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건설사 연말 줄도산 조짐…미분양·미입주·PF 중단에 '아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설사 폐업 17년來 최대
공사 중단돼도 새 건설사 못구해
PF대출 안돼 시공 참여 꺼려
준공후 악성 미분양도 증가세
공사 중단돼도 새 건설사 못구해
PF대출 안돼 시공 참여 꺼려
준공후 악성 미분양도 증가세
최근 부산 사상구에서 신승주택이 시행하는 ‘사상역 경보센트리안 3차’ 사업장에 분양보증 사고가 발생했다. 사상역 인근에 주상복합주택 222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지난 6월이 준공 예정일이었다. 미분양과 자금 경색 등으로 공정률 86.13%에서 6개월째 멈춰 섰다. 분양보증을 선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남은 사업을 마무리 지어야 하지만 언제 입주할지 기약이 없다.
지난해 이후 지속된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업계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지방 미분양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데다 공사비는 급등해 공사가 멈추는 현장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입주율(준공 후 2~3개월 내 입주 가구 비율)도 떨어져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다. 개발사업 초기 자금줄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시장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폐업 건설사가 17년 만에 최다인 이유다.
경기 파주에서는 연립주택 사업지가 준공(공정률 96.63%)을 앞두고 시공사 부도로 좌초됐다. 지난해 9월부터 자금 경색이 심해지며 공사가 중단된 데 이어 지난 4월 시공사가 법정관리를 택했다. 공사비가 급등한 데다 고금리 자금을 조달하더라도 손해가 불가피해 파행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건설사의 부도로 새 시공사를 찾고 있는 현장도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울산의 한 공동주택 사업장(공정률 30%)은 시공사 부도 이후 사업이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이다. PF 대출이 어려워 시공사가 참여를 거부하고 있어서다. 조합 관계자는 “시공 의향을 밝힌 건설사도 대출이 어렵단 이유로 철수했다”며 “조합원이 추가 분담금을 모아 시공사를 다시 찾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미분양 물량 역시 부담이다.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5만9806가구에 달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9513가구로, 8월(9392가구)보다 1.3%(121가구) 늘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악성 미분양은 말 그대로 회사의 재무적 부담으로 귀결된다”며 “자금 악순환을 불러 신규 사업 추진에도 발목을 잡는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경색된 PF시장도 업계의 시름을 키우고 있다. 대출금리 급등으로 일부 사업장은 토지 매입을 위해 받은 브릿지론 금리가 20%에 달한다. 본PF 전환이 막혀 있어 사실상 사업성이 사라진 ‘좀비 프로젝트’로 불린다. 업계에선 정부의 PF 지원책에 대해 “실제 대출을 해주는 금융회사가 각종 기준을 높여 대책이 체감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낙찰받은 땅을 포기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A시행사는 지난해 강원 원주의 역세권 주상복합 용지를 낙찰받았지만, PF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중도금 지급에 실패했다. 결국 300억원에 달하는 계약금을 몰취당했다. B시행사도 2020년 경기 수원에 낙찰받은 준주거 용지를 개발하지 못하고 계약 해지를 택했다. 계약금 250억원을 날렸다. 지방의 한 주택업체 대표는 “부동산 시장에 자금이 돌지 않아 공사에 차질을 빚는 현장이 수두룩하다”며 “한계에 처한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연말 줄도산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지난해 이후 지속된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업계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지방 미분양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데다 공사비는 급등해 공사가 멈추는 현장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입주율(준공 후 2~3개월 내 입주 가구 비율)도 떨어져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다. 개발사업 초기 자금줄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시장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폐업 건설사가 17년 만에 최다인 이유다.
폐업·부도 건설사 급증
업계에선 지난해부터 계속된 경기 악화로 중소 건설사의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지역 18위였던 동원건설산업을 비롯해 시공능력평가 75위의 대우산업개발, 109위 대창기업 등이 부도 처리됐다. 최근에도 금강건설(578위)과 신일(113위), 국원건설(467위), 남아건설(2318위)이 새로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올해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는 모두 496건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6년 530건 이후 최대다.경기 파주에서는 연립주택 사업지가 준공(공정률 96.63%)을 앞두고 시공사 부도로 좌초됐다. 지난해 9월부터 자금 경색이 심해지며 공사가 중단된 데 이어 지난 4월 시공사가 법정관리를 택했다. 공사비가 급등한 데다 고금리 자금을 조달하더라도 손해가 불가피해 파행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건설사의 부도로 새 시공사를 찾고 있는 현장도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울산의 한 공동주택 사업장(공정률 30%)은 시공사 부도 이후 사업이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이다. PF 대출이 어려워 시공사가 참여를 거부하고 있어서다. 조합 관계자는 “시공 의향을 밝힌 건설사도 대출이 어렵단 이유로 철수했다”며 “조합원이 추가 분담금을 모아 시공사를 다시 찾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미분양·미입주·PF 경색 등 악재 수두룩
부동산 시행사·건설사 사이에선 미분양과 미입주에 공사비 상승, PF 경색 등 악재가 겹쳐 출구가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지방 미분양과 낮은 입주율은 업계의 자금 순환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라는 평가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지방 아파트 단지의 입주율은 68.8%에 그쳤다. 입주율이 낮은 현장은 건설사 수익인 잔금 회수가 늦춰진다는 얘기다.미분양 물량 역시 부담이다.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5만9806가구에 달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9513가구로, 8월(9392가구)보다 1.3%(121가구) 늘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악성 미분양은 말 그대로 회사의 재무적 부담으로 귀결된다”며 “자금 악순환을 불러 신규 사업 추진에도 발목을 잡는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경색된 PF시장도 업계의 시름을 키우고 있다. 대출금리 급등으로 일부 사업장은 토지 매입을 위해 받은 브릿지론 금리가 20%에 달한다. 본PF 전환이 막혀 있어 사실상 사업성이 사라진 ‘좀비 프로젝트’로 불린다. 업계에선 정부의 PF 지원책에 대해 “실제 대출을 해주는 금융회사가 각종 기준을 높여 대책이 체감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낙찰받은 땅을 포기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A시행사는 지난해 강원 원주의 역세권 주상복합 용지를 낙찰받았지만, PF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중도금 지급에 실패했다. 결국 300억원에 달하는 계약금을 몰취당했다. B시행사도 2020년 경기 수원에 낙찰받은 준주거 용지를 개발하지 못하고 계약 해지를 택했다. 계약금 250억원을 날렸다. 지방의 한 주택업체 대표는 “부동산 시장에 자금이 돌지 않아 공사에 차질을 빚는 현장이 수두룩하다”며 “한계에 처한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연말 줄도산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