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전국 570개 제조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중소기업 16%, 부족한 생산·현장직 외국인 채용으로 대응"
중소기업의 16.4%가 생산·현장·특수기능직 인력 부족 문제를 '외국인 채용 증대'로 대응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조사국 지역경제조사팀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기업의 인력수급 현황 설문조사'를 26일 발표했다.

한은은 직종·권역별 인력수급 현황, 기업 노동수요 변동 원인, 기업의 인력수급 불균형 대응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지난달 9∼30일 전국 57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314개 업체가 응답했다.

"중소기업 16%, 부족한 생산·현장직 외국인 채용으로 대응"
조사 결과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2019년)에 비해 2023년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업체 비중이 12.0%에서 15.3%로 증가했다.

또한 응답업체 10곳 중 2곳 이상(22.2%)이 2019년보다 2023년 채용경쟁률이 하락했다고 응답해 기업(노동수요)과 구직자(노동공급) 간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생산·현장·특수기능직,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업종별로는 조선업 등 제조업과 숙박·음식점업 등 일부 서비스업, 권역별로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했다.

인력부족 문제가 가장 심각한 생산·현장·특수기능직의 경우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업체들은 '기존 근로자 근로시간 증가'(28.1%), '급여 인상·복지 개선'(26.1%), '비정규직 인력 채용'(15.4%)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생산·현장·특수기능직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나눠 조사했을 때 중소기업에서는 '외국인 채용 증가'(16.4%) 응답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일반 사무직의 경우 인력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해 '기존 근로자 근로시간 증가'(35.1%), '급여 인상·복지 개선'(35.1%), '자동화·AI·디지털전환'(8.6%) 등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연구개발직은 주로 '급여 인상·복지 개선'(43.1%)을 통해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 있으나 '실질적 해결이 어렵다'(11.3%)고 응답한 업체의 비중이 여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중소기업 16%, 부족한 생산·현장직 외국인 채용으로 대응"
아울러 한은은 이번 지역경제보고서에서 "올해 4분기 중 지역경제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세계경제 성장세가 완만한 가운데 중국 경제 회복 약화, 국내 투자 수요 정체 등으로 보합 수준을 나타냈으며 서비스업 역시 여객·화물 운송수요 증가와 누적된 고물가·주택시장 부진 등 영향이 엇갈리면서 보합세를 나타냈다.

한은은 향후 지역경제가 4분기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 반등에도 자동차, 철강 등 둔화로 보합세를, 서비스업도 운수를 제외한 도소매, 숙박·음식점, 부동산 등이 회복되지 못하면서 보합 수준에 머물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