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1천400억원 최다…우리은행만 감소, 786억→636억원
금리인하요구 수용률은 농협 빼고 모두 하락…"신청 급증 때문" 해명

올해 들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여론으로부터 "돈 잔치", "이자 장사' 등의 지적을 받아온 시중 주요 은행들이 상반기 사회공헌액을 지난해보다 10% 넘게 늘렸다.

상반기 금리 인하요구 수용률의 경우 대부분의 주요 은행에서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은행에 "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한 금융소비자 가운데 거절당한 비율이 더 높아졌다는 뜻인데, 은행들은 "과거보다 조건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인하 요구권을 행사하는 고객 수 자체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이자장사' 뭇매에 5대 은행 사회공헌 12%↑…상반기 5천315억원
◇ 사회공헌액 KB>농협>하나>신한>우리…이익 절반인 농협, 우리의 두배
16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사회공헌·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올해 상반기 사회공헌 지원 금액은 모두 5천315억3천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
│ 5대 은행 사회공헌 지원액 합산 추이(단위: 억원, %) │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양경숙 의원실 제출 자료 │
├───────┬───────┬───────┬───────┬─────┤
│지원 부문 │ 2022년 전체│ 2022년 상반기│ 2023년 상반기│전년동기비│
│ │ │ │ │ 증감률│
├───────┼───────┼───────┼───────┼─────┤
│서민금융지원 │ 3,375.8│ 2,973.7│ 3,012.6│ 1.31│
├───────┼───────┼───────┼───────┼─────┤
│환경 │ 42.0│ 16.6│ 17.7│ 6.63│
├───────┼───────┼───────┼───────┼─────┤
│지역사회/공익 │ 2,950.7│ 1,098.2│ 1,562.2│ 42.25│
├───────┼───────┼───────┼───────┼─────┤
│학술/교육 │ 691.8│ 367.2│ 374.7│ 2.04│
├───────┼───────┼───────┼───────┼─────┤
│메세나/체육 │ 689.4│ 263.9│ 326.4│ 23.68│
├───────┼───────┼───────┼───────┼─────┤
│글로벌 │ 73.1│ 8.1│ 21.7│ 167.90│
├───────┼───────┼───────┼───────┼─────┤
│총계 │ 7,822.8│ 4,727.7│ 5,315.3│ 12.43│
└───────┴───────┴───────┴───────┴─────┘

지난해 같은 기간(4천727억7천만원)보다 12.4% 늘었고, 이미 작년 전체 지원액(7천822억8천만원)의 68%에 이른다.

지원 부문을 나눠보면, 서민금융 부문이 1년 사이 2천973억7천만원에서 3천12억6천만원으로 1.3%, 지역사회·공익 부문도 1천98억2천만원에서 1천562억2천만원으로 42.3% 증가했다.

은행별 지원액은 ▲ KB국민은행 1천399억2천만원 ▲ NH농협은행 1천278억원 ▲ 하나은행 1천37억원 ▲ 신한은행 965억3천만원 ▲ 우리은행 635억8천만원 순이었다.

┌─────────────────────────────────┐
│ 5대 은행별 사회공헌 지원액 순위 및 추이(단위: 억원, %) │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양경숙 의원실 제출 자료 │
├─────┬────────┬─────────┬────────┤
│ │2022년 상반기 │2023년 상반기 │증감률 │
├─────┼────────┼─────────┼────────┤
│KB국민 │ 1,222.5│ 1,399.2│ 14.45│
├─────┼────────┼─────────┼────────┤
│NH농협 │ 1,066│ 1,278│ 19.89│
├─────┼────────┼─────────┼────────┤
│하나 │ 706│ 1,037│ 46.88│
├─────┼────────┼─────────┼────────┤
│신한 │ 947│ 965.3│ 1.93│
├─────┼────────┼─────────┼────────┤
│우리 │ 786.2│ 635.8│ -19.13│
└─────┴────────┴─────────┴────────┘

최하위인 우리은행의 사회공헌액은 1위 KB국민은행의 절반 이하인 45% 수준에 불과했다.

올해 1분기 우리은행의 순이익(8천595억원)이 KB국민은행(9천315억원)의 92%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은행의 이익 대비 사회공헌액 비율이 뚜렷하게 낮은 셈이다.

특히 1분기 순이익이 우리은행보다 적은 NH농협은행(4천97억원)의 사회공헌액(1천278억원)이 우리은행의 두 배를 웃돌 정도다.

