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들 "역사를 다시 세워 나가자"
'민주의 들불이여'…전북서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너, 민주의 들불이여. 건지벌의 영원한 넋이여.'
5·18 민주화운동 44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전북대 이세종광장에서 '5·18 최초 희생자' 이세종 열사의 이름이 다시 울려 퍼졌다.

5·18 민주화운동 전북행사위원회(전북위원회)는 이날 5·18 기념식 및 이 열사 추모식을 열고 숭고한 뜻을 기렸다.

이 열사는 5·18의 최초 희생자였다.

전북대 농과대 2학년이던 이 열사는 1980년 5월 17일 대학 학생회관에서 전두환 퇴진과 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농성을 하던 중, 계엄군이 교내로 진입한 다음 날 새벽 학생회관 바깥 바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군부는 이 열사가 도피를 위해 옥상으로 올라간 뒤 보안등에 매달려 있다가 추락했다고 봤고 그간 이 열사는 5·18 관련 유공자로만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 열사가 계엄군의 구타로 추락 전 이미 심각한 수준의 상처를 입었다고 판단, 44년 만에 5·18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했다.

민중 의례와 5·18 경과보고, 기념사,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화공연 등으로 진행된 이날 추모식에서 참석자들은 이 열사의 희생자 인정에 대한 의의를 되새겼다.

심영배 전북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 열사는 긴 세월 '추락자'로 역사의 뒤안길에 묻혔으나 결국 '계엄군의 폭력에 의한 희생'을 인정받았다"며 "우리 사회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전북도민이 맨 앞에서 짊어지고 싸웠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엄숙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이 열사 앞에서 성숙한 민주사회를 위해 전북도민이 협력해 더 좋은 민주주의를 이뤄내자고 결의하고 싶다"며 "다시 한번 숭고한 5·18 정신을 기리자"고 덧붙였다.

'민주의 들불이여'…전북서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이날 행사는 '모두의 오월, 하나 되는 오월'을 주제로 열렸다.

전북 5월 동지회와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전북대 총학생회, 양오봉 전북대 총장,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이 참석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은 그날 항거의 중심이자 희생의 시작이었다"며 "이 열사의 희생자 인정은 우리 전북자치도가 민주화 운동 한가운데 자리했음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은 사람들은 묻힌 진실을 밝히고 역사를 다시 세워 나가고 공정과 정의가 살아있는 세상을 만드는 데 더욱 노력해야 한다"며 "전북자치도가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민주의 들불이여'…전북서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원광대도 이날 오전 창의공과대학 잔디광장 임균수 열사 추모비 앞에서 5·18 유공자인 임 열사를 추모하는 행사를 열었다.

순창 출생인 임 열사는 원광대 한의과대학 본과 2학년에 재학 중 전남도청 앞 시위에 나섰다가 1980년 5월 21일 계엄군 발포로 사망했다.

원광대는 1987년 교내 광장에 임 열사 추모비를 세우고 매년 열사의 넋을 기리고 있다.

'민주의 들불이여'…전북서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추모식 이후에도 사진 전시회와 영화제, 기념식 등이 이어진다.

18∼19일 전북대학교 학술문화관에서는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제3회 5·18 전북영화제'가 다시 열린다.

이 영화제에서는 1980년 5월을 기록한 이조훈 감독의 '송암동'과 김상우 감독의 '김군' 등이 상영된다.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오는 31일까지 이 열사의 유품 및 사진 30여점과 전북의 5·18 사진 전시회가 열린다.

전시회에는 민주화운동 현장을 회고할 수 있도록 이 열사가 사망 당시 입었던 피 묻은 남방과 군용바지 등이 전시된다.

이석환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오월의 가치를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기념사업을 진행한다"며 "이 열사 기념사업은 물론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전북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희생정신을 계승하고 그 정신이 미래 세대에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