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금융권 가계대출 2.3조원 증가…금감원 "증가폭 둔화 지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월 증가폭도 완만한 감소세 예상…은행권 대출심사 문제점 개선"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11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2조3천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 폭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적정 수준으로 회복할 때까지 지속해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30일 '하반기 은행 중소서민부문 주요현안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달 1일부터 27일까지 잠정 집계결과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말 대비 2조3천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11월 가계대출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관리 강화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은행권 주담대 증가액 4조8천억원 중 3조7천억원이 정책성 대출금액으로 대부분 실수요자 대상의 자금이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7월 5조2천억원, 8월 6조1천억원 이후 9월 2조4천억원, 10월 6조3천억원이었다.
수치로 보면 9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축소한 이후 10월 다시 확대해 9월 이후 증가폭이 둔화하는 모습이라는 금감원 설명과 차이가 나지만, 금감원은 "이는 신용대출 감소 기저효과에 의한 것으로 9∼10월 수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금감원은 최근 가계대출 관리가 강화되고,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이 중단됨에 따라 12월에도 가계대출 증가폭이 11월에 이어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12월에는 연말 성과급, 결산에 따른 상각 등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시 일정 수준의 가산 금리를 적용하는 '스트레스(Stress) DSR 방안'을 연내 발표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것"이라며 "가계대출 현장점검 결과 발견된 은행권 대출심사 및 영업행태 상 문제점을 개선하게끔 지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는 올해 1월 한국은행의 마지막 금리 인상 이후 하향 안정세를 보이다가 8월 이후 시장금리와 함께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다.
금감원은 다만 "7월까지 대출금리가 안정세를 유지한 것은 시장금리(은행채 1년물)가 연초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한 데다 저금리 정책자금 대출이 확대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며 "은행권의 상생금융이나 자발적인 취약차주 지원 노력이 대출금리 하향 안정화의 주된 요인으로 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은 "상생금융으로 대출금리 체계, 시장금리를 왜곡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현재 은행권 상생금융 방안으로 금리 쿠폰 형식이 논의되는 이유도 대출수요를 늘리지 않겠다는 차원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금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중단 기대감에 따른 장기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전월 4.56%에서 11월 셋째 주 기준 4.49%로 내려간 반면, 가계대출 금리는 보합세다.
9월 말 기준 전 금융권의 기업대출은 1천843조3천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4.8%(83조6천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증가 요인으로는 고금리에 따른 회사채 투자수요 축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자금수요 증가, 2차전지 등 신산업 관련 투자수요 확대 등이 꼽힌다.
금감원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작년 하반기 이후 상승추세지만 아직 과거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며 "금융권은 거래기업의 채무상환능력 저하에 대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고, 부실채권을 조기 상각·매각하는 등 건전성 관리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 폭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적정 수준으로 회복할 때까지 지속해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30일 '하반기 은행 중소서민부문 주요현안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달 1일부터 27일까지 잠정 집계결과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말 대비 2조3천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11월 가계대출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관리 강화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은행권 주담대 증가액 4조8천억원 중 3조7천억원이 정책성 대출금액으로 대부분 실수요자 대상의 자금이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7월 5조2천억원, 8월 6조1천억원 이후 9월 2조4천억원, 10월 6조3천억원이었다.
수치로 보면 9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축소한 이후 10월 다시 확대해 9월 이후 증가폭이 둔화하는 모습이라는 금감원 설명과 차이가 나지만, 금감원은 "이는 신용대출 감소 기저효과에 의한 것으로 9∼10월 수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금감원은 최근 가계대출 관리가 강화되고,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이 중단됨에 따라 12월에도 가계대출 증가폭이 11월에 이어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12월에는 연말 성과급, 결산에 따른 상각 등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시 일정 수준의 가산 금리를 적용하는 '스트레스(Stress) DSR 방안'을 연내 발표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것"이라며 "가계대출 현장점검 결과 발견된 은행권 대출심사 및 영업행태 상 문제점을 개선하게끔 지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는 올해 1월 한국은행의 마지막 금리 인상 이후 하향 안정세를 보이다가 8월 이후 시장금리와 함께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다.
금감원은 다만 "7월까지 대출금리가 안정세를 유지한 것은 시장금리(은행채 1년물)가 연초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한 데다 저금리 정책자금 대출이 확대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며 "은행권의 상생금융이나 자발적인 취약차주 지원 노력이 대출금리 하향 안정화의 주된 요인으로 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은 "상생금융으로 대출금리 체계, 시장금리를 왜곡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현재 은행권 상생금융 방안으로 금리 쿠폰 형식이 논의되는 이유도 대출수요를 늘리지 않겠다는 차원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금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중단 기대감에 따른 장기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전월 4.56%에서 11월 셋째 주 기준 4.49%로 내려간 반면, 가계대출 금리는 보합세다.
9월 말 기준 전 금융권의 기업대출은 1천843조3천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4.8%(83조6천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증가 요인으로는 고금리에 따른 회사채 투자수요 축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자금수요 증가, 2차전지 등 신산업 관련 투자수요 확대 등이 꼽힌다.
금감원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작년 하반기 이후 상승추세지만 아직 과거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며 "금융권은 거래기업의 채무상환능력 저하에 대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고, 부실채권을 조기 상각·매각하는 등 건전성 관리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