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명의 연주·노래·춤 어우러진 대형 칸타타…'세종의 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 기념공연…박범훈·손진책·국수호 의기투합
"판소리·벨칸토 창법 어우러져…'화합' 주제로 한 안무·연출 볼거리" 국악관현악, 서양 오케스트라, 판소리, 합창, 무용 등이 한데 어우러진 대형 작품이 무대에 오른다.
화제의 작품은 바로 국립극장의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이하 '세종의 노래')이다.
국립극장 3개 전속단체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총 313명이 무대에 오른다.
박인건 국립극장 극장장은 28일 하늘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국립극장이 창작예술 거점으로 탄생한 지 50년이 되는 해"라며 "그동안 쌓아온 창작역량을 모두 보여드릴 만한 공연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국립극장은 1950년 서울 태평로에 처음 자리 잡았다가 대구, 서울 명동을 거쳐 1973년 10월 현재 위치인 남산 장충동으로 터를 옮겼다.
공연장과 연습실, 행정 시설, 무대 제작소까지 갖춘 국내 유일의 제작극장으로 기반을 마련하며 국립예술단체들의 창작활동에 전환점을 가져왔다.
'세종의 노래'는 567년 전 세종이 훈민정음을 백성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직접 쓴 '월인천강지곡'을 바탕으로 한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먼저 떠난 소헌왕후의 명복을 위해 지은 찬불가로 석가모니의 전 생애를 담고 있다.
'세종의 노래'에서는 불교적인 색채를 최대한 배제하고, '사랑'과 화합'에 방점을 찍었다.
공연은 서사적 가사를 바탕으로 한 여러 악장의 성악곡인 칸타타 형식에 무용과 연출을 추가했다.
무대 중앙에 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악기 연주자 97명이 원형으로 자리를 잡고, 뒤쪽 양 끝에 합창단 174명이 자리를 잡는다.
소리꾼 11명과 무용수 31명은 악기 연주자들을 둘러싼 원형 무대에 등장한다.
대규모 공연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공연예술계 거장인 작곡가 겸 지휘자 박범훈, 연출가 손진책, 안무가 국수호가 의기투합했다.
작사는 작가이자 시인인 박해진이 맡았다.
박범훈은 "21세기의 월인천강지곡을 만들기 위해 고민을 많이 한 결과 지금의 우리 소리를 엮기로 했다"며 "월인천강지곡이 백성을 위해 쓰인 것이란 역사성도 생각해서 쉽게 이해되고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악관현악이 중심이 되지만, 긴 시간 다양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려면 부족한 부분이 있어 서양악기 연주자 35명 정도를 넣었다"며 "서양악기가 돋보이기보다는 국악관현악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또 "창극단은 판소리의 독특한 발성법을 이용해서 독창곡, 중창곡을 노래하고, 그걸 받쳐주는 혼성 합창이 주를 이룬다"며 "판소리 창법과 벨칸토 창법이 한데 어우러지는 시도를 해봤다"고 덧붙였다.
박범훈은 곡을 완성하고 손진책과 국수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했다.
작품을 보다 종합적인 예술공연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다.
세 거장은 모두 국립극장 남산 시대의 시작을 함께했던 인물들이기도 하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초대 단장을 역임한 박범훈은 26세 나이에 국립극장 남산 개관기념 작품 중 하나인 '별의 전설'을 작곡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 작품의 주역 무용수이자 유일한 남자 무용수였던 이가 바로 국수호다.
국립무용단의 '제1호 남자 무용수'인 그는 국립무용단 단장도 지냈다.
손진책 역시 국립극장 남산 개관작인 '성웅 이순신'의 조연출로 참여했다.
국수호는 "국립극장은 저를 키워준 어머니"라며 "50주년을 맞은 국립극장에서 이런 대작 안무를 맡게 돼 감개무량하다"고 말했다.
세종이 월인천강지곡을 남긴 이유에 관심을 두고 안무를 만들었다는 국수호는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국수호는 "세종이 소헌왕후에게 보내는 시지만, 결국은 인내천 정신으로 백성에게 다가가려는 사랑이 담겨있다"며 "움직임도 어떤 사랑의 부딪침, 그로 인해 화합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독감으로 이날 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한 손진책은 "조선 최고의 커플인 세종과 소헌왕후의 이야기"라며 "소리와 음악을 시각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작품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공연은 다음 달 29일부터 31일까지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른다.
