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김병수 내일 만난다…'서울시 김포구'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가시티 서울' 구상이 정치권 이슈로 급부상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병수 김포시장이 6일 만난다.
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오 시장은 6일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을 만날 예정이다.
이번 면담은 김 시장의 요청으로 성사됐으며, 김 시장은 이 자리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 방안을 공식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그동안 편입론에 대한 공식 반응을 자제해왔지만, 자체적으로는 편입 시나리오와 효과를 검토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면담을 계기로 서울시에서도 편입 관련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포의 편입이 서울의 도시경쟁력 강화에 실제 어떤 도움이 될지, 역기능은 없는지 본격적인 연구에 나서는 한편으로 시민 의견 수렴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이달 중순께는 오 시장과 김동연 경기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의 만남이 예정돼 있다.
앞서 이들 세 지자체장은 올해 7월 '수도권 공동생활권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폐기물 처리와 광역교통망 구축 등 수도권 공동현안을 논의해왔다.
하지만 9월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를 내년 1월 시행하기로 먼저 발표하면서 관계가 냉랭해졌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으로 서울 시내버스와 지하철,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비롯해 향후 리버버스까지 서울의 모든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하는 카드다. 내년 1∼5월 시범사업 후 하반기에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서울과 주요 교통망을 공유하는 경기도와 인천시는 당장 도입이 쉽지 않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가 도입 방안을 발표하자 경기도는 충분한 협의 없이 발표했다며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김포의 서울 편입론이 불거지면서 관계는 더 서먹해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 지사는 국민의힘이 김포를 서울에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데 대해 "황당하기 짝이 없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쓰레기 매립장도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
1992년 조성된 수도권매립지는 1∼4매립장으로 구분돼 있는데, 1∼3매립장은 인천시에 있고 4매립장은 인천시와 김포시에 걸쳐있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개장 이후 30년 넘게 서울·경기 쓰레기까지 처리하면서 많은 환경 피해를 겪고 있다며 대체 매립지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면서 "수도권매립지 제4매립장이 김포 땅이라 김포시가 서울에 편입되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 같은 구상은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요구하는 인천시의 입장과 배치돼 편입 논의가 김포시와 인천시 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처럼 다양한 문제들이 맞물리면서 당분간 해법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서울시 관계자는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효과를 면밀히 검토해 볼 것"이라면서도 "편입방안 등에 대한 지자체 간 입장차가 커서 당장 이견을 좁히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오 시장은 6일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을 만날 예정이다.
이번 면담은 김 시장의 요청으로 성사됐으며, 김 시장은 이 자리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 방안을 공식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그동안 편입론에 대한 공식 반응을 자제해왔지만, 자체적으로는 편입 시나리오와 효과를 검토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면담을 계기로 서울시에서도 편입 관련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포의 편입이 서울의 도시경쟁력 강화에 실제 어떤 도움이 될지, 역기능은 없는지 본격적인 연구에 나서는 한편으로 시민 의견 수렴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이달 중순께는 오 시장과 김동연 경기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의 만남이 예정돼 있다.
앞서 이들 세 지자체장은 올해 7월 '수도권 공동생활권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폐기물 처리와 광역교통망 구축 등 수도권 공동현안을 논의해왔다.
하지만 9월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를 내년 1월 시행하기로 먼저 발표하면서 관계가 냉랭해졌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으로 서울 시내버스와 지하철,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비롯해 향후 리버버스까지 서울의 모든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하는 카드다. 내년 1∼5월 시범사업 후 하반기에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서울과 주요 교통망을 공유하는 경기도와 인천시는 당장 도입이 쉽지 않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가 도입 방안을 발표하자 경기도는 충분한 협의 없이 발표했다며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김포의 서울 편입론이 불거지면서 관계는 더 서먹해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 지사는 국민의힘이 김포를 서울에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데 대해 "황당하기 짝이 없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쓰레기 매립장도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
1992년 조성된 수도권매립지는 1∼4매립장으로 구분돼 있는데, 1∼3매립장은 인천시에 있고 4매립장은 인천시와 김포시에 걸쳐있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개장 이후 30년 넘게 서울·경기 쓰레기까지 처리하면서 많은 환경 피해를 겪고 있다며 대체 매립지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면서 "수도권매립지 제4매립장이 김포 땅이라 김포시가 서울에 편입되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 같은 구상은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요구하는 인천시의 입장과 배치돼 편입 논의가 김포시와 인천시 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처럼 다양한 문제들이 맞물리면서 당분간 해법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서울시 관계자는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효과를 면밀히 검토해 볼 것"이라면서도 "편입방안 등에 대한 지자체 간 입장차가 커서 당장 이견을 좁히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