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조업 취업자 5만명 줄어…영세 업체일수록 감소폭 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종사자 1∼4인 업체서 4만5천명↓…감소분 90% 차지
올해 들어 제조업 취업자가 1년 전보다 5만명 줄었다.
취업자 감소분의 90%가 종사자 5인 미만인 업체로 소규모 업체일수록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449만명)보다 5만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 감소에 따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연속 줄고 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제조업을 영위하는 1∼4인 업체에서 올해 4만5천명 줄었다.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5만명)의 90%를 차지했다.
종사자가 5∼299인 업체에서는 2만2천명 줄었다.
반면 종사자가 300인 이상인 업체에서는 1만8천명 늘었다.
소규모 업체로 상대적으로 영세하다고 볼 수 있는 사업장일수록 취업자 수가 많이 감소한 것이다.
[표] 올해 제조업 취업자 종사자 규모별 추이
(단위: 명)
┌─────┬──────┬──────┬────┐
│ │2023년 1~5월│2022년 1~5월│증감 │
├─────┼──────┼──────┼────┤
│전체 │ 4,440,407│ 4,489,938│ -49,531│
├─────┼──────┼──────┼────┤
│1~4인 │ 595,997│ 641,063│ -45,065│
├─────┼──────┼──────┼────┤
│5~299인 │ 2,921,542│ 2,943,929│ -22,387│
├─────┼──────┼──────┼────┤
│300인 이상│ 922,867│ 904,946│ 17,921│
└─────┴──────┴──────┴────┘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김유빈 한국노동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조업 같은 경우는 하청 구조가 공고하게 짜여 있어서 수출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타격이 오면 하청업체부터 충격을 받고 조정돼 나가는 경향이 클 것"이라며 "고용 안정성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둔화에 따른 충격이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상대적으로 불안한 지위에 있는 취업자의 감소 폭도 더 컸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일용근로자는 2만4천명, 임시근로자는 2만2천명 각각 줄어 상용근로자 감소분(-3천명)보다 많았다.
제조업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만6천명 늘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7천명 감소했다.
건설업도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건설업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2천명 줄었다.
종사자가 1∼4인 업체에서 6만1천명이 줄어든 반면, 5∼299인에서는 2만4천명, 300인 이상에서는 5천명 각각 늘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건설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 6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취업자 감소분의 90%가 종사자 5인 미만인 업체로 소규모 업체일수록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449만명)보다 5만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 감소에 따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연속 줄고 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제조업을 영위하는 1∼4인 업체에서 올해 4만5천명 줄었다.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5만명)의 90%를 차지했다.
종사자가 5∼299인 업체에서는 2만2천명 줄었다.
반면 종사자가 300인 이상인 업체에서는 1만8천명 늘었다.
소규모 업체로 상대적으로 영세하다고 볼 수 있는 사업장일수록 취업자 수가 많이 감소한 것이다.
[표] 올해 제조업 취업자 종사자 규모별 추이
(단위: 명)
┌─────┬──────┬──────┬────┐
│ │2023년 1~5월│2022년 1~5월│증감 │
├─────┼──────┼──────┼────┤
│전체 │ 4,440,407│ 4,489,938│ -49,531│
├─────┼──────┼──────┼────┤
│1~4인 │ 595,997│ 641,063│ -45,065│
├─────┼──────┼──────┼────┤
│5~299인 │ 2,921,542│ 2,943,929│ -22,387│
├─────┼──────┼──────┼────┤
│300인 이상│ 922,867│ 904,946│ 17,921│
└─────┴──────┴──────┴────┘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김유빈 한국노동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조업 같은 경우는 하청 구조가 공고하게 짜여 있어서 수출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타격이 오면 하청업체부터 충격을 받고 조정돼 나가는 경향이 클 것"이라며 "고용 안정성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둔화에 따른 충격이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상대적으로 불안한 지위에 있는 취업자의 감소 폭도 더 컸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일용근로자는 2만4천명, 임시근로자는 2만2천명 각각 줄어 상용근로자 감소분(-3천명)보다 많았다.
제조업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만6천명 늘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7천명 감소했다.
건설업도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건설업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2천명 줄었다.
종사자가 1∼4인 업체에서 6만1천명이 줄어든 반면, 5∼299인에서는 2만4천명, 300인 이상에서는 5천명 각각 늘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건설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 6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