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업계, 공모펀드 부활 기대감 속 실효성에 의문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TF처럼 '거래 접근성' 높여 시장 활성화 기대
은행 등 오프라인 판매 위축 악화·투자자 상품이해 저하 등 우려도 연내 공모펀드 거래소 상장거래 등을 골자로 하는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에 자산운용업계는 일단 기대감을 표하면서도 실효성에 '물음표'를 찍는 기류도 읽혔다.
금융위원회가 3일 발표한 '공모펀드 경쟁력 제고 방안'은 일반 공모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편리하게 매매하도록 하고, 공모펀드 판매보수의 외부화·다양화를 통해 판매보수 경쟁을 유도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자산운용업계의 오랜 고민이었던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에 당국이 직접 소매를 걷어붙인 건 최근 10여년 새 공모펀드 시장이 눈에 띄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스스로 종목을 선택해 투자하는 직접투자 방식을 선호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늘어난 데다, 펀드시장에서는 그나마 상장지수펀드(ETF)로 수요가 몰리면서 공모펀드 규모는 한층 쪼그라들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공모펀드 전체 설정액은 지난 2010년 197조5천억원에서 작년 9월 기준 315조4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ETF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제외하면 설정액 규모는 같은 기간 127조2천억원에서 100조2천억원으로 되려 줄어든 상태다.
그동안 자산운용사는 수요가 많은 ETF 상품 개발에만 주력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추구했고, 투자자도 상대적으로 가입 절차가 번거롭고 환금성이 낮은 공모펀드 시장에서 이탈해 ETF만 찾으면서 ETF 쏠림 현상은 더욱 강화돼왔다.
이런 상황에서 공모펀드를 사실상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시켜 거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방안이 발표되자 업계는 일단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거래소 상장으로 공모펀드 문제점 중 하나였던 환금성을 개선하면 확실히 고객들의 접근성이 좋아져 공모펀드 시장을 '붐업'하는 효과를 보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라임·옵티머스 사태 등으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생긴 이후 판매사들은 '펀드 팔아 큰돈 벌 것도 아닌데 위험 부담이 크다'며 펀드 판매를 극도로 꺼려왔다"며 "하지만 공모펀드 상장으로 거래 접근성이 좋아지면 분명 ETF에 대한 굉장한 경쟁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특히 판매보수 경쟁 촉진 정책이 오히려 현장에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판매보수가 낮아지면 투자자들로서는 당연히 이롭지만 가장 큰 판매 채널인 은행의 프라이빗 뱅커(PB)로서는 유인이 부족해져 가뜩이나 안 팔리는 펀드 판매에 더욱 소극적일 수 있다"며 "현장에서 PB들에게 어떤 '당근'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공모펀드 상장거래가 추진되면 ETF 시장처럼 운용사 간 운용보수 경쟁도 치열해져 특히 중소형 운용사들의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비용 절감은 투자자들에게 단기적으로 좋을 수 있지만 결국 추가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아 운용력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며 "비용 절감이 최우선으로 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만은 않다"고 지적했다.
그밖에 공모펀드 상장거래로 금융투자업계의 불완전 판매 부담은 덜 수 있겠지만 투자자의 상품 이해도는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과, 오프라인 공모펀드 판매가 더욱 감소하면서 고령층의 금융시장 소외가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이번 방안을 계기로 기존 액티브 ETF 영역에 변화가 생길 것이란 관측도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기초지수와의 상관계수 0.7 요건의 기존 액티브 ETF 상품들 중에 보다 자유롭게 펀드를 운용할 수 있는 공모펀드 영역으로 넘어오려는 수요가 많을 것"이라며 "이번 정책은 기존 공모펀드 시장의 활성화보다는 '울트라 액티브 ETF' 시장을 새로 만드는 개념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은행 등 오프라인 판매 위축 악화·투자자 상품이해 저하 등 우려도 연내 공모펀드 거래소 상장거래 등을 골자로 하는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에 자산운용업계는 일단 기대감을 표하면서도 실효성에 '물음표'를 찍는 기류도 읽혔다.
금융위원회가 3일 발표한 '공모펀드 경쟁력 제고 방안'은 일반 공모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편리하게 매매하도록 하고, 공모펀드 판매보수의 외부화·다양화를 통해 판매보수 경쟁을 유도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자산운용업계의 오랜 고민이었던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에 당국이 직접 소매를 걷어붙인 건 최근 10여년 새 공모펀드 시장이 눈에 띄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스스로 종목을 선택해 투자하는 직접투자 방식을 선호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늘어난 데다, 펀드시장에서는 그나마 상장지수펀드(ETF)로 수요가 몰리면서 공모펀드 규모는 한층 쪼그라들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공모펀드 전체 설정액은 지난 2010년 197조5천억원에서 작년 9월 기준 315조4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ETF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제외하면 설정액 규모는 같은 기간 127조2천억원에서 100조2천억원으로 되려 줄어든 상태다.
그동안 자산운용사는 수요가 많은 ETF 상품 개발에만 주력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추구했고, 투자자도 상대적으로 가입 절차가 번거롭고 환금성이 낮은 공모펀드 시장에서 이탈해 ETF만 찾으면서 ETF 쏠림 현상은 더욱 강화돼왔다.
이런 상황에서 공모펀드를 사실상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시켜 거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방안이 발표되자 업계는 일단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거래소 상장으로 공모펀드 문제점 중 하나였던 환금성을 개선하면 확실히 고객들의 접근성이 좋아져 공모펀드 시장을 '붐업'하는 효과를 보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라임·옵티머스 사태 등으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생긴 이후 판매사들은 '펀드 팔아 큰돈 벌 것도 아닌데 위험 부담이 크다'며 펀드 판매를 극도로 꺼려왔다"며 "하지만 공모펀드 상장으로 거래 접근성이 좋아지면 분명 ETF에 대한 굉장한 경쟁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특히 판매보수 경쟁 촉진 정책이 오히려 현장에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판매보수가 낮아지면 투자자들로서는 당연히 이롭지만 가장 큰 판매 채널인 은행의 프라이빗 뱅커(PB)로서는 유인이 부족해져 가뜩이나 안 팔리는 펀드 판매에 더욱 소극적일 수 있다"며 "현장에서 PB들에게 어떤 '당근'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공모펀드 상장거래가 추진되면 ETF 시장처럼 운용사 간 운용보수 경쟁도 치열해져 특히 중소형 운용사들의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비용 절감은 투자자들에게 단기적으로 좋을 수 있지만 결국 추가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아 운용력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며 "비용 절감이 최우선으로 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만은 않다"고 지적했다.
그밖에 공모펀드 상장거래로 금융투자업계의 불완전 판매 부담은 덜 수 있겠지만 투자자의 상품 이해도는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과, 오프라인 공모펀드 판매가 더욱 감소하면서 고령층의 금융시장 소외가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이번 방안을 계기로 기존 액티브 ETF 영역에 변화가 생길 것이란 관측도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기초지수와의 상관계수 0.7 요건의 기존 액티브 ETF 상품들 중에 보다 자유롭게 펀드를 운용할 수 있는 공모펀드 영역으로 넘어오려는 수요가 많을 것"이라며 "이번 정책은 기존 공모펀드 시장의 활성화보다는 '울트라 액티브 ETF' 시장을 새로 만드는 개념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