/연합뉴스
"판소리·벨칸토 창법 어우러져…'화합' 주제로 한 안무·연출 볼거리" 국악관현악, 서양 오케스트라, 판소리, 합창, 무용 등이 한데 어우러진 대형 작품이 무대에 오른다.
화제의 작품은 바로 국립극장의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이하 '세종의 노래')이다.
국립극장 3개 전속단체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총 313명이 무대에 오른다.
박인건 국립극장 극장장은 28일 하늘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국립극장이 창작예술 거점으로 탄생한 지 50년이 되는 해"라며 "그동안 쌓아온 창작역량을 모두 보여드릴 만한 공연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국립극장은 1950년 서울 태평로에 처음 자리 잡았다가 대구, 서울 명동을 거쳐 1973년 10월 현재 위치인 남산 장충동으로 터를 옮겼다.
공연장과 연습실, 행정 시설, 무대 제작소까지 갖춘 국내 유일의 제작극장으로 기반을 마련하며 국립예술단체들의 창작활동에 전환점을 가져왔다.
'세종의 노래'는 567년 전 세종이 훈민정음을 백성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직접 쓴 '월인천강지곡'을 바탕으로 한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먼저 떠난 소헌왕후의 명복을 위해 지은 찬불가로 석가모니의 전 생애를 담고 있다.
'세종의 노래'에서는 불교적인 색채를 최대한 배제하고, '사랑'과 화합'에 방점을 찍었다.
공연은 서사적 가사를 바탕으로 한 여러 악장의 성악곡인 칸타타 형식에 무용과 연출을 추가했다.
무대 중앙에 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악기 연주자 97명이 원형으로 자리를 잡고, 뒤쪽 양 끝에 합창단 174명이 자리를 잡는다.
소리꾼 11명과 무용수 31명은 악기 연주자들을 둘러싼 원형 무대에 등장한다.
대규모 공연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공연예술계 거장인 작곡가 겸 지휘자 박범훈, 연출가 손진책, 안무가 국수호가 의기투합했다.
작사는 작가이자 시인인 박해진이 맡았다.
박범훈은 "21세기의 월인천강지곡을 만들기 위해 고민을 많이 한 결과 지금의 우리 소리를 엮기로 했다"며 "월인천강지곡이 백성을 위해 쓰인 것이란 역사성도 생각해서 쉽게 이해되고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악관현악이 중심이 되지만, 긴 시간 다양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려면 부족한 부분이 있어 서양악기 연주자 35명 정도를 넣었다"며 "서양악기가 돋보이기보다는 국악관현악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또 "창극단은 판소리의 독특한 발성법을 이용해서 독창곡, 중창곡을 노래하고, 그걸 받쳐주는 혼성 합창이 주를 이룬다"며 "판소리 창법과 벨칸토 창법이 한데 어우러지는 시도를 해봤다"고 덧붙였다.
박범훈은 곡을 완성하고 손진책과 국수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했다.
작품을 보다 종합적인 예술공연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다.
세 거장은 모두 국립극장 남산 시대의 시작을 함께했던 인물들이기도 하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초대 단장을 역임한 박범훈은 26세 나이에 국립극장 남산 개관기념 작품 중 하나인 '별의 전설'을 작곡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 작품의 주역 무용수이자 유일한 남자 무용수였던 이가 바로 국수호다.
국립무용단의 '제1호 남자 무용수'인 그는 국립무용단 단장도 지냈다.
손진책 역시 국립극장 남산 개관작인 '성웅 이순신'의 조연출로 참여했다.
국수호는 "국립극장은 저를 키워준 어머니"라며 "50주년을 맞은 국립극장에서 이런 대작 안무를 맡게 돼 감개무량하다"고 말했다.
세종이 월인천강지곡을 남긴 이유에 관심을 두고 안무를 만들었다는 국수호는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국수호는 "세종이 소헌왕후에게 보내는 시지만, 결국은 인내천 정신으로 백성에게 다가가려는 사랑이 담겨있다"며 "움직임도 어떤 사랑의 부딪침, 그로 인해 화합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독감으로 이날 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한 손진책은 "조선 최고의 커플인 세종과 소헌왕후의 이야기"라며 "소리와 음악을 시각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작품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공연은 다음 달 29일부터 31일까지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