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 디데이' 흔들리는 전공의…"주말에 더 늘어날 수도"(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날 오전까지 294명 복귀…병원마다 전공의 '복귀 문의'도
사직서 내고도 일하는 전공의 80명 달하는 병원도
"유산", "수술 지연 사망" 환자피해 신고에 정부 '즉각대응팀' 파견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인 29일을 맞아 일부 전공의 사이에 환자들 곁으로 돌아오려는 움직임이 조금씩 확산하고 있다.
일부 병원에서는 사직서를 내고도 현장에 남아 환자들을 돌보는 전공의가 수십명에 달해 '실질 복귀자'가 생각보다 많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체감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공백을 메우는 전임의와 교수들의 피로는 나날이 누적되고, 환자들은 극심한 불안에 시달리면서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 정부, 전공의 294명 복귀했다…"문의가 이어진 건 맞다"
병원들이 전공의 복귀 규모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를 꺼리는 가운데, 정부는 전날 오전 11시 기준 전국 주요 수련병원 100곳에서 전공의 294명이 복귀한 것으로 파악했다.
상위 수련병원 50곳의 복귀 규모는 181명이었다.
보건복지부 파악 결과 10명 이상 복귀한 병원은 10곳이었다.
수도권 소재 A병원은 24명, 서울 소재 B병원은 37명이 복귀했으며, 호남권 C병원에서도 66명이 돌아왔다.
전날 밤까지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 규모는 아직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았다.
병원으로 복귀하는 전공의가 조금씩 늘어나면서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전날 경기도의 한 대형병원에는 이탈한 전공의들의 문의 전화가 여러 건 이어졌다.
주로 다른 전공의들이 얼마나 복귀했는지, 제출한 사직서에 대한 행정적인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었다.
수도권의 다른 대형병원도 정부의 '복귀 데드라인' 발표 후 일부 전공의들이 실제 복귀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등을 문의하는 사례가 늘었다.
이 병원 관계자는 "이달 안에 돌아오는 이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발표 후 실제 전공의들의 문의가 이어진 것은 맞다"고 전했다.
현장에서는 사직서를 제출하고도 병원에 나와 일하는 실질적인 복귀자도 상당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의 한 대학병원은 정부에 제출한 전공의 복귀 수는 한 자릿수이지만, 실제로는 사직서를 내고도 근무하는 전공의가 80명가량 된다.
부산대병원도 사직서를 낸 전공의 10여명이 병원에 출근해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경기 고대안산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대전 유성선병원도 사직서를 낸 일부 전공의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 일부 수련병원 "그대로 내달 임용"…서울대병원·세브란스 "이제 돌아오라"
일부 수련병원은 정부의 '최후통첩' 시한에 맞춰 전공의들에 돌아오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송했다.
한 병원은 사직서를 낸 전공의와 인턴 임용 예정자를 대상으로 "보건복지부 지침에 의거해 임용 포기나 사직 관련 서류를 수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3월 1일부로 본원 전공의로 임용 예정임을 알려드린다"는 내용의 문자를 발송했다.
이 문자에는 "임용 포기는 2월 29일까지 복지부 산하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서 인정한 자로, 당해 9월부터 신규 전공의 지원이 가능하다"며 "그러나 3월 이후에 사직하면 익년도 3월 또는 9월부터 신규 전공의 지원이 가능하다"는 내용도 담겼다.
즉, 29일인 이날까지 임용 포기가 인정되지 않아 내달 1일 임용이 그대로 진행되며, 3월 1일 이후에 사직할 경우 최소 1년에서 1년 6개월가량의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린 셈이다.
정부는 병원에 진료유지명령을 내리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수련병원과 계약을 갱신하지 않거나, 수련병원 레지던트 과정에 합격했는데도 계약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진료를 중단하는 행위 등을 금지한 바 있다.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은 각각 병원장이 직접 나서서 전공의들에 복귀를 호소했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과 송정한 분당서울대병원장, 이재협 서울시보라매병원장은 "여러분의 진심은 충분히 전달됐다"며 "대한민국의 많은 환자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돌아와 달라"고 했다.
하종원 세브란스병원장 역시 "전공의 여러분, 이제 병원으로 돌아오셔야 할 때"라고 했고, 박승우 삼성서울병원장도 "이제는 현장으로 돌아오셔서 환자분들과 함께 하기를 청한다"고 했다.
