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WHO 신임 집행이사 첫 회의 불참…'국경봉쇄 유지' 방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종민 보건성 국장 신임이사 임명 불구 방광혁 차석대사가 참석
3년 넘게 방역 이유로 국경봉쇄…"국제기구와 인적교류 재개 부담" 관측도 북한이 논란 속에 세계보건기구(WHO)의 새 집행이사국으로 선출된 이후 처음 열린 회의에서 신임 집행이사 대신 제네바 주재 외교관을 참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WHO가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해제했지만 북한은 3년 넘게 방역을 이유로 국경을 걸어 잠근 채 여전히 국제사회와 인적 교류를 기피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WHO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집행이사회 회의에 방광혁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를 참석시켰다.
이 회의는 WHO가 지난달 26일 총회에서 새 집행이사국을 선출한 이후 처음 열린 자리다.
WHO 집행이사국은 모두 34개국으로 구성되는데, 임기가 만료된 10개 국가의 후임으로 새 집행이사국이 선출됐다.
북한과 호주, 바베이도스, 카메룬, 코모로, 레소토, 카타르, 스위스, 토고, 우크라이나 등이 임기 3년의 새 집행이사국이 됐다.
당시 미국은 북한의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등을 지적하며 유감을 드러냈고, 한국 정부도 유엔의 권위를 무시해온 북한이 과연 국제규범을 준수해야 하는 WHO 집행이사국 기준에 부합하는지 의문시된다며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이런 지적을 뒤로한 채 북한은 보건의료 분야 박사 학위를 지닌 전문가로 알려진 박종민 보건성 대외협력국장을 WHO 집행이사로 임명했다.
그는 2016년 5월31일 북한 보건성이 WHO와 함께 평양에서 개최한 '세계 금연의 날' 행사에 관여하는 등 WHO와 오랜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인도, 파키스탄 등을 포함하는 남·동아시아 지역 몫으로 새 집행이사국이 됐다.
북한이 남·동아시아 지역에서 배출할 새 집행이사국 후보로 이미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신임 집행이사로 내정해둔 박 국장을 집행이사회 첫 회의에 맞춰 제네바로 보낼 시간적 여유는 충분히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박 국장 대신 방 차석대사가 회의장에 나온 것은 북한이 신임 집행이사 파견 시기를 뒤로 미루고 있다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
북한이 새 인물을 국제무대로 보낸다는 것은 2020년 초부터 이어온 국경봉쇄 조치를 풀고 국제기구와 인적 교류를 재개하겠다는 신호처럼 해석된다.
한대성 대사를 비롯한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의 진용도 국경봉쇄 기간에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다.
인적 교류를 재개하면 WHO뿐 아니라 세계식량농업기구와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 유엔개발계획(UNDP) 등 유엔 산하기구들이 북한에 상주 인력을 보내겠다는 요청을 거절할 명분이 더욱 약해진다.
북한은 국경봉쇄 이후로 해당 기구들의 상주 인력을 받지 않고 있다.
북한의 보건·식량 사정과 인권 현황 등을 객관적으로 지켜볼 국제기구의 현장 인력이 현재로선 없는 셈이다.
코로나19에 대한 경계 태세가 풀린 상황인데도 북한이 국경을 걸어 잠근 배경에는 내부 사정이 국제사회의 '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담긴 게 아니냐는 분석이 많다.
북한은 방역을 이유로 한 국경봉쇄가 갈수록 설득력을 잃고 있는 점을 고려해 우방국들과의 교류부터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 경우에도 북한은 인도적 사업을 벌이는 유엔 기구들의 인력 상주를 허용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3년 넘게 방역 이유로 국경봉쇄…"국제기구와 인적교류 재개 부담" 관측도 북한이 논란 속에 세계보건기구(WHO)의 새 집행이사국으로 선출된 이후 처음 열린 회의에서 신임 집행이사 대신 제네바 주재 외교관을 참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WHO가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해제했지만 북한은 3년 넘게 방역을 이유로 국경을 걸어 잠근 채 여전히 국제사회와 인적 교류를 기피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WHO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집행이사회 회의에 방광혁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를 참석시켰다.
이 회의는 WHO가 지난달 26일 총회에서 새 집행이사국을 선출한 이후 처음 열린 자리다.
WHO 집행이사국은 모두 34개국으로 구성되는데, 임기가 만료된 10개 국가의 후임으로 새 집행이사국이 선출됐다.
북한과 호주, 바베이도스, 카메룬, 코모로, 레소토, 카타르, 스위스, 토고, 우크라이나 등이 임기 3년의 새 집행이사국이 됐다.
당시 미국은 북한의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등을 지적하며 유감을 드러냈고, 한국 정부도 유엔의 권위를 무시해온 북한이 과연 국제규범을 준수해야 하는 WHO 집행이사국 기준에 부합하는지 의문시된다며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이런 지적을 뒤로한 채 북한은 보건의료 분야 박사 학위를 지닌 전문가로 알려진 박종민 보건성 대외협력국장을 WHO 집행이사로 임명했다.
그는 2016년 5월31일 북한 보건성이 WHO와 함께 평양에서 개최한 '세계 금연의 날' 행사에 관여하는 등 WHO와 오랜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인도, 파키스탄 등을 포함하는 남·동아시아 지역 몫으로 새 집행이사국이 됐다.
북한이 남·동아시아 지역에서 배출할 새 집행이사국 후보로 이미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신임 집행이사로 내정해둔 박 국장을 집행이사회 첫 회의에 맞춰 제네바로 보낼 시간적 여유는 충분히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박 국장 대신 방 차석대사가 회의장에 나온 것은 북한이 신임 집행이사 파견 시기를 뒤로 미루고 있다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
북한이 새 인물을 국제무대로 보낸다는 것은 2020년 초부터 이어온 국경봉쇄 조치를 풀고 국제기구와 인적 교류를 재개하겠다는 신호처럼 해석된다.
한대성 대사를 비롯한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의 진용도 국경봉쇄 기간에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다.
인적 교류를 재개하면 WHO뿐 아니라 세계식량농업기구와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 유엔개발계획(UNDP) 등 유엔 산하기구들이 북한에 상주 인력을 보내겠다는 요청을 거절할 명분이 더욱 약해진다.
북한은 국경봉쇄 이후로 해당 기구들의 상주 인력을 받지 않고 있다.
북한의 보건·식량 사정과 인권 현황 등을 객관적으로 지켜볼 국제기구의 현장 인력이 현재로선 없는 셈이다.
코로나19에 대한 경계 태세가 풀린 상황인데도 북한이 국경을 걸어 잠근 배경에는 내부 사정이 국제사회의 '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담긴 게 아니냐는 분석이 많다.
북한은 방역을 이유로 한 국경봉쇄가 갈수록 설득력을 잃고 있는 점을 고려해 우방국들과의 교류부터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 경우에도 북한은 인도적 사업을 벌이는 유엔 기구들의 인력 상주를 허용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