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독자 달 착륙선 보낸다…달탐사 2단계 사업 R&D예타 통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기정통부, 내년부터 10년간 5천300억원 투입…달 착륙선 독자 개발
2031년 검증선도 발사…과학기술 임무 탑재체 내년 초 공모 예정 2032년 달에 착륙할 독자 탐사선을 만드는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3년 제1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제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이 사업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달 탐사를 목적으로 착륙 예상지 주변의 장애물을 탐지해 회피하고, 정밀한 연착륙을 자율 수행하는 1.8t급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는 게 목표다.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며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5천303억4천만 원을 투입한다.
당초 신청한 2024년부터 9년간 6천184억4천600만원 대비 기간은 1년 늘고 예산은 881억600만원 줄었다.
지난 4월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예타 통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았다.
착륙선은 지난해 예타를 통과해 개발 중인 차세대 발사체를 통해 2032년에 발사된다.
이번 사업에서는 2028년 착륙선 설계를 완료하고 2031년에는 연착륙 임무를 수행하는 연착륙 검증선을 우선 차세대 발사체를 이용해 발사한다.
이후 2032년에 달 표면 탐사 임무까지 수행하는 달 착륙선을 개발하게 된다.
개발 과정에서는 우주 탐사선 추진시스템과 연착륙을 위한 장애물 탐지 및 회피기술, 항법시스템 등을 국산화한다.
또 착륙 성능 시험설비 등 시험 시설을 구축해 지상에서 시험과 검증도 거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의견수렴을 거쳐 달 착륙선의 과학기술 임무를 담은 우주탐사 로드맵을 수립해 확정할 예정이다.
로드맵을 기반으로 달 착륙선 탑재체 공모를 추진하며, 내년 초까지 탑재체를 선정해 별도 사업으로 탑재체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위원회는 또 과기정통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 등 6개 사업을 올해 3차 연구개발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시설 및 장비, 특화 클라우드 기술개발을 통해 클라우드 풀스택(인터넷 기반 자원 통합·공유 전계층)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게 목표다.
과기정통부가 요구한 사업비는 2025년부터 2031년까지 7년간 9천405억원이다.
과기정통부의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도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저궤도 위성통신 체계를 개발해 2030년 핵심 기술을 자립화하는 게 목표로, 2025년부터 2031년까지 4천797억4천만 원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산업통상자원부의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2025~2032년, 9천500억 원) 및 '반도체 첨단 후공정 선도 기술개발사업'(2025~2031년, 5천569억 원), 환경부의 '탄소중립기술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관리 기술개발사업'(2025~2031년, 1천800억 원), 중소기업벤처부의 '지역특화산업육성 3.0'(2025~2030년, 1조5천3억 원)이 이날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연합뉴스
2031년 검증선도 발사…과학기술 임무 탑재체 내년 초 공모 예정 2032년 달에 착륙할 독자 탐사선을 만드는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3년 제1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제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이 사업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달 탐사를 목적으로 착륙 예상지 주변의 장애물을 탐지해 회피하고, 정밀한 연착륙을 자율 수행하는 1.8t급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는 게 목표다.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며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5천303억4천만 원을 투입한다.
당초 신청한 2024년부터 9년간 6천184억4천600만원 대비 기간은 1년 늘고 예산은 881억600만원 줄었다.
지난 4월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예타 통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았다.
착륙선은 지난해 예타를 통과해 개발 중인 차세대 발사체를 통해 2032년에 발사된다.
이번 사업에서는 2028년 착륙선 설계를 완료하고 2031년에는 연착륙 임무를 수행하는 연착륙 검증선을 우선 차세대 발사체를 이용해 발사한다.
이후 2032년에 달 표면 탐사 임무까지 수행하는 달 착륙선을 개발하게 된다.
개발 과정에서는 우주 탐사선 추진시스템과 연착륙을 위한 장애물 탐지 및 회피기술, 항법시스템 등을 국산화한다.
또 착륙 성능 시험설비 등 시험 시설을 구축해 지상에서 시험과 검증도 거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의견수렴을 거쳐 달 착륙선의 과학기술 임무를 담은 우주탐사 로드맵을 수립해 확정할 예정이다.
로드맵을 기반으로 달 착륙선 탑재체 공모를 추진하며, 내년 초까지 탑재체를 선정해 별도 사업으로 탑재체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위원회는 또 과기정통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 등 6개 사업을 올해 3차 연구개발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시설 및 장비, 특화 클라우드 기술개발을 통해 클라우드 풀스택(인터넷 기반 자원 통합·공유 전계층)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게 목표다.
과기정통부가 요구한 사업비는 2025년부터 2031년까지 7년간 9천405억원이다.
과기정통부의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도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저궤도 위성통신 체계를 개발해 2030년 핵심 기술을 자립화하는 게 목표로, 2025년부터 2031년까지 4천797억4천만 원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산업통상자원부의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2025~2032년, 9천500억 원) 및 '반도체 첨단 후공정 선도 기술개발사업'(2025~2031년, 5천569억 원), 환경부의 '탄소중립기술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관리 기술개발사업'(2025~2031년, 1천800억 원), 중소기업벤처부의 '지역특화산업육성 3.0'(2025~2030년, 1조5천3억 원)이 이날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