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추방 운동하다 산재 사망"…기금 조성돼 노동자들 돕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름다운재단, 노동운동가 故 남현섭씨 이름 붙인 기금 조성
일터에서 손가락 잃고 산재노동자 상담…파쇄기 사고로 숨져 "산재를 당해서 산재 추방 운동을 하다가 산재로 죽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
산재를 누구보다 잘 아는 사람이었어요.
산재가 노동자 개인이 조심한다고 해서 피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주는 증인이었어요.
"
'국제 산업재해 사망·부상 노동자 추모의 날'(4월 28일)을 나흘 앞둔 지난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아름다운재단에서 '남현섭기금' 협약식이 열렸다.
2016년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운동가 고(故) 남현섭 인천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인천산재노협) 사무국장의 이름을 따왔다.
협약식에는 임상혁 녹색병원장 등 고인의 옛 동료와 아름다운재단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고인과 20여년 동안 노동운동을 함께한 김신범(54)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이 산재 피해자의 이야기를 담아 펴낸 책 '고통에 이름을 붙이는 사람들'의 인세 500만원이 기금의 종잣돈이 됐다.
한양대 86학번이었던 남씨는 대학을 중퇴하고 공장으로 향했다.
'학출'(학생운동권 출신 공장노동자)이 치열하게 활동하던 때였으나 김 부소장조차 그가 대학에 진학했다는 사실을 사후에야 알았다.
남씨는 스물다섯 살 때인 1992년 공장 프레스 기계에 오른손이 눌려 손가락 네 개를 잃었다.
산재 피해자가 된 그는 입원한 병원에서 노동법을 공부했다.
퇴원 뒤 남씨는 서울 구로구와 인천의 산재노협 상담부장을 맡아 공단 인근의 병원들을 바쁘게 오가며 다친 노동자의 산재 신청을 도왔다.
김 부소장은 "당시에는 산재 관련 시스템이 미비했고 당사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던 시기였다"며 "노동자들이 스스로 움직여 정보를 주고받던 때 (남씨의) 활동이 큰 힘이 됐다"고 전했다.
1998년 공장에서 왼손가락을 잃은 박영일(47)씨는 입원 중 남씨를 처음 만났다.
"꾀죄죄한 모습으로 와서 산재가 무엇이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열변을 토하더라고요.
한 가지를 알려줘도 정확하게 알려줘야겠다며 계속 공부하던 모습이 기억에 남아요.
항상 웃고 사람들에게 짜증 한번 못 내는 형이었어요.
"
남씨의 꿈은 소박했다.
그는 생전 소식지에 기고한 글에서 "먹고 살 만큼만 일해서 벌고 내 반쪽이랑 신나게 여행도 다니고 욕심 없이 살면서 평생 옥신각신 싸우기도 하며 즐겁게 사는 것이 조그만 소망"이라고 했다.
남씨는 2011년 베트남 여성과 결혼해 두 아이를 낳았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산재노협을 나와 생계 전선에 뛰어들었다.
산재보험 시스템이 점차 자리 잡고 노무사 등 산재 노동자들을 도울 사람이 많아진 것 역시 노동운동을 멈춘 배경이 됐다.
남씨가 사망한 것은 2016년 3월이다.
경기 시흥시의 스티로폼 파쇄업체에 취업한 지 한 달여 만에 파쇄기에 상반신이 끼는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남씨가 숨진 공장은 직원이 그와 공장장 두 명뿐인 영세 사업장이었다.
2008년부터 남씨와 함께 활동한 전지인(44)씨는 그의 죽음에 책임을 지는 이가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현섭이 형이 사망하기 전 파쇄기가 위험하니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안전난간을 설치해달라는 부탁했지만 무시당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사고 당시에도 형 혼자뿐이었고요.
사장은 '단 하나의 잘못도 없다'고 하더라고요.
형의 죽음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이 늘 마음에 있습니다.
"
김 부소장은 중대재해처벌법을 5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중대재해처벌법은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를 일벌백계해 노동자들이 안전할 권리를 요구하도록 돕는 대화의 도구"라며 "정부와 재계가 범법자를 만들지 말라고만 할 게 아니라 영세 사업장이 제대로 산재를 예방할 수 있게끔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현섭기금은 청년 여성 산재 피해자의 회복을 지원하는 등 노동 현장의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산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쓰일 예정이다.
아름다운재단이 노동 영역 기금에 특정인의 이름을 붙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름다운재단은 기금의 취지에 공감하는 시민에게서도 기부받을 계획이다.
김진아 사무총장은 "기금이 산재의 실태를 우리 사회에 알리고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고인이 생전 좋아했던 막걸리 건배로 마무리됐다.
