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도 안 간다…SKY 미달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와 연세대의 첨단학과가 수시 추가 합격자까지 선발했음에도 결국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2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수시 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로 이월된 인원은 총 337명으로 파악됐다.
최초 합격자로 수시 정원을 채울 수 없어 각각 2차(서울대), 3차(고려대), 4차(연세대)까지 추가 합격자를 발표했지만, 결국 정원을 채우지 못해 337명이 정시로 이월됐다.
3개 학교 수시 선발 인원의 4.9%가 합격자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년보다 19명 늘었다.
서울대는 2.2%(48명), 연세대 9.2%(197명), 고려대 3.5%(92명)를 각각 뽑지 못했다.
수시 미충원 인원은 3개 학교를 통틀어 자연계가 189명으로, 인문계(140명)보다 많았다.
의대는 서울대, 연세대의 경우 미충원 인원이 0명이었으나, 고려대에서 8명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고려대 의대에 등록하지 않은 합격생의 경우 상위권 의대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분석했다.
첨단학과에서도 미충원 인원이 나왔다. 올해 신설된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에서 미충원 인원이 3명 발생했다. 연세대 첨단학과인 인공지능학과도 1명을 뽑지 못했다.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등에서는 미충원 인원이 없었다.
이들 학과는 최초 합격자가 대거 이탈해 추가 합격을 통해서 정원을 채웠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의대, 약대 등으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시 미등록 비율은 지난달 29일 기준 연세대 인공지능 학과 97.4%,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가 72.9%,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95.0%였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미등록 비율은 14.1%였다.
한편 연세대 인문계 융합인문사회과학부(HASS)는 수시 정원의 절반 이상(137명 중 82명·59.9%)을 결국 뽑지 못했다. 연세대 융합과학공학부(ISE)도 39.4%를 뽑지 못했다.
지난해 미등록 비율은 융합인문사회과학부 10.9%, 융합과학공학부 22.5%로 올해보다 적었다.
연세대 융합인문사회과학부와 융합과학공학부는 학생부종합(국제형)으로만 뽑기 때문에 연세대 내 상위권 학과로 빠져나갔을 수 있다고 종로학원은 추정했다.
학생부종합 국제형은 국내 고등학교를 포함, 외국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이나 졸업생, 검정고시 합격생이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이 전형은 영어 면접을 보기 때문에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학생, 외국어고, 국제고 학생들이 유리하다.
연세대 융합학부에서 대거 이탈자가 발생한 점에 대해 종로학원은 명확히 원인을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올해 수능 영어가 어려웠고 송도 캠퍼스라는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봤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90점 이상을 받아야 1등급을 받는데 올해는 영어 1등급 비율이 4.71%로 전년(7.83%)에 비해 줄었다.
또한 융합학부는 연세대 신촌 캠퍼스가 아닌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학교생활을 해야 하므로 개인 취향에 따라 선호도가 갈릴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2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수시 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로 이월된 인원은 총 337명으로 파악됐다.
최초 합격자로 수시 정원을 채울 수 없어 각각 2차(서울대), 3차(고려대), 4차(연세대)까지 추가 합격자를 발표했지만, 결국 정원을 채우지 못해 337명이 정시로 이월됐다.
3개 학교 수시 선발 인원의 4.9%가 합격자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년보다 19명 늘었다.
서울대는 2.2%(48명), 연세대 9.2%(197명), 고려대 3.5%(92명)를 각각 뽑지 못했다.
수시 미충원 인원은 3개 학교를 통틀어 자연계가 189명으로, 인문계(140명)보다 많았다.
의대는 서울대, 연세대의 경우 미충원 인원이 0명이었으나, 고려대에서 8명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고려대 의대에 등록하지 않은 합격생의 경우 상위권 의대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분석했다.
첨단학과에서도 미충원 인원이 나왔다. 올해 신설된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에서 미충원 인원이 3명 발생했다. 연세대 첨단학과인 인공지능학과도 1명을 뽑지 못했다.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등에서는 미충원 인원이 없었다.
이들 학과는 최초 합격자가 대거 이탈해 추가 합격을 통해서 정원을 채웠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의대, 약대 등으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시 미등록 비율은 지난달 29일 기준 연세대 인공지능 학과 97.4%,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가 72.9%,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95.0%였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미등록 비율은 14.1%였다.
한편 연세대 인문계 융합인문사회과학부(HASS)는 수시 정원의 절반 이상(137명 중 82명·59.9%)을 결국 뽑지 못했다. 연세대 융합과학공학부(ISE)도 39.4%를 뽑지 못했다.
지난해 미등록 비율은 융합인문사회과학부 10.9%, 융합과학공학부 22.5%로 올해보다 적었다.
연세대 융합인문사회과학부와 융합과학공학부는 학생부종합(국제형)으로만 뽑기 때문에 연세대 내 상위권 학과로 빠져나갔을 수 있다고 종로학원은 추정했다.
학생부종합 국제형은 국내 고등학교를 포함, 외국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이나 졸업생, 검정고시 합격생이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이 전형은 영어 면접을 보기 때문에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학생, 외국어고, 국제고 학생들이 유리하다.
연세대 융합학부에서 대거 이탈자가 발생한 점에 대해 종로학원은 명확히 원인을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올해 수능 영어가 어려웠고 송도 캠퍼스라는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봤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90점 이상을 받아야 1등급을 받는데 올해는 영어 1등급 비율이 4.71%로 전년(7.83%)에 비해 줄었다.
또한 융합학부는 연세대 신촌 캠퍼스가 아닌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학교생활을 해야 하므로 개인 취향에 따라 선호도가 갈릴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