이 작품의 주인공처럼 사진이나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이벤트를 준비해 눈길을 끌었다.
세계적인 OTT 공룡, 넷플릭스의 자본력도 드러났다.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맞은편 KNN 건물에는 '전, 란'과 '지옥' 시즌2 대형 외벽 광고를 내걸었다. 이 건물 1층 카페를 빌려 '넷플릭스 사랑방'이라는 팝업 스토어도 마련해 갤러리, 포토 부스 등을 운영한다.
넷플릭스는 오는 6일 내년 한국 영화 라인업을 발표하는 '넥스트 온 넷플릭스: 2025 한국영화'를 개최한다. 또 넷플릭스 아시아 지역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는 '크리에이티브 아시아 포럼'도 열린다.
넷플릭스 측은 "아시아 최대 규모, 최고 권위의 영화제인 부산영화제에서 넷플릭스 작품을 초청한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영광"이라며 "영화제를 통해 많은 팬이 즐길 수 있는 영화를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부산영화제 측에서 불러주신다면 최선을 다해 좋은 파트너로 계속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영화의전당 야외무대 인근에서 만난 30대 여성은 "꼭 영화관에서 봐야 영화냐"며 "넷플릭스 통해 공개되는 영화도 작품성만 훌륭하다면 영화제에 초대받을 수 있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이어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 친구와도 대중적인 OTT 시리즈 때문에 함께 영화제에 올 수 있어 좋다"고 덧붙였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영화 생태계와 콘텐츠 소비 방식은 이미 변했다"며 "칸과 같이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는 영화제가 있다면 부국제처럼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분석했다.이어 "부국제의 대중친화적 선택은 시대의 흐름을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부연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