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설화'에 野혁신위 위태…비명계 "이재명, 뭐라도 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체포특권 포기 등 쇄신안 불발
출범 한달반 만에 좌초 위기
잇단 잡음에 '李 책임론' 부각
출범 한달반 만에 좌초 위기
잇단 잡음에 '李 책임론' 부각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잇단 설화로 더불어민주당 혁신위가 출범 약 한 달 반 만에 좌초 위기에 놓였다. 전권을 갖고 김 위원장을 임명한 이재명 대표가 책임져야 한다는 비판까지 나오면서 이 대표의 리더십까지 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당내에선 김 위원장과 혁신위를 향한 비판이 쏟아졌다. 박용진 의원은 라디오에 나와 “(김 위원장이) 본연의 임무에 더 충실하고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홍정민 의원은 자신의 SNS에 “연령에 따라 투표권을 차별하는 것은 비합리적인 주장”이라고 썼다. 정성호 의원도 “혁신위에서 잘못된 발언이었다고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비명(비이재명)계 김종민 의원은 이 대표를 향해서도 ‘책임’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SNS를 통해 “이 대표가 휴가 중에 보겠다는 드라마 ‘D.P.’도 ‘뭐라도 해야지’라며 잘못된 실상과 그 잘못을 방관하고 있는 사회에 대해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며 “당대표로서 정말 뭐라도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인선한 이 대표에게 사과 이상의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2030 청년좌담회’에서 “남은 수명에 따라 투표권이 주어져야 한다”는 발언을 통해 노인 폄하 논란에 불을 지폈다. 지난달 16일 라디오에선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 “자기 계파를 살리려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당 초선 의원들을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저하 세대’로 비유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당 혁신을 이끌겠다면서 불필요한 잡음만 내고 있다”는 비판이 민주당 내에서 제기된다. 지난 1일 인천시당에서 열린 시민 간담회에서도 대통령 호칭을 생략한 채 “윤석열 밑에서 통치받는 게 창피하다”고 말했다.
실언이 난무하는 가운데 정작 ‘혁신위 쇄신안’ 논의는 지지부진해 혁신위 무용론도 나온다. 1호 쇄신안인 불체포특권 포기는 ‘정당한 경우’라는 조건이 붙으며 반쪽짜리 대안으로 전락했다. 2호 쇄신안으로 발표한 체포동의안 기명 투표는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
2일 당내에선 김 위원장과 혁신위를 향한 비판이 쏟아졌다. 박용진 의원은 라디오에 나와 “(김 위원장이) 본연의 임무에 더 충실하고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홍정민 의원은 자신의 SNS에 “연령에 따라 투표권을 차별하는 것은 비합리적인 주장”이라고 썼다. 정성호 의원도 “혁신위에서 잘못된 발언이었다고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비명(비이재명)계 김종민 의원은 이 대표를 향해서도 ‘책임’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SNS를 통해 “이 대표가 휴가 중에 보겠다는 드라마 ‘D.P.’도 ‘뭐라도 해야지’라며 잘못된 실상과 그 잘못을 방관하고 있는 사회에 대해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며 “당대표로서 정말 뭐라도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인선한 이 대표에게 사과 이상의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2030 청년좌담회’에서 “남은 수명에 따라 투표권이 주어져야 한다”는 발언을 통해 노인 폄하 논란에 불을 지폈다. 지난달 16일 라디오에선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 “자기 계파를 살리려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당 초선 의원들을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저하 세대’로 비유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당 혁신을 이끌겠다면서 불필요한 잡음만 내고 있다”는 비판이 민주당 내에서 제기된다. 지난 1일 인천시당에서 열린 시민 간담회에서도 대통령 호칭을 생략한 채 “윤석열 밑에서 통치받는 게 창피하다”고 말했다.
실언이 난무하는 가운데 정작 ‘혁신위 쇄신안’ 논의는 지지부진해 혁신위 무용론도 나온다. 1호 쇄신안인 불체포특권 포기는 ‘정당한 경우’라는 조건이 붙으며 반쪽짜리 대안으로 전락했다. 2호 쇄신안으로 발표한 체포동의안 기명 투표는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