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변에 의사가 없다…기초지자체 절반, 분만·응급의료 취약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취약지 모니터링…'경상·전라·강원' 특히 취약
'소아청소년과 취약지' 27곳…11곳은 거주지 주변 신장 투석실 없어 전국 기초지자체 10곳 중 4~5곳은 주변에 분만이나 응급의료 처치를 받을 의료기관을 찾기 힘든 '의료 취약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인 필수의료 분야인 분만과 응급 의료와 관련해 전체 시군구의 절반 가까이가 취약지인 셈이이다.
의료 취약지는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지역에서 특히 많았다.
5일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5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만의료에 대한 접근성 취약도, 의료이용 취약도를 분석한 결과 43.2%인 108곳이 분만의료 취약지로 분류됐다.
의료원은 15~49세 가임인구 중 분만실에 60분 이내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30%를 넘을 때 접근성이 취약하다고 판단했다.
또 분만실 이용자 중 분만실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60분 이내인 경우가 30% 미만일 때 의료 이용이 취약하다고 봤다.
이런 접근성과 의료이용 모두 취약한 경우 A등급으로, 두 가지 중 한 가지만 취약한 경우 B등급으로 구분했다.
또 A·B등급은 아니지만 배경인구, 수요 부족 등을 고려할 때 분만실 운영이 어려운 지역을 C등급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A등급은 30개 지역, B 등급(분만취약지 지원사업 대상 기관 22곳 제외)은 17개 지역, C등급은 61개 지역이었다.
분만 의료는 응급 의료 등과 함께 필수의료 중 하나로 꼽히지만, 전문의가 부족한 데다 수도권 쏠림이 심하다.
대도시가 아닌 시골 지역에서는 산부인과를 찾기 어려운 곳이 많고, 산부인과가 설치돼 있는 병원도 심각한 의사 구인난을 겪고 있다.
전국 96개 의료기관의 '2023년 하반기 과목별 전공의 지원율'을 보면 산부인과는 52명 모집에 4명만 지원해 지원율이 7.7%에 그쳤다.
복지부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의대정원을 이번 정부 내 매년 1천명씩 3천명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의대가 있는 각 대학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이고 있다.
정원 확대로 늘어난 의사가 지역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수가 인상 등 지원책도 패키지로 준비하고 있다.
한편, 의료원은 응급의료센터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해 250개 시군구 중 39.2%인 98곳을 '응급의료 취약지'로 분류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 1시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하거나, 지역응급의료센터에 30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한 인구가 30% 이상인 경우를 응급의료취약지로 봤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전국에 40곳이 운영 중이고, 지역응급의료센터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해 166개 기관이 설치돼 있다.
전체 시군구 중 분만과 응급 의료 모두에서 취약지에 해당하는 경우는 104곳(41.6%)이나 됐다.
의료취약지는 서울이나 광역시의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거의 없었다.
분만과 응급 모두에서 인천의 강화군과 옹진군만 의료취약지에 속했다.
대신 강원, 전남, 경북 등의 군 지역이나 소도시에 몰려있었다.
분만 취약지를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전남이 20곳이나 됐고, 경북이 19곳으로 그 다음이었다.
강원 14곳, 경남과 충남 각 13곳, 충북과 전북 각 10곳, 제주 1곳(서귀포시)이었다.
경기는 가평군, 안성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포천시 등 6곳이 분만 취약지에 속했다.
응급의료 취약지도 전남 17곳, 경북 16곳, 강원 15곳, 경남 14곳, 충남 11곳, 전북 9곳, 충북 8곳, 경기 5곳, 인천 2곳, 제주 1곳 등으로, 수도권에서 떨어진 도 지역에서 특히 많았다.
국립중앙의료원은 마찬가지로 접근성 취약도와 의료이용 취약도를 분석해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도 분류했다.
19세 미만 인구 중 병원급 이상 소아청소년과에 접근하지 못하는 비율이 30% 이상이고, 병원급 이상 소아청소년과 이용자 중 병원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이 60분 이내인 경우가 30% 미만일 때 취약지로 봤다.
그 결과 인천 옹진군, 경기 가평군·양평군·연천군, 강원 고성군·인제군·평창군·홍천군·화천군, 충북 괴산군·영동군, 충남 금산군·태안군, 전북 무주군·임실군·장수군, 전남 구례군·보성군·신안군·진도군, 경북 봉화군·상주군·양양군·울릉군·청송군, 경남 산청군·하동군 등 27곳이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로 분석됐다.
아울러 신장병 환자를 위한 인공신장실(투석실)이 있는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 취약도와 의료이용 취약지를 살펴본 결과 인천 옹진군, 강원 인제군·정선군·평창군·화천군, 전북 무주군·진안군, 전남 신안군, 경북 영양군·울릉군·청송군 등 11곳을 '인공신장실 취약지'로 분류했다.