건배사는 "산재 없는 세상"이었다.
/연합뉴스
일터에서 손가락 잃고 산재노동자 상담…파쇄기 사고로 숨져 "산재를 당해서 산재 추방 운동을 하다가 산재로 죽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
산재를 누구보다 잘 아는 사람이었어요.
산재가 노동자 개인이 조심한다고 해서 피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주는 증인이었어요.
"
'국제 산업재해 사망·부상 노동자 추모의 날'(4월 28일)을 나흘 앞둔 지난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아름다운재단에서 '남현섭기금' 협약식이 열렸다.
2016년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운동가 고(故) 남현섭 인천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인천산재노협) 사무국장의 이름을 따왔다.
협약식에는 임상혁 녹색병원장 등 고인의 옛 동료와 아름다운재단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고인과 20여년 동안 노동운동을 함께한 김신범(54)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이 산재 피해자의 이야기를 담아 펴낸 책 '고통에 이름을 붙이는 사람들'의 인세 500만원이 기금의 종잣돈이 됐다.
한양대 86학번이었던 남씨는 대학을 중퇴하고 공장으로 향했다.
'학출'(학생운동권 출신 공장노동자)이 치열하게 활동하던 때였으나 김 부소장조차 그가 대학에 진학했다는 사실을 사후에야 알았다.
남씨는 스물다섯 살 때인 1992년 공장 프레스 기계에 오른손이 눌려 손가락 네 개를 잃었다.
산재 피해자가 된 그는 입원한 병원에서 노동법을 공부했다.
퇴원 뒤 남씨는 서울 구로구와 인천의 산재노협 상담부장을 맡아 공단 인근의 병원들을 바쁘게 오가며 다친 노동자의 산재 신청을 도왔다.
김 부소장은 "당시에는 산재 관련 시스템이 미비했고 당사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던 시기였다"며 "노동자들이 스스로 움직여 정보를 주고받던 때 (남씨의) 활동이 큰 힘이 됐다"고 전했다.
1998년 공장에서 왼손가락을 잃은 박영일(47)씨는 입원 중 남씨를 처음 만났다.
"꾀죄죄한 모습으로 와서 산재가 무엇이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열변을 토하더라고요.
한 가지를 알려줘도 정확하게 알려줘야겠다며 계속 공부하던 모습이 기억에 남아요.
항상 웃고 사람들에게 짜증 한번 못 내는 형이었어요.
"
남씨의 꿈은 소박했다.
그는 생전 소식지에 기고한 글에서 "먹고 살 만큼만 일해서 벌고 내 반쪽이랑 신나게 여행도 다니고 욕심 없이 살면서 평생 옥신각신 싸우기도 하며 즐겁게 사는 것이 조그만 소망"이라고 했다.
남씨는 2011년 베트남 여성과 결혼해 두 아이를 낳았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산재노협을 나와 생계 전선에 뛰어들었다.
산재보험 시스템이 점차 자리 잡고 노무사 등 산재 노동자들을 도울 사람이 많아진 것 역시 노동운동을 멈춘 배경이 됐다.
남씨가 사망한 것은 2016년 3월이다.
경기 시흥시의 스티로폼 파쇄업체에 취업한 지 한 달여 만에 파쇄기에 상반신이 끼는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남씨가 숨진 공장은 직원이 그와 공장장 두 명뿐인 영세 사업장이었다.
2008년부터 남씨와 함께 활동한 전지인(44)씨는 그의 죽음에 책임을 지는 이가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현섭이 형이 사망하기 전 파쇄기가 위험하니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안전난간을 설치해달라는 부탁했지만 무시당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사고 당시에도 형 혼자뿐이었고요.
사장은 '단 하나의 잘못도 없다'고 하더라고요.
형의 죽음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이 늘 마음에 있습니다.
"
김 부소장은 중대재해처벌법을 5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중대재해처벌법은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를 일벌백계해 노동자들이 안전할 권리를 요구하도록 돕는 대화의 도구"라며 "정부와 재계가 범법자를 만들지 말라고만 할 게 아니라 영세 사업장이 제대로 산재를 예방할 수 있게끔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현섭기금은 청년 여성 산재 피해자의 회복을 지원하는 등 노동 현장의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산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쓰일 예정이다.
아름다운재단이 노동 영역 기금에 특정인의 이름을 붙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름다운재단은 기금의 취지에 공감하는 시민에게서도 기부받을 계획이다.
김진아 사무총장은 "기금이 산재의 실태를 우리 사회에 알리고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고인이 생전 좋아했던 막걸리 건배로 마무리됐다.
건배사는 "산재 없는 세상"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