환자단체도 전공의들의 복귀를 누구보다 바라고 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공의는 사직 방식의 집단행동을 이제는 멈추고, 응급·중증환자에게 돌아와 이들이 겪는 불편과 피해, 불안부터 멈추게 해야 한다"며 "전공의가 돌아와 응급·중증환자 곁을 지키는 일에 어떤 조건을 붙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현장서는 "체감할 만한 복귀 아직"…"수술 지연으로 유산" 신고 등 환자 피해 커져
현장에서는 아직 체감할 만한 규모의 복귀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일부 전공의들이 복귀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더러 돌아오고는 있으나 '큰 물결'이라고 부를 만한 움직임은 없다는 얘기다.
서울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뚜렷한 복귀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저희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 아니겠느냐"고 토로했다.
다른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수면 아래서 고민하는 전공의들이 더러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아직 섣부르게 언급할 단계는 아니고 조금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전공의들의 잇단 복귀 소식을 두고 "이날로 수련이 종료되는 최고참 전공의인 레지던트 3, 4년차들이 잠깐 들른 게 아니냐", "병원 내 의무기록 시스템에 잠시 접속한 게 아니냐" 등 불신과 회의가 뒤섞인 반응도 내놓는다.
그러면서도 전공의들이 하나둘 복귀했다는 소식이 확산할수록 더 깊이 고민하는 전공의들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이날 전공의와 박민수 복지부 2차관과의 대화에서 복귀를 위한 '특별한 계기'가 만들어질지도 의료계가 주목하는 부분이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전공의들도 이 상황을 지속해서 끌고 가는 건 적잖은 부담일 것"이라며 "쉽사리 예측하긴 어렵지만 주말이 되면 조금 더 늘어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기대를 내비쳤다.
전공의들의 업무공백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길어지면서 애꿎은 환자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다
'중대 사안'으로 분류돼 정부가 직접 조사에 착수한 사례도 나왔다.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최근 임신부 한명이 이번 사태로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결국 아기를 유산했다는 피해를 신고했다.
이 여성은 "수술할 여력이 없다"는 이유로 진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을 찾다가 결국 유산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석 치료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으나, 전공의 등이 부족해 응급수술이 지연되면서 사망했다는 사례도 중대본에 피해 신고로 접수됐다.
중대본 관계자는 "아기 유산과 투석치료·수술 지연으로 환자가 사망한 사례 두 건은 중대한 사례로 분류해 '즉각대응팀'에서 살피고 있다"며 "두 사례가 첫 조사 대상이고, 사실관계 등을 확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직서 내고도 일하는 전공의 80명 달하는 병원도
"유산", "수술 지연 사망" 환자피해 신고에 정부 '즉각대응팀' 파견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인 29일을 맞아 일부 전공의 사이에 환자들 곁으로 돌아오려는 움직임이 조금씩 확산하고 있다.
일부 병원에서는 사직서를 내고도 현장에 남아 환자들을 돌보는 전공의가 수십명에 달해 '실질 복귀자'가 생각보다 많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체감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공백을 메우는 전임의와 교수들의 피로는 나날이 누적되고, 환자들은 극심한 불안에 시달리면서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 정부, 전공의 294명 복귀했다…"문의가 이어진 건 맞다"
병원들이 전공의 복귀 규모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를 꺼리는 가운데, 정부는 전날 오전 11시 기준 전국 주요 수련병원 100곳에서 전공의 294명이 복귀한 것으로 파악했다.
상위 수련병원 50곳의 복귀 규모는 181명이었다.
보건복지부 파악 결과 10명 이상 복귀한 병원은 10곳이었다.
수도권 소재 A병원은 24명, 서울 소재 B병원은 37명이 복귀했으며, 호남권 C병원에서도 66명이 돌아왔다.
전날 밤까지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 규모는 아직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았다.
병원으로 복귀하는 전공의가 조금씩 늘어나면서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전날 경기도의 한 대형병원에는 이탈한 전공의들의 문의 전화가 여러 건 이어졌다.
주로 다른 전공의들이 얼마나 복귀했는지, 제출한 사직서에 대한 행정적인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었다.
수도권의 다른 대형병원도 정부의 '복귀 데드라인' 발표 후 일부 전공의들이 실제 복귀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등을 문의하는 사례가 늘었다.
이 병원 관계자는 "이달 안에 돌아오는 이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발표 후 실제 전공의들의 문의가 이어진 것은 맞다"고 전했다.
현장에서는 사직서를 제출하고도 병원에 나와 일하는 실질적인 복귀자도 상당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의 한 대학병원은 정부에 제출한 전공의 복귀 수는 한 자릿수이지만, 실제로는 사직서를 내고도 근무하는 전공의가 80명가량 된다.
