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사퇴] 트럼프와 맞대결 '구원등판 유력' 해리스는 누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에 이어 새 기록 도전 눈앞
자메이카·인도계 이민자 딸…어린시절부터 보이지 않는 차별 딛고 美 이인자로
첫 흑인여성 검사·주 법무장관·상원의원 등 유리천장 깨고 '최초' 기록
부통령 재직시 존재감 약해·'카리스마 부족'도 약점…본선 경쟁력 확보가 가장 큰 과제 21일(현지시간) 대선후보직 사퇴 의사를 전격 표명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공개 지지로 카멀라 해리스(59) 부통령이 바통을 이어받아 오는 11월5일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의 '대타'로 구원등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될 경우 해리스 부통령은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 타이틀에 이어 미국의 첫 여성 대통령이자 첫 아시아계 대통령이라는 새로운 기록에 다시 도전하게 된다.
만약 대권을 거머쥘 경우 흑인으로서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가 된다.
후보 확정시 미국에서 유색인종 여성으로는 최초로 대통령 후보가 되는 해리스 부통령은 그동안 백인과 남성이 주류였던 미국 사회에서 유리천장을 깨고 '최초'의 역사를 써오며 이인자 자리까지 올랐다.
흑인이자 인도계라는 정체성을 지닌 그는 어린 시절부터 겪은 보이지 않는 차별을 딛고 달려온 끝에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직 사퇴라는 급변 사태를 만나 세계 최강국인 미국의 대권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문 앞에 서게 됐다.
후보 확정시 대선이 4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갑작스레 구원등판하게 되는 셈이어서 남은 기간 유세장 피격 후 대세론을 굳히고 있는 맞대결 상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대비 본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게 최대 과제다.
당장 트럼프 전 대통령은 벌써부터 '웃음이 헤픈(Laffin') 카멀라'라는 조롱조의 별명을 붙이며 '미쳤다', '제정신이 아니다'라고 맹공하고 있다.
◇ '흑인·아시아계·여성' 3중 차별 극복하고 대선 후보 '눈앞'
해리스 부통령은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아프리카계 자메이카 이민자 출신 아버지와 인도 이민자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인종적으로 흑인이자 아시아계로 분류된다.
아버지는 스탠퍼드대학 경제학 교수였고 어머니는 캘리포니아대 버클리(UC버클리)에서 암을 연구한 과학자였다.
외할아버지는 인도의 고위 공직자 출신으로 엘리트 집안이었지만, 그는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백인이 대부분인 '화이트 커뮤니티'에서 자라면서 상당한 정체성 혼란을 겪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초등학교 시절엔 당시 인종차별 철폐를 목적으로 한 '버싱'(busing) 정책에 따라 매일 아침 버스에 실려 백인들이 주로 사는 부유한 동네의 초등학교로 등교해야 했다.
버싱이란 학교 내에 흑백 학생들이 섞이도록 흑인 거주지 학군과 백인 거주지 학군 사이에 버스를 이용해 학생들을 서로 상대 학군의 학교로 실어 나르던 정책을 말한다.
부모가 이혼한 뒤 해리스 부통령은 12세 때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로 이주했다.
어머니는 그곳에서 대학 강사이자 병원 연구원으로 취직했는데, 역시 백인이 대부분이고 심지어 프랑스어를 쓰는 지역이어서 소수인종으로서 겪는 소외감이 컸다고 한다.
이런 환경 속에서 혼란을 겪던 해리스가 비로소 안정을 찾은 것은 대학 때부터였다.
백인 위주의 커뮤니티에서 벗어나 흑인 대학에 진학하길 원한 그가 선택한 곳은 워싱턴DC의 흑인 명문대학인 하워드대였다.
흑인 엘리트 학생들로 가득 찬 이곳에서 비로소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는 흑인 혼혈 혈통을 지녔다는 점에서 종종 '여자 오바마'로 불리기도 한다.
그의 정체성에는 인도계 외가의 영향도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2009년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어머니와 외조부를 꼽으며 "어머니는 인도인으로서의 자신의 유산을 매우 자랑스러워했고, 이것을 내게도 가르쳤다"고 말했다.
그의 외조부는 인도에서 미국의 국무장관 격인 직책을 맡았던 고위 관료 출신으로, 해리스 부통령은 어린 시절 정기적으로 인도를 방문해 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눴다.
그는 "할아버지는 매일 아침 해변을 거닐면서 정치, 부패, 정의 등을 놓고 토론하곤 했는데, 이런 모습은 책임감과 정직, 고결함이라는 측면에서 내게 강한 영향을 주었다"고 말했다.
' />
해리스 부통령은 하워드대에서 정치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뒤 캘리포니아대 로스쿨을 거쳐 변호사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1990년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의 지방 검사로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그는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찰청으로 옮겨 담당 사건에서 유죄 선고율을 끌어올리며 검사로서의 역량을 뽐냈고, 2004년 흑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사장에 오른 데 이어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으로 선출됐다.
