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후 타격이냐, 안정적 관리냐…깊어지는 바이든의 이란 딜레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경대응시 중동대혼란 우려…무력충돌 피하자니 대선 국면서 공세 빌미
요르단 주둔 미군 3명이 숨지고 40명 이상이 다친 지난 27일(현지시간)의 친이란 무장세력 드론 공격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이란 딜레마'가 깊어지고 있다.
대선 캠페인에 본격 나서자마자 진퇴양난의 심각한 안보 난제가 불거진 형국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사태 발발 다음날인 28일 보복 조치를 예고한 데 이어 30일 현재까지 취할 조치와 수위를 놓고 안보팀과 장고를 거듭하는 모습이다.
현재까지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방부 등은 이란을 이번 공격의 '포괄적 배후'로 규정한 상태다.
미국 당국자들은 관련 브리핑에서 공격 주체에 대해 '카타이브 헤즈볼라'(이라크내 친이란 무장세력) 등을 거명하면서 '이란이 지원하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번 공격을 이란이 직접 지시했는지 여부는 분명한 판단을 밝히지 않은 채, 이란이 미군을 공격한 반미 민병대를 무장 및 훈련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란의 개입 정도에 대한 미국 정부의 판단은 이처럼 일부 모호한 측면이 있지만 이미 미국 사회의 주된 관심은 중동의 최대 반미 세력인 이란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가 어떤 대응을 할지에 쏠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고민은 11월 대통령 선거와 긴밀히 연계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대결이 유력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강경파들은 바이든 행정부 첫 해인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굴욕적 철군을 '원죄'로 규정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우유부단한' 안보정책이 우크라이나전쟁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에도 영향을 줬다는 주장을 펴왔다.
이런 배경 속에 바이든 대통령이 이슬람권에서 미군이 피를 흘린 이번 사안에서 유약한 대응을 할 경우 대외정책 전반에서 야권에 공세의 빌미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란과의 무력 충돌에 나서는 것은 엄청난 후폭풍을 감당해야 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의 예상이다.
이미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에 예멘 후티 반군을 비롯한 친이란 세력들이 개입하면서 중동 전쟁으로의 확전 문턱에 와 있는 상황에서 확전의 방아쇠를 당기는 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공격에 따른 확전은 이스라엘-하마스간의 장기적 교전중단 및 인질석방 협상을 간접적으로 중재해 온 미국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집권 이후 3년간의 중동 안정화 정책 전반을 뒤흔드는 일이 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결국 대이란 공격이 봉합하려 애써온 전쟁을 확전쪽으로 끌고 갈 경우 그로 인한 중동 상황의 악화는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득표 전략에 마찬가지로 악재가 될 수 있을 전망이다.
그렇지 않아도 개전 이후 바이든 행정부의 강력한 친이스라엘 정책에 반발한 민주당 지지층 일부의 이반 현상이 감지되고 있는 터에 전쟁의 판을 더 키우는 것은 선거 전략상 리스크가 작지 않은 것이다.
더욱이 우크라이나전쟁이 미국 국내의 완연한 '지원 피로 현상' 속에 언제 끝날지 기약이 보이지 않는 상황도 중동 확전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부담을 키우는 대목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 단호한 보복을 시사하는 동시에 '이란과의 전쟁 불원', '중동전쟁으로의 확전 불원' 입장을 밝혀왔다.
이런 가운데, 외신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선택지로 이란 내부에 대한 군사적 타격, 해군 함정 등 이란 영토 밖에 있는 이란 군사 자산이나 이란혁명수비대(IRGC) 요인에 대한 공격, 대이란 고강도 제재 부과, 이란과의 직접 대화 등을 거론하고 있다.
하지만 '확전'을 피하면서 미군 사망에 대해 자국민을 납득시킬 충분한 '보복'을 할 길이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시선도 미국 사회에서 확산하고 있다.
CNN 방송은 30일 "중동에서 미국의 정책은 더 이상 이스라엘-가자 충돌이 더 큰 '지역 전쟁'을 촉발하는 것을 막는 시도로 표현될 수 없다"며 "그 희망은 수주 전에 끝장났다"고 썼다.