부산대병원도 사직서를 낸 전공의 10여명이 병원에 출근해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경기 고대안산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대전 유성선병원도 사직서를 낸 일부 전공의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 일부 수련병원 "그대로 내달 임용"…서울대병원·세브란스 "이제 돌아오라"
일부 수련병원은 정부의 '최후통첩' 시한에 맞춰 전공의들에 돌아오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송했다.
한 병원은 사직서를 낸 전공의와 인턴 임용 예정자를 대상으로 "보건복지부 지침에 의거해 임용 포기나 사직 관련 서류를 수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3월 1일부로 본원 전공의로 임용 예정임을 알려드린다"는 내용의 문자를 발송했다.
이 문자에는 "임용 포기는 2월 29일까지 복지부 산하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서 인정한 자로, 당해 9월부터 신규 전공의 지원이 가능하다"며 "그러나 3월 이후에 사직하면 익년도 3월 또는 9월부터 신규 전공의 지원이 가능하다"는 내용도 담겼다.
즉, 29일인 이날까지 임용 포기가 인정되지 않아 내달 1일 임용이 그대로 진행되며, 3월 1일 이후에 사직할 경우 최소 1년에서 1년 6개월가량의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린 셈이다.
정부는 병원에 진료유지명령을 내리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수련병원과 계약을 갱신하지 않거나, 수련병원 레지던트 과정에 합격했는데도 계약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진료를 중단하는 행위 등을 금지한 바 있다.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은 각각 병원장이 직접 나서서 전공의들에 복귀를 호소했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과 송정한 분당서울대병원장, 이재협 서울시보라매병원장은 "여러분의 진심은 충분히 전달됐다"며 "대한민국의 많은 환자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돌아와 달라"고 했다.
하종원 세브란스병원장 역시 "전공의 여러분, 이제 병원으로 돌아오셔야 할 때"라고 했고, 박승우 삼성서울병원장도 "이제는 현장으로 돌아오셔서 환자분들과 함께 하기를 청한다"고 했다.
환자단체도 전공의들의 복귀를 누구보다 바라고 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공의는 사직 방식의 집단행동을 이제는 멈추고, 응급·중증환자에게 돌아와 이들이 겪는 불편과 피해, 불안부터 멈추게 해야 한다"며 "전공의가 돌아와 응급·중증환자 곁을 지키는 일에 어떤 조건을 붙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현장서는 "체감할 만한 복귀 아직"…"수술 지연으로 유산" 신고 등 환자 피해 커져
현장에서는 아직 체감할 만한 규모의 복귀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일부 전공의들이 복귀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더러 돌아오고는 있으나 '큰 물결'이라고 부를 만한 움직임은 없다는 얘기다.
서울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뚜렷한 복귀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저희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 아니겠느냐"고 토로했다.
다른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수면 아래서 고민하는 전공의들이 더러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아직 섣부르게 언급할 단계는 아니고 조금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전공의들의 잇단 복귀 소식을 두고 "이날로 수련이 종료되는 최고참 전공의인 레지던트 3, 4년차들이 잠깐 들른 게 아니냐", "병원 내 의무기록 시스템에 잠시 접속한 게 아니냐" 등 불신과 회의가 뒤섞인 반응도 내놓는다.
그러면서도 전공의들이 하나둘 복귀했다는 소식이 확산할수록 더 깊이 고민하는 전공의들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이날 전공의와 박민수 복지부 2차관과의 대화에서 복귀를 위한 '특별한 계기'가 만들어질지도 의료계가 주목하는 부분이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전공의들도 이 상황을 지속해서 끌고 가는 건 적잖은 부담일 것"이라며 "쉽사리 예측하긴 어렵지만 주말이 되면 조금 더 늘어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기대를 내비쳤다.
전공의들의 업무공백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길어지면서 애꿎은 환자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다
'중대 사안'으로 분류돼 정부가 직접 조사에 착수한 사례도 나왔다.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최근 임신부 한명이 이번 사태로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결국 아기를 유산했다는 피해를 신고했다.
이 여성은 "수술할 여력이 없다"는 이유로 진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을 찾다가 결국 유산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석 치료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으나, 전공의 등이 부족해 응급수술이 지연되면서 사망했다는 사례도 중대본에 피해 신고로 접수됐다.
중대본 관계자는 "아기 유산과 투석치료·수술 지연으로 환자가 사망한 사례 두 건은 중대한 사례로 분류해 '즉각대응팀'에서 살피고 있다"며 "두 사례가 첫 조사 대상이고, 사실관계 등을 확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