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사이언스] 코로나19백신으로 뜬 mRNA…암·독감 등으로 영역 확장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백신의 등장과 함께 스타덤에 오른 바이오 기술이 있다.
바로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이다.
첫 등장 이후 30년간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지난 2020년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으며 다른 치료제로 확장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스스로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항체는 바이러스 같은 항원을 비활성화하고 신체에 침입한 미생물에 대항하는 당단백질이다.
mRNA 백신을 만들려면 먼저 바이러스 단백질 정보를 가진 mRNA를 합성해야 한다.
이렇게 합성된 mRNA는 그대로 주입할 수 없다.
우리 몸속에는 mRNA를 분해하는 효소가 많아서, 세포질에 도달하기 전에 분해돼 버리면 백신이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mRNA를 안전하게 포장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포장지 역할을 하는 물질이 지질나노입자(LNP)다.
LNP는 일종의 전달체로, mRNA를 잘 보호하다가 세포에 들어갈 때를 맞춰 세포질로 내보낸다.
이렇게 세포 안으로 들어간 mRNA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리보솜'이라는 기관을 만나면 리보솜은 mRNA의 바이러스 정보를 읽어 세포가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게 한다.
그러면 인체 면역세포가 이를 인식해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해 감염을 예방한다.
모더나와 화이자·바이오앤테크의 코로나19 백신이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일본 제약사 다이이치산쿄도 코로나19 mRNA 백신 '다이치로나'를 일본에서 승인받았다.
국내에선 아이진, 큐라티스, 에스티팜이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다.
mRNA 기술은 플랫폼 기술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한 번 기술을 확보하면 목표 질환에 따라 서열만 바꿔 다양한 의약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국내외 기업은 다양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모더나는 RSV용 mRNA 백신의 임상을 진행 중이며 mRNA 기술을 암,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희소 질환 등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선 SK바이오사이언스가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바이러스에 대한 mRNA 백신 개발에 나섰다.
GC녹십자는 독감용 mRNA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캐나다 소재 LNP 개발 기업 '아퀴타스 테라퓨틱스'와 LNP 기술을 도입하는 옵션 계약을 해 최근에 이 옵션을 행사했다.
삼양홀딩스와 LG화학도 mRNA 기반 항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파트너십 계약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바로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이다.
첫 등장 이후 30년간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지난 2020년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으며 다른 치료제로 확장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스스로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항체는 바이러스 같은 항원을 비활성화하고 신체에 침입한 미생물에 대항하는 당단백질이다.
mRNA 백신을 만들려면 먼저 바이러스 단백질 정보를 가진 mRNA를 합성해야 한다.
이렇게 합성된 mRNA는 그대로 주입할 수 없다.
우리 몸속에는 mRNA를 분해하는 효소가 많아서, 세포질에 도달하기 전에 분해돼 버리면 백신이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mRNA를 안전하게 포장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포장지 역할을 하는 물질이 지질나노입자(LNP)다.
LNP는 일종의 전달체로, mRNA를 잘 보호하다가 세포에 들어갈 때를 맞춰 세포질로 내보낸다.
이렇게 세포 안으로 들어간 mRNA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리보솜'이라는 기관을 만나면 리보솜은 mRNA의 바이러스 정보를 읽어 세포가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게 한다.
그러면 인체 면역세포가 이를 인식해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해 감염을 예방한다.
모더나와 화이자·바이오앤테크의 코로나19 백신이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일본 제약사 다이이치산쿄도 코로나19 mRNA 백신 '다이치로나'를 일본에서 승인받았다.
국내에선 아이진, 큐라티스, 에스티팜이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다.
mRNA 기술은 플랫폼 기술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한 번 기술을 확보하면 목표 질환에 따라 서열만 바꿔 다양한 의약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국내외 기업은 다양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모더나는 RSV용 mRNA 백신의 임상을 진행 중이며 mRNA 기술을 암,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희소 질환 등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선 SK바이오사이언스가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바이러스에 대한 mRNA 백신 개발에 나섰다.
GC녹십자는 독감용 mRNA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캐나다 소재 LNP 개발 기업 '아퀴타스 테라퓨틱스'와 LNP 기술을 도입하는 옵션 계약을 해 최근에 이 옵션을 행사했다.
삼양홀딩스와 LG화학도 mRNA 기반 항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파트너십 계약을 진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