더구나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만 유일하게 올해 상반기 사회공헌액을 작년 상반기보다 줄였다.

은행별 전년 동기 대비 증감액과 증감률은 ▲ KB국민은행 176억7천만원(14.5%) ▲ NH농협은행 212억원(19.9%) ▲ 하나은행 331억원(46.9%) ▲ 신한은행 18억3천만원(1.9%) ▲ 우리은행 -150억4천만원(-19.1%)으로 집계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앞서 2월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 고통이 큰 만큼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 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후 금융당국도 같은 취지의 발언으로 압박에 가세했다.

이에 은행권은 상반기 내내 개별적으로, 또는 은행연합회를 통해 공동으로 서민금융 지원을 비롯한 상생 방안을 쏟아냈다.

◇ 금리인하수용률 농협 69% 최고, 나머지 18∼35% 수준…대부분 '퇴짜'
5대 은행의 상반기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은 NH농협을 제외하고 모두 작년 하반기보다 낮아졌다.

금리인하요구권은 금융소비자가 취직·승진·소득증가 등을 근거로 금리를 낮춰 달라고 은행에 요청할 수 있는 권리로, 수용률은 전체 요구(신청) 건수 대비 받아들여진 건수의 비율을 말한다.

┌─────────────────────────────────────┐
│ 5대 은행 금리인하요구 수용률 추이(단위: 건, %, %p) │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양경숙 의원실 제출 자료 │
├─────┬────────────┬───────────┬──────┤
│   │ 2022년 상반기 │ 2023년 상반기 │ 변동 │
│   │ (수용/신청) 수용률 │ (하나은행은 │ │
│   │ │2023년 3월말까지 집계)│ │
├─────┼────────────┼───────────┼──────┤
│KB국민 │ (12,761/33,650) 37.92│ (16,624/64,716) 25.69│ -12.2│
├─────┼────────────┼───────────┼──────┤
│신한  │ (40,070/123,799) 32.4│ (31,041/116,062) 26.7│ -5.7│
├──┬──┼────────────┼───────────┼──────┤
│하나│가계│ (3,861/11,945) 32.3│ (6,649/35,868) 18.5│ -13.8│
│ │대출│ │ │ │
│ ├──┼────────────┼───────────┼──────┤
│ │기업│ (153/201) 76.1│ (241/377) 63.9│ -12.2│
│ │대출│ │ │ │
├──┴──┼────────────┼───────────┼──────┤
│우리  │ (8,674/18,663) 46.48│ (33,818/96,790) 34.94│ -11.5│
├─────┼────────────┼───────────┼──────┤
│NH농협 │ (4,982/8,773) 56.8│ (9,332/13,563) 68.8│ +12.0│
└─────┴────────────┴───────────┴──────┘

상반기 자체 집계 결과 수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NH농협은행(68.8%·1만3천563건 중 9천332건 수용)이었다.

하나은행만 6월 말이 아닌 3월 말까지 수용률을 가계대출(18.5%)과 기업대출(63.9%)로 나눠 제출하면서, 최저 은행의 경우 명확하게 가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금리인하 요구의 절대다수가 가계대출에서 이뤄지는 만큼,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수용률(18.5%)로 미뤄 전체 수용률도 업계 최저 수준으로 추정된다.

6월 말 기준으로 전체 대출 수용률 통계를 낸 4개 은행 중에서는 KB(25.69%·6만4천716건 중 1만6천624건)가 가장 낮았다.

신한과 우리는 각 26.7%(11만6천62건 중 3만1천41건), 34.94%(9만6천790건 중 3만3천818건) 수준이었다.

작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NH농협만 56.8%에서 68.8%로 12%포인트(p) 높아졌고, KB(-12.2%p)와 우리(-11.5%p), 신한(-5.7%p)은 모두 떨어졌다.

하나은행 역시 작년 상반기 가계대출(32.3%)과 기업대출(76.1%) 수용률보다 올해 1∼3월 수용률(18.5%·63.9%)이 13.8%p, 12.2%p씩 하락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적극적 홍보 등을 통해 금리인하 요구권 행사를 독려한 결과, 인하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 신청 건수가 급증하면서 상대적으로 수용률은 불가피하게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례로 KB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상반기 신청 건수(6만4천716건)는 작년 같은 기간(3만3천650건)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