/연합뉴스
'소아청소년과 취약지' 27곳…11곳은 거주지 주변 신장 투석실 없어 전국 기초지자체 10곳 중 4~5곳은 주변에 분만이나 응급의료 처치를 받을 의료기관을 찾기 힘든 '의료 취약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인 필수의료 분야인 분만과 응급 의료와 관련해 전체 시군구의 절반 가까이가 취약지인 셈이이다.
의료 취약지는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지역에서 특히 많았다.
5일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5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만의료에 대한 접근성 취약도, 의료이용 취약도를 분석한 결과 43.2%인 108곳이 분만의료 취약지로 분류됐다.
의료원은 15~49세 가임인구 중 분만실에 60분 이내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30%를 넘을 때 접근성이 취약하다고 판단했다.
또 분만실 이용자 중 분만실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60분 이내인 경우가 30% 미만일 때 의료 이용이 취약하다고 봤다.
이런 접근성과 의료이용 모두 취약한 경우 A등급으로, 두 가지 중 한 가지만 취약한 경우 B등급으로 구분했다.
또 A·B등급은 아니지만 배경인구, 수요 부족 등을 고려할 때 분만실 운영이 어려운 지역을 C등급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A등급은 30개 지역, B 등급(분만취약지 지원사업 대상 기관 22곳 제외)은 17개 지역, C등급은 61개 지역이었다.
분만 의료는 응급 의료 등과 함께 필수의료 중 하나로 꼽히지만, 전문의가 부족한 데다 수도권 쏠림이 심하다.
대도시가 아닌 시골 지역에서는 산부인과를 찾기 어려운 곳이 많고, 산부인과가 설치돼 있는 병원도 심각한 의사 구인난을 겪고 있다.
전국 96개 의료기관의 '2023년 하반기 과목별 전공의 지원율'을 보면 산부인과는 52명 모집에 4명만 지원해 지원율이 7.7%에 그쳤다.
복지부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의대정원을 이번 정부 내 매년 1천명씩 3천명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의대가 있는 각 대학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이고 있다.
정원 확대로 늘어난 의사가 지역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수가 인상 등 지원책도 패키지로 준비하고 있다.
한편, 의료원은 응급의료센터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해 250개 시군구 중 39.2%인 98곳을 '응급의료 취약지'로 분류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 1시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하거나, 지역응급의료센터에 30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한 인구가 30% 이상인 경우를 응급의료취약지로 봤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전국에 40곳이 운영 중이고, 지역응급의료센터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해 166개 기관이 설치돼 있다.
전체 시군구 중 분만과 응급 의료 모두에서 취약지에 해당하는 경우는 104곳(41.6%)이나 됐다.
의료취약지는 서울이나 광역시의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거의 없었다.
분만과 응급 모두에서 인천의 강화군과 옹진군만 의료취약지에 속했다.
대신 강원, 전남, 경북 등의 군 지역이나 소도시에 몰려있었다.
분만 취약지를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전남이 20곳이나 됐고, 경북이 19곳으로 그 다음이었다.
강원 14곳, 경남과 충남 각 13곳, 충북과 전북 각 10곳, 제주 1곳(서귀포시)이었다.
경기는 가평군, 안성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포천시 등 6곳이 분만 취약지에 속했다.
응급의료 취약지도 전남 17곳, 경북 16곳, 강원 15곳, 경남 14곳, 충남 11곳, 전북 9곳, 충북 8곳, 경기 5곳, 인천 2곳, 제주 1곳 등으로, 수도권에서 떨어진 도 지역에서 특히 많았다.
국립중앙의료원은 마찬가지로 접근성 취약도와 의료이용 취약도를 분석해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도 분류했다.
19세 미만 인구 중 병원급 이상 소아청소년과에 접근하지 못하는 비율이 30% 이상이고, 병원급 이상 소아청소년과 이용자 중 병원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이 60분 이내인 경우가 30% 미만일 때 취약지로 봤다.
그 결과 인천 옹진군, 경기 가평군·양평군·연천군, 강원 고성군·인제군·평창군·홍천군·화천군, 충북 괴산군·영동군, 충남 금산군·태안군, 전북 무주군·임실군·장수군, 전남 구례군·보성군·신안군·진도군, 경북 봉화군·상주군·양양군·울릉군·청송군, 경남 산청군·하동군 등 27곳이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로 분석됐다.
아울러 신장병 환자를 위한 인공신장실(투석실)이 있는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 취약도와 의료이용 취약지를 살펴본 결과 인천 옹진군, 강원 인제군·정선군·평창군·화천군, 전북 무주군·진안군, 전남 신안군, 경북 영양군·울릉군·청송군 등 11곳을 '인공신장실 취약지'로 분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