재선을 거쳐 6년간 주 법무장관을 역임한 뒤 2017년에는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해 선출되면서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
흑인 여성이 연방 상원의원이 된 것도 그가 처음이었다.
이어 2020년에는 55세의 나이에 바이든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낙점된 뒤 대선 승리로 백악관에 입성하면서 또다시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이라는 기록을 썼다.
또 연방 의회에 발을 들인 지 불과 4년 만에 백악관으로 직행하는 기록도 남겼다.
' />
◇ 부통령 재임 기간 지지율·인기 못 높여…경쟁력에 여전히 물음표
해리스 부통령이 미 유권자들에게 처음 얼굴을 각인시킨 것은 2019년 민주당 대선 경선 출마 당시 TV 토론에 나오면서였다.
당시만 해도 20여 명의 후보가 난립하고 바이든은 물론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 쟁쟁한 후보들이 포진해 해리스의 존재감은 미미했으나, 그해 6월 첫 TV 토론에서 송곳 같은 질의로 바이든 당시 후보를 몰아붙이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에도 검사 출신인 해리스의 날카로운 언변은 그의 주요 강점으로 꼽혔다.
또 소수 인종이자 여성으로서 미국의 비주류 사회에 어필한다는 점도 무기다.
하지만 정치인으로서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 못한다는 점은 약점으로 꼽혀왔다.
실제 해리스 부통령은 부통령 재직시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대결에서 밀리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든 후보 사퇴론이 제기된 이후 그동안 당내에서 해리스 대안론에 대해 의견이 모이지 못한 상태였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해 1월 익명의 민주당 의원 십여명이 "해리스 부통령이 재선에 도전할만한 힘과 카리스마, 정치적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 6월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모닝컨설트에 의뢰해 유권자 3천996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승리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4%만이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57%에 달했다.
민주당 지지층 가운데는 그렇다는 답변이 약 59%였지만, 공화당 지지층에서는 13%에 불과했고 무당층에서는 25%만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폴리티코는 최근에도 트럼프 계열 슈퍼팩(정치자금 모금 단체)이 트럼프-해리스 가상 대결 여론조사를 의뢰한 결과, 해리스 부통령의 트럼프 상대 경쟁력이 오히려 바이든 대통령보다 못한 것으로 나왔다고 지난 19일 전했다.
가족으로는 미 헌정사상 첫 '세컨드 젠틀맨'이 된 동갑내기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변호사와 엠호프 변호사가 해리스 부통령과의 결혼 전에 낳은 두 자녀가 있다.
/연합뉴스
자메이카·인도계 이민자 딸…어린시절부터 보이지 않는 차별 딛고 美 이인자로
첫 흑인여성 검사·주 법무장관·상원의원 등 유리천장 깨고 '최초' 기록
부통령 재직시 존재감 약해·'카리스마 부족'도 약점…본선 경쟁력 확보가 가장 큰 과제 21일(현지시간) 대선후보직 사퇴 의사를 전격 표명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공개 지지로 카멀라 해리스(59) 부통령이 바통을 이어받아 오는 11월5일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의 '대타'로 구원등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될 경우 해리스 부통령은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 타이틀에 이어 미국의 첫 여성 대통령이자 첫 아시아계 대통령이라는 새로운 기록에 다시 도전하게 된다.
만약 대권을 거머쥘 경우 흑인으로서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가 된다.
후보 확정시 미국에서 유색인종 여성으로는 최초로 대통령 후보가 되는 해리스 부통령은 그동안 백인과 남성이 주류였던 미국 사회에서 유리천장을 깨고 '최초'의 역사를 써오며 이인자 자리까지 올랐다.
흑인이자 인도계라는 정체성을 지닌 그는 어린 시절부터 겪은 보이지 않는 차별을 딛고 달려온 끝에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직 사퇴라는 급변 사태를 만나 세계 최강국인 미국의 대권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문 앞에 서게 됐다.
후보 확정시 대선이 4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갑작스레 구원등판하게 되는 셈이어서 남은 기간 유세장 피격 후 대세론을 굳히고 있는 맞대결 상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대비 본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게 최대 과제다.
당장 트럼프 전 대통령은 벌써부터 '웃음이 헤픈(Laffin') 카멀라'라는 조롱조의 별명을 붙이며 '미쳤다', '제정신이 아니다'라고 맹공하고 있다.
◇ '흑인·아시아계·여성' 3중 차별 극복하고 대선 후보 '눈앞'
해리스 부통령은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아프리카계 자메이카 이민자 출신 아버지와 인도 이민자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인종적으로 흑인이자 아시아계로 분류된다.
아버지는 스탠퍼드대학 경제학 교수였고 어머니는 캘리포니아대 버클리(UC버클리)에서 암을 연구한 과학자였다.
