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 34만6천명↑…청년층·제조업은 감소세 지속(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취업자수, 석달째 증가폭 확대…도소매업 53개월만에 증가 전환
임시직 17개월만에 증가…고용률 10월 기준 '최고'·실업률 '최저' 10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4만6천명 늘면서 3개월째 증가 폭을 확대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76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4만6천명 늘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3월 46만9천명에서 7월에 21만1천명까지 줄었다가 8월 26만8천명, 9월 30만9천명을 기록하며 석달 연속 늘고 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 5월(35만1천명) 이후 최대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33만6천명 늘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을 주도했다.
30대에서도 11만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8만2천명 감소했다.
청년층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작년 11월부터 월간 기준 1년째 감소세다.
40대에서도 6만9천명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에서 취업자가 1만1천명 늘었다.
2019년 5월에 1천명 늘어난 이후 4년 5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증가 폭으로는 2017년 11월(4만6천명) 이후 최대다.
도소매업은 무인화 등 산업 구조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지속된 바 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0만4천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7만6천명), 정보통신업(7만5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5만2천명) 등에서도 취업자 수가 늘었다.
반면 제조업에서는 7만7천명 줄었다.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10개월째 감소세다.
전자부품·기계 부문 등에서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었다.
교육서비스업(-4만4천명)과 부동산업(-2만6천명)에서도 취업자가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가 44만명, 임시근로자가 6만8천명 늘었다.
임시근로자는 작년 5월 7만9천명 늘어난 이후 1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에서 취업자수가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10월 기준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한 69.7%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업자는 62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만6천명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1999년 6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같은 달 기준 역대 가장 적다.
실업률은 0.3%포인트 하락한 2.1%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6만2천명으로 13만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사유 중에서 '연로'가 4만3천명 늘고 '육아'가 12만2천명 감소했다.
'쉬었음' 인구는 6천명 늘었다.
40대(1만5천명)와 30대(1만2천명) 등에서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 증가와 일상 회복의 영향이 지속됐다"며 "정보통신 분야에서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며 취업자 증가 폭이 9월에 비해 확대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임시직 17개월만에 증가…고용률 10월 기준 '최고'·실업률 '최저' 10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4만6천명 늘면서 3개월째 증가 폭을 확대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76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4만6천명 늘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3월 46만9천명에서 7월에 21만1천명까지 줄었다가 8월 26만8천명, 9월 30만9천명을 기록하며 석달 연속 늘고 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 5월(35만1천명) 이후 최대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33만6천명 늘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을 주도했다.
30대에서도 11만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8만2천명 감소했다.
청년층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작년 11월부터 월간 기준 1년째 감소세다.
40대에서도 6만9천명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에서 취업자가 1만1천명 늘었다.
2019년 5월에 1천명 늘어난 이후 4년 5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증가 폭으로는 2017년 11월(4만6천명) 이후 최대다.
도소매업은 무인화 등 산업 구조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지속된 바 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0만4천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7만6천명), 정보통신업(7만5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5만2천명) 등에서도 취업자 수가 늘었다.
반면 제조업에서는 7만7천명 줄었다.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10개월째 감소세다.
전자부품·기계 부문 등에서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었다.
교육서비스업(-4만4천명)과 부동산업(-2만6천명)에서도 취업자가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가 44만명, 임시근로자가 6만8천명 늘었다.
임시근로자는 작년 5월 7만9천명 늘어난 이후 1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에서 취업자수가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10월 기준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한 69.7%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업자는 62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만6천명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1999년 6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같은 달 기준 역대 가장 적다.
실업률은 0.3%포인트 하락한 2.1%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6만2천명으로 13만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사유 중에서 '연로'가 4만3천명 늘고 '육아'가 12만2천명 감소했다.
'쉬었음' 인구는 6천명 늘었다.
40대(1만5천명)와 30대(1만2천명) 등에서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 증가와 일상 회복의 영향이 지속됐다"며 "정보통신 분야에서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며 취업자 증가 폭이 9월에 비해 확대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