그러면서 "미군 병사의 사망에 대한 보복을 검토하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 일은 그 '지역 전쟁'이 통제 불능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대선 캠페인에 본격 나서자마자 진퇴양난의 심각한 안보 난제가 불거진 형국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사태 발발 다음날인 28일 보복 조치를 예고한 데 이어 30일 현재까지 취할 조치와 수위를 놓고 안보팀과 장고를 거듭하는 모습이다.
현재까지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방부 등은 이란을 이번 공격의 '포괄적 배후'로 규정한 상태다.
미국 당국자들은 관련 브리핑에서 공격 주체에 대해 '카타이브 헤즈볼라'(이라크내 친이란 무장세력) 등을 거명하면서 '이란이 지원하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번 공격을 이란이 직접 지시했는지 여부는 분명한 판단을 밝히지 않은 채, 이란이 미군을 공격한 반미 민병대를 무장 및 훈련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란의 개입 정도에 대한 미국 정부의 판단은 이처럼 일부 모호한 측면이 있지만 이미 미국 사회의 주된 관심은 중동의 최대 반미 세력인 이란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가 어떤 대응을 할지에 쏠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고민은 11월 대통령 선거와 긴밀히 연계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대결이 유력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강경파들은 바이든 행정부 첫 해인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굴욕적 철군을 '원죄'로 규정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우유부단한' 안보정책이 우크라이나전쟁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에도 영향을 줬다는 주장을 펴왔다.
이런 배경 속에 바이든 대통령이 이슬람권에서 미군이 피를 흘린 이번 사안에서 유약한 대응을 할 경우 대외정책 전반에서 야권에 공세의 빌미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란과의 무력 충돌에 나서는 것은 엄청난 후폭풍을 감당해야 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의 예상이다.
이미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에 예멘 후티 반군을 비롯한 친이란 세력들이 개입하면서 중동 전쟁으로의 확전 문턱에 와 있는 상황에서 확전의 방아쇠를 당기는 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공격에 따른 확전은 이스라엘-하마스간의 장기적 교전중단 및 인질석방 협상을 간접적으로 중재해 온 미국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집권 이후 3년간의 중동 안정화 정책 전반을 뒤흔드는 일이 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결국 대이란 공격이 봉합하려 애써온 전쟁을 확전쪽으로 끌고 갈 경우 그로 인한 중동 상황의 악화는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득표 전략에 마찬가지로 악재가 될 수 있을 전망이다.
그렇지 않아도 개전 이후 바이든 행정부의 강력한 친이스라엘 정책에 반발한 민주당 지지층 일부의 이반 현상이 감지되고 있는 터에 전쟁의 판을 더 키우는 것은 선거 전략상 리스크가 작지 않은 것이다.
더욱이 우크라이나전쟁이 미국 국내의 완연한 '지원 피로 현상' 속에 언제 끝날지 기약이 보이지 않는 상황도 중동 확전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부담을 키우는 대목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 단호한 보복을 시사하는 동시에 '이란과의 전쟁 불원', '중동전쟁으로의 확전 불원' 입장을 밝혀왔다.
이런 가운데, 외신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선택지로 이란 내부에 대한 군사적 타격, 해군 함정 등 이란 영토 밖에 있는 이란 군사 자산이나 이란혁명수비대(IRGC) 요인에 대한 공격, 대이란 고강도 제재 부과, 이란과의 직접 대화 등을 거론하고 있다.
하지만 '확전'을 피하면서 미군 사망에 대해 자국민을 납득시킬 충분한 '보복'을 할 길이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시선도 미국 사회에서 확산하고 있다.
CNN 방송은 30일 "중동에서 미국의 정책은 더 이상 이스라엘-가자 충돌이 더 큰 '지역 전쟁'을 촉발하는 것을 막는 시도로 표현될 수 없다"며 "그 희망은 수주 전에 끝장났다"고 썼다.
그러면서 "미군 병사의 사망에 대한 보복을 검토하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 일은 그 '지역 전쟁'이 통제 불능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