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환율 변동성 0.54%…일본 다음으로 높아
홍성국 "재정결손 메우려 외평기금 쓰면 대외신인도에 부담"
정부가 세수 부족을 해결하고자 급격한 환율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기금인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외환시장에서 우리나라의 대외 신인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6일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경제 대변인인 홍성국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와 2분기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각각 0.54%, 0.43%였다.

1분기와 2분기 모두 주요 7개국(G7)과 아시아 9개 신흥국을 통틀어 우리나라의 환율 변동성이 두 번째로 높았고, G7 평균인 0.45%(1분기), 0.35%(2분기)도 상회했다.

1위는 전 세계 주요국과 달리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한 일본(1분기 0.58%, 2분기 0.45%)이었다.

환율 변동성에 대한 시장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인 '내재 변동성'도 오름세였다.

원/달러 환율 내재 변동성(옵션 1개월물 기준)은 올해 6월 8.67%, 7월 9.27%, 8월 9.49% 등으로 나타났다.

내재 변동성이란 통화옵션 가격을 이용해 변동성을 계산한 지표로, 변동성에 대한 시장 기대를 반영하는 선행지수 중 하나다.

내재 변동성이 상승하자 한국은행은 지난해 3분기 환율 방어를 위해 보유 외환에서 175억달러 이상을 내다 팔기도 했다.

홍 의원은 "일본이 홀로 마이너스 금리를 고수해온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한국이 환율 리스크에 가장 취약한 셈"이라며 "재정 결손을 메꾸기 위해 외평기금을 끌어다 쓰는 정부의 결정은 외환시장의 대외 신인도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외환위기를 겪었던 한국 시장은 대외 변수에 취약한 편인데, 세수 결손을 메우려고 '외환 방파제'인 외평기금을 끌어다 쓰면 시장에 그릇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얘기다.

홍 의원실 관계자는 "세수 결손 등 재정 문제가 한국 통화정책에 영향을 준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외평기금은 투기적 수요로 환율이 급등락하면 보유하고 있는 달러화 또는 원화를 활용해 시장의 환율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