외할아버지는 인도의 고위 공직자 출신으로 엘리트 집안이었지만, 그는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백인이 대부분인 '화이트 커뮤니티'에서 자라면서 상당한 정체성 혼란을 겪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초등학교 시절엔 당시 인종차별 철폐를 목적으로 한 '버싱'(busing) 정책에 따라 매일 아침 버스에 실려 백인들이 주로 사는 부유한 동네의 초등학교로 등교해야 했다.
버싱이란 학교 내에 흑백 학생들이 섞이도록 흑인 거주지 학군과 백인 거주지 학군 사이에 버스를 이용해 학생들을 서로 상대 학군의 학교로 실어 나르던 정책을 말한다.
부모가 이혼한 뒤 해리스 부통령은 12세 때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로 이주했다.
어머니는 그곳에서 대학 강사이자 병원 연구원으로 취직했는데, 역시 백인이 대부분이고 심지어 프랑스어를 쓰는 지역이어서 소수인종으로서 겪는 소외감이 컸다고 한다.
이런 환경 속에서 혼란을 겪던 해리스가 비로소 안정을 찾은 것은 대학 때부터였다.
백인 위주의 커뮤니티에서 벗어나 흑인 대학에 진학하길 원한 그가 선택한 곳은 워싱턴DC의 흑인 명문대학인 하워드대였다.
흑인 엘리트 학생들로 가득 찬 이곳에서 비로소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는 흑인 혼혈 혈통을 지녔다는 점에서 종종 '여자 오바마'로 불리기도 한다.
그의 정체성에는 인도계 외가의 영향도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2009년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어머니와 외조부를 꼽으며 "어머니는 인도인으로서의 자신의 유산을 매우 자랑스러워했고, 이것을 내게도 가르쳤다"고 말했다.
그의 외조부는 인도에서 미국의 국무장관 격인 직책을 맡았던 고위 관료 출신으로, 해리스 부통령은 어린 시절 정기적으로 인도를 방문해 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눴다.
그는 "할아버지는 매일 아침 해변을 거닐면서 정치, 부패, 정의 등을 놓고 토론하곤 했는데, 이런 모습은 책임감과 정직, 고결함이라는 측면에서 내게 강한 영향을 주었다"고 말했다.
' />
해리스 부통령은 하워드대에서 정치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뒤 캘리포니아대 로스쿨을 거쳐 변호사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1990년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의 지방 검사로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그는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찰청으로 옮겨 담당 사건에서 유죄 선고율을 끌어올리며 검사로서의 역량을 뽐냈고, 2004년 흑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사장에 오른 데 이어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으로 선출됐다.
재선을 거쳐 6년간 주 법무장관을 역임한 뒤 2017년에는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해 선출되면서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
흑인 여성이 연방 상원의원이 된 것도 그가 처음이었다.
이어 2020년에는 55세의 나이에 바이든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낙점된 뒤 대선 승리로 백악관에 입성하면서 또다시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이라는 기록을 썼다.
또 연방 의회에 발을 들인 지 불과 4년 만에 백악관으로 직행하는 기록도 남겼다.
' />
◇ 부통령 재임 기간 지지율·인기 못 높여…경쟁력에 여전히 물음표
해리스 부통령이 미 유권자들에게 처음 얼굴을 각인시킨 것은 2019년 민주당 대선 경선 출마 당시 TV 토론에 나오면서였다.
당시만 해도 20여 명의 후보가 난립하고 바이든은 물론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 쟁쟁한 후보들이 포진해 해리스의 존재감은 미미했으나, 그해 6월 첫 TV 토론에서 송곳 같은 질의로 바이든 당시 후보를 몰아붙이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에도 검사 출신인 해리스의 날카로운 언변은 그의 주요 강점으로 꼽혔다.
또 소수 인종이자 여성으로서 미국의 비주류 사회에 어필한다는 점도 무기다.
하지만 정치인으로서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 못한다는 점은 약점으로 꼽혀왔다.
실제 해리스 부통령은 부통령 재직시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대결에서 밀리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든 후보 사퇴론이 제기된 이후 그동안 당내에서 해리스 대안론에 대해 의견이 모이지 못한 상태였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해 1월 익명의 민주당 의원 십여명이 "해리스 부통령이 재선에 도전할만한 힘과 카리스마, 정치적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 6월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모닝컨설트에 의뢰해 유권자 3천996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승리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4%만이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57%에 달했다.
민주당 지지층 가운데는 그렇다는 답변이 약 59%였지만, 공화당 지지층에서는 13%에 불과했고 무당층에서는 25%만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폴리티코는 최근에도 트럼프 계열 슈퍼팩(정치자금 모금 단체)이 트럼프-해리스 가상 대결 여론조사를 의뢰한 결과, 해리스 부통령의 트럼프 상대 경쟁력이 오히려 바이든 대통령보다 못한 것으로 나왔다고 지난 19일 전했다.
가족으로는 미 헌정사상 첫 '세컨드 젠틀맨'이 된 동갑내기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변호사와 엠호프 변호사가 해리스 부통령과의 결혼 전에 낳은 두 자녀가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