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드려 사죄해도…상인·지자체들 '전전긍긍'
여름 휴가철 성수기를 앞두고 바가지 논란이 잇달아 불거지면서 전국의 축제장과 상인들이 긴장하고 있다.

소비자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상인들은 엎드려 사죄하며 자정 노력을 약속했지만, 해마다 반복되는 논란을 지켜보는 여론은 싸늘하기만 하다.

◇전국에서 터진 바가지 요금 논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춘천 막국수 축제 가격 근황'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 2장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닭갈비, 감자전 사진과 함께 '지름 10㎝ 크기의 감자전이 3장에 2만5천원', '닭갈비 2인분 양·닭갈비 1인분 가격은 1만4천원'이라고 적었다.

그는 "이 정도면 축제가 아니라 한탕 해 먹으려는 범죄 아니냐"며 화를 삭이지 못했다.

사실관계 파악에 나선 축제 조직위원회는 "일반 음식점에서 감자전 1장을 7천∼8천원에 판매하고 있고, 최근 감자 가격이 올라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도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경북 영양군에서는 전통 과자 1봉지에 7만원을 요구하는 모습이 KBS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을 통해 방영돼 항의가 빗발쳤다.

군은 "축제 기간 옛날 과자류 판매를 위해 온 외부 상인"이라고 해명했으나 여론이 가라앉지 않자 대국민 사과문을 올렸다.

인천 소래포구 전통어시장도 '꽃게 바꿔치기' 논란이 일면서 한 차례 홍역을 치러야 했다.

"지난달 소래포구에서 살아있는 꽃게를 구매했는데 집에 와서 확인해보니 다리가 떨어진 꽃게로 바뀌어 있었다"는 불만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면서 벌어진 일이었다.

매년 되풀이되는 논란과 비판에 소래포구 상인들은 지난 12∼14일 위법 행위 근절 교육을 하고 호객 행위와 바가지요금 척결을 외치는 자정대회를 열었다. 고객에 대한 사과의 뜻으로 큰절을 올리고 어시장을 돌아다니며 바가지요금 근절을 결의하는 퍼레이드를 하기도 했다.

'어묵 한 그릇 1만원' 논란의 후유증을 겪고 있는 전남 함평지역 상인들도 이미지 실추에 냉가슴을 앓고 있다. 당시 나비 대축제장에서 관광객에게 바가지를 씌운 노점상은 전국의 축제를 찾아 떠도는 외지인이었는데도, 이미지 타격은 모두 함평 상인들의 몫이었다.

축제장 부스에 입점한 상인들은 비빔밥 한 그릇에 8천∼1만원, 파전 한 장은 1만원 안팎 등 시가지 음식점과 동일한 가격을 받았다.

상인회 관계자는 "피서철 함평 지역 해수욕장에서는 나비 대축제장 주변에서처럼 바가지요금을 받는 외지 노점상이 좌판을 벌였던 전례가 없다"며 "편견을 거둬들이고 함평을 방문해달라"고 호소했다.

◇팔 걷어붙인 지자체…바가지요금 근절 앞장

국내 최대 관광지인 제주도에서는 도의회가 관광 물가를 안정화하기 위한 입법 장치 마련에 나섰다.

민주당 소속 한동수 의원이 대표 발의한 '제주특별자치도 공정관광 육성 및 지원 조례 일부 개정안'은 바가지 논란 확산을 막고 제주도 내 관광지 물가 실태 조사를 진행할 법적 근거를 담고 있다.

관광지 물가 실태를 조사해 제주지역 물가가 실제로 타지역 또는 해외 관광지보다 높은지 등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찾는다는 것이다.

충남 보령시는 7월 1일 개장하는 대천해수욕장 등의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해 물가 관리 특별팀을 구성하고 부당요금 이동신고센터도 운영하기로 했다.

대규모 난장이 최대 볼거리인 강릉단오제는 부당 요금 근절을 위해 감자전 2장에 1만2천원, 막걸리인 단오주에 6천원의 정가를 매겼다. 또 어묵, 꼬치 등을 파는 상가에서는 가격을 공시하고 난장의 전매 행위도 단속해 바가지 논란을 잠재웠다.

경북 경산시는 22일부터 경산자인단오제를 열면서 상인들에게 일정 요금 이상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단오제가 열리는 자인 계정숲 안에서는 자인단오보존회와 계약한 지역 상인들만 음식물 등을 팔 수 있도록 했고, 판매 가격은 누가 봐도 납득할 수 있는 8천원 안팎으로 정했다.

이밖에 파주시의 '파주개성인삼축제'와 '장단콩축제', 대전시의 '0시 축제', 수원시의 '통닭거리 축제'도 합리적인 수준의 먹거리 가격으로 바가지 논란을 잠재우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