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서울, 더 나아가 한국에 투자하면 그 과실은 어느 때보다 더 클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3일 오전 시청에서 비상경제회의(외국계 금융·외투기업 간담회)를 열고 "정치적 혼란 상황은 길어도 1~2달이면 안정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현재 서울은 시민 모두의 일상이 평화롭게 유지되고 있는 안전한 도시"라며 "집회 현장마저도 단 한건의 안전사고 없이 높은 시민의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인의 눈에 다소 이색적일 수 있으나, K팝을 부르며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집회 문화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한국 특유의 위기극복 능력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항상 위기 때 비상한 잠재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오히려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면서 "매력적인 투자처로서 서울의 가치는 변함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오 시장은 구체적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될 '용산 서울 코어, 첨단산업 메카인 '마곡', AI 미래융합혁신특구로 지정된 '양재' 등 글로벌 투자자들이 관심 가질만한 투자처가 적지 않다"며 "서울이 여전히 '투자하기 좋은 도시'임을 알릴 수 있도록 서울시가 보유한 다양한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장·단기 대책도 함께 시행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이 같은 주요 대책으로 내년 설립 예정인 서울투자진흥재단을 꼽았다. 그는 "국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투자유치 전담기관인 서울투자진흥재단을 설립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핀테크, AI, 창조산업 등 서울의 전략산업에 특화된
푸르른 동해와 고즈넉한 호수가 아름다운 강원도 속초시에 가보셨나요? 볼거리, 먹거리가 가득한 속초에는 작년에만 무려 2500만명에 달하는 관광객이 다녀갔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 이곳에 토박이, 외지인 모두에게 달갑지 않은 이야기가 무성합니다. '랜드마크' 격인 관광 명소 여러 곳이 공중분해 될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입니다.민선 7기 시절인 2021년 11월 영랑호에 설치한 부교(浮橋) '영랑호수윗길', 2022년 3월 속초해수욕장에 솟은 대관람차 '속초아이'가 그 주인공입니다. 각각 생태계 파괴, 불법 건축 등의 이유로 철거 명령이 내려진 상태랍니다. 수십억원 규모의 혈세를 투입한 대형 사업이 3년 만에 존폐 기로에 섰다는데, 졸속 추진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진상을 들여다보고자 한경 혈세 누수 탐지기(혈누탐) 팀이 속초로 달려갔습니다."이 멀쩡한 걸 왜 부순대요?"…26억짜리 다리의 불편한 진실속초시는 2021년 11월 시 북부권의 활성화를 위해 영랑호를 가로지르는 부교 영랑호수윗길을 사업비 26억원을 투입해 설치했습니다. 길이 400m, 폭 2.5m인 이 다리는 어느덧 연간 60만여명의 발걸음이 모이는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혈누탐팀이 속초 영랑호를 찾은 지난달 말, 구름 한 점 없는 청명한 늦가을 날씨가 압권이었는데요. 시민들은 뛰거나, 사진을 찍거나, 저마다 영랑호수윗길을 즐기는 모습이었습니다.이처럼 시민들이 잘 이용하고 있는 다리가 왜 갑자기 철거 위기에 놓인 걸까요. 부교 건설 추진 초기부터 환경단체가 생태계 파괴 가능성을 주장했는데도, 시가 설치를 강행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환경단체는 주민소송을 제기, 1년간 진행한 환경영
경찰이 현장 출동 과정에서 분실한 테이저건을 약 18시간 만에 되찾았다.13일 경기 수원남부경찰서는 전날 오전 5시 30분께 곡선지구대 소속 경찰관 A씨가 신고 출동 후 복귀하다가 분실한 테이저건을 같은 날 오후 11시 55분께 오산시 오산대교 인근에 있던 60대 남성 B씨로부터 회수했다고 밝혔다.A씨는 수원시 권선구의 한 버스정류장에 노인이 누워있다는 신고를 받고 나가 보호조치를 한 뒤 지구대로 복귀하기 위해 순찰차에 탑승하면서 테이저건을 총집째 떨어뜨려 잃어버렸다.경찰은 관제센터의 폐쇄회로(CC)TV 등을 토대로 A씨로부터 보호조치를 받은 B씨가 테이저건을 주워 자신의 가방에 넣고 이동한 사실을 확인했고, 그의 동선을 추적해 테이저건을 돌려받았다.A씨가 분실한 테이저건은 2발 연속 발사가 가능한 신형인 '테이저7'으로 분실 당시 상태 그대로 회수됐다.경찰 관계자는 "B씨가 일정한 주거 없이 폐지를 주우며 생활해 찾는 데 다소 시간이 걸렸다"며 "점유이탈물횡령 혐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