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외우면 현실이 된다...'신라인들의 부적' 수구다라니 첫 공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구다라니' 2점 공개
국립경주박물관 '수구다나리, 아주 오래된 부적' 특별전
10월 24일부터 내년 1월 28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수구다나리, 아주 오래된 부적' 특별전
10월 24일부터 내년 1월 28일까지
신라인들은 부처의 가르침을 담아 신비로운 힘이 깃들었다고 믿은 '다라니'(陀羅尼)를 부적처럼 지니고 다녔다. 수많은 다라니 중에서도 최고로 치는 건 '수구다라니(隨求陀羅尼)'였다. 주문을 외우는 즉시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몸에 지닐 뿐 아니라 불상의 복장에 넣거나 탑에 봉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됐다.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간절한 바람을 담은 다라니가 처음 대중에 공개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 특별전을 연다고 24일 발표했다. 경주 남산에서 출토된 다라니 2점과 이를 담은 작은 상자까지 총 3점을 내년 1월 28일까지 전시한다. 이번에 공개된 수구다라니는 국내에서 나온 가장 오래된 다라니로 추정되고 있다. 박물관 측은 "지금까지는 고려와 조선시대 때 만든 다라니만 공개됐었다"며 "통일신라시대의 수구다라니를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번 유물은 1919년 조선총독부가 입수한 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해왔다. 처음 입수 당시 범자(고대 인도 문자)와 한자로 각각 적힌 두 점이 하나의 종이에 붙어 있는 형태였다. 2021년부터 보존 처리를 거쳐 두 점이 분리돼 원래 형태를 되찾았다. 범자로 적힌 수구다라니는 가로 30.3㎝ 세로 29.7㎝ 크기로 여러 번 접힌 흔적이 남아있다. 여러 조각으로 나뉜 종이 위로 문자가 적혀 있고, 불교 의식에 쓰는 용구인 금강저를 든 금강신이 그려져 있다. 비슷한 크기의 또 다른 수구다라니는 한자로 적혀 있다. 693년에 한자로 옮겨진 불교 경전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나리신주경>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전의 내용처럼 연꽃 위에 놓인 검과 금강저, 소라 나팔 등의 모습이 확인된다. 수구다라니를 보관했던 경합(經盒)은 구리에 금을 도금한 상자다. 식물 장식인 보상화무늬와 불교의 호법신 신장(神將)이 새겨져 있다. 박물관 측은 "8~9세기 제작된 다른 통일신라 금동합과 제작기법이 유사해 이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상자 안에 봉안된 다라니도 같은 시기에 제작된 유물로 추정된다"고 했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간절한 바람을 담은 다라니가 처음 대중에 공개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 특별전을 연다고 24일 발표했다. 경주 남산에서 출토된 다라니 2점과 이를 담은 작은 상자까지 총 3점을 내년 1월 28일까지 전시한다. 이번에 공개된 수구다라니는 국내에서 나온 가장 오래된 다라니로 추정되고 있다. 박물관 측은 "지금까지는 고려와 조선시대 때 만든 다라니만 공개됐었다"며 "통일신라시대의 수구다라니를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번 유물은 1919년 조선총독부가 입수한 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해왔다. 처음 입수 당시 범자(고대 인도 문자)와 한자로 각각 적힌 두 점이 하나의 종이에 붙어 있는 형태였다. 2021년부터 보존 처리를 거쳐 두 점이 분리돼 원래 형태를 되찾았다. 범자로 적힌 수구다라니는 가로 30.3㎝ 세로 29.7㎝ 크기로 여러 번 접힌 흔적이 남아있다. 여러 조각으로 나뉜 종이 위로 문자가 적혀 있고, 불교 의식에 쓰는 용구인 금강저를 든 금강신이 그려져 있다. 비슷한 크기의 또 다른 수구다라니는 한자로 적혀 있다. 693년에 한자로 옮겨진 불교 경전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나리신주경>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전의 내용처럼 연꽃 위에 놓인 검과 금강저, 소라 나팔 등의 모습이 확인된다. 수구다라니를 보관했던 경합(經盒)은 구리에 금을 도금한 상자다. 식물 장식인 보상화무늬와 불교의 호법신 신장(神將)이 새겨져 있다. 박물관 측은 "8~9세기 제작된 다른 통일신라 금동합과 제작기법이 유사해 이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상자 안에 봉안된 다라니도 같은 시기에 제작된 유물로 추정된다"고 했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