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우후죽순'…"사업모델 못 만들면 버블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P, 닷컴버블·자율주행·가상화폐 등 과거 사례 소개
"모든 스타트업들, 투자 유치 위해 AI와 엮으려 노력" 챗GPT의 세계적 흥행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가 주목받고 있지만, 제대로 된 사업모델을 만들지 못하면 또 하나의 버블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자체적인 챗봇 모델을 내놓고 있다.
또 AI 스타트업들에 수십억 달러의 벤처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으며, 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들도 실적발표 시 AI를 주력 성장 분야로 내세우고 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과거 닷컴버블을 비롯해 자율주행차량·가상화폐 등과 관련한 버블이 있었는데, 이제는 모든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위해 자신들의 사업을 AI 기술과 엮으려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생성형 AI가 언제·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지, 혹은 수익을 창출할 수는 있을 것인지도 아직 불분명한 상태라고 WP는 전했다.
챗GPT 사용이 벌써 둔화하고 있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는 가운데 생성형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려면 특화된 반도체, 데이터 서버, 숙련된 엔지니어 등이 필요한 만큼 비용이 놀라울 정도로 많이 든다는 것이다.
이어 소셜미디어나 전자상거래 관련 기술이 비교적 저렴하게 온라인 광고에 접근 가능해진 덕분에 발달한 것과 달리, AI는 비용이 훨씬 많이 들고 그런 만큼 제대로 된 사업모델 없이는 성공이 더욱 어렵다고 평가했다.
벤처자본 회사 섹션32의 앤드루 해리슨 CEO는 "결국 가장 중요한 점은 AI가 비싼 소프트웨어일 뿐이라는 점"이라면서 "(지금보다) 10배 이상 나은 뭔가를 하지 못하면 저이윤 소프트웨어"라고 밝혔다.
게다가 챗GPT의 월간 사용자 수가 출시 3개월 만에 1억명에 이르고 있다는 투자은행 UBS의 올해 초 보고서가 화제가 됐지만, 이는 웹사이트 방문자 숫자를 가리키는 것이었을 뿐 공식적인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아니었다고 WP는 지적했다.
오픈AI 측은 챗GPT의 MAU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구글도 자사 챗봇인 바드 MAU를 비공개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사이버보안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생성형 AI 제품 가격을 밝혔는데, 실제 이용자 수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매출 감소, 대량 해고 등 악재에 직면했던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들은 올해 들어 AI 덕분에 평가 가치가 올라갔고 CEO들도 실적발표 때 AI에 대해 강조했지만, 어떻게 거액의 돈을 벌 수 있을지 구체적 내용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아마존 앤디 재시 CEO는 3일 "(생성형 AI 발전 정도는) 마라톤에서 몇 걸음 뛴 정도"라면서 "정말 초기이고, 대다수 업체가 여전히 어떻게 접근할지 따져보고 있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단기적으로는 생성형 AI에 쓰이는 반도체 부족이 큰 문제라고 미 CNN방송은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투자자들에게 그래픽처리장치(GPU) 부족이 잠재적으로 AI 분야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을 거론했다는 것이다.
무디스 투자서비스의 라지 조시는 업계에서 AI 수요로 '(반도체를 빨아들이는) 거대한 흡입음'이 나고 있다면서 "수요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늘어날지 누구도 모델화할 수 없다.
반도체업계가 이러한 수요 증가에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모든 스타트업들, 투자 유치 위해 AI와 엮으려 노력" 챗GPT의 세계적 흥행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가 주목받고 있지만, 제대로 된 사업모델을 만들지 못하면 또 하나의 버블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자체적인 챗봇 모델을 내놓고 있다.
또 AI 스타트업들에 수십억 달러의 벤처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으며, 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들도 실적발표 시 AI를 주력 성장 분야로 내세우고 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과거 닷컴버블을 비롯해 자율주행차량·가상화폐 등과 관련한 버블이 있었는데, 이제는 모든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위해 자신들의 사업을 AI 기술과 엮으려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생성형 AI가 언제·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지, 혹은 수익을 창출할 수는 있을 것인지도 아직 불분명한 상태라고 WP는 전했다.
챗GPT 사용이 벌써 둔화하고 있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는 가운데 생성형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려면 특화된 반도체, 데이터 서버, 숙련된 엔지니어 등이 필요한 만큼 비용이 놀라울 정도로 많이 든다는 것이다.
이어 소셜미디어나 전자상거래 관련 기술이 비교적 저렴하게 온라인 광고에 접근 가능해진 덕분에 발달한 것과 달리, AI는 비용이 훨씬 많이 들고 그런 만큼 제대로 된 사업모델 없이는 성공이 더욱 어렵다고 평가했다.
벤처자본 회사 섹션32의 앤드루 해리슨 CEO는 "결국 가장 중요한 점은 AI가 비싼 소프트웨어일 뿐이라는 점"이라면서 "(지금보다) 10배 이상 나은 뭔가를 하지 못하면 저이윤 소프트웨어"라고 밝혔다.
게다가 챗GPT의 월간 사용자 수가 출시 3개월 만에 1억명에 이르고 있다는 투자은행 UBS의 올해 초 보고서가 화제가 됐지만, 이는 웹사이트 방문자 숫자를 가리키는 것이었을 뿐 공식적인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아니었다고 WP는 지적했다.
오픈AI 측은 챗GPT의 MAU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구글도 자사 챗봇인 바드 MAU를 비공개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사이버보안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생성형 AI 제품 가격을 밝혔는데, 실제 이용자 수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매출 감소, 대량 해고 등 악재에 직면했던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들은 올해 들어 AI 덕분에 평가 가치가 올라갔고 CEO들도 실적발표 때 AI에 대해 강조했지만, 어떻게 거액의 돈을 벌 수 있을지 구체적 내용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아마존 앤디 재시 CEO는 3일 "(생성형 AI 발전 정도는) 마라톤에서 몇 걸음 뛴 정도"라면서 "정말 초기이고, 대다수 업체가 여전히 어떻게 접근할지 따져보고 있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단기적으로는 생성형 AI에 쓰이는 반도체 부족이 큰 문제라고 미 CNN방송은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투자자들에게 그래픽처리장치(GPU) 부족이 잠재적으로 AI 분야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을 거론했다는 것이다.
무디스 투자서비스의 라지 조시는 업계에서 AI 수요로 '(반도체를 빨아들이는) 거대한 흡입음'이 나고 있다면서 "수요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늘어날지 누구도 모델화할 수 없다.
반도체업계가 이러한 수요 증가에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