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대표, 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만의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 대표가 지난 25~26일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년 열리는 이 회의는 아시아·태평양 역내 무역·투자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통상장관 간 회의체다.
29일 공상시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은 지난 27일 저녁 보도자료를 통해 덩전중 OTN 대표가 올해 의장국인 미국에서 캐서린 타이 무역대표부(USTR)의 주재로 열린 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OTN은 이번 회의가 '다자무역체제 강화', '지속가능·포용적 성장을 위한 무역의 역할'을 의제로 개최됐다고 언급했다.
또한 대만 정부가 지난 1월 10일 기존의 '온실가스감량관리법'을 전면 개정한 기후변화대응법'이 입법원(국회)을 통과함에 따라 2050년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 목표의 설정 및 세계무역기구(WTO)와 APEC에 적극 참여해 환경제품과 환경 서비스 등 관련 의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OTN은 덩 OTN 대표와 캐서린 타이 USTR 대표의 양자 회담에서 양측이 '21세기 무역이니셔티브'로 인해 무역과 투자 업무에 대한 양자 간 파트너십 관계를 심화 발전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덩 OTN 대표는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대만이 법치와 국제적 약속을 준수하며 높은 기준의 무역과 투자 규범을 수용할 준비를 마쳤다고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이어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회원국들이 대만이 CPTPP에 하루속히 가입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번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P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결성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임기 당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자 일본, 캐나다, 호주, 멕시코, 페루, 베트남 등 나머지 11개 국가가 2018년 12월 30일 출범했다.
CPTPP는 상품 무역에서 관세 철폐 수준이 높은 편이다.
또 기술 장벽, 투자, 서비스, 지식재산권, 전자상거래 등과 관련된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중국, 대만,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이 가입을 신청한 상태이며, 한국도 가입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매년 열리는 이 회의는 아시아·태평양 역내 무역·투자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통상장관 간 회의체다.
29일 공상시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은 지난 27일 저녁 보도자료를 통해 덩전중 OTN 대표가 올해 의장국인 미국에서 캐서린 타이 무역대표부(USTR)의 주재로 열린 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OTN은 이번 회의가 '다자무역체제 강화', '지속가능·포용적 성장을 위한 무역의 역할'을 의제로 개최됐다고 언급했다.
또한 대만 정부가 지난 1월 10일 기존의 '온실가스감량관리법'을 전면 개정한 기후변화대응법'이 입법원(국회)을 통과함에 따라 2050년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 목표의 설정 및 세계무역기구(WTO)와 APEC에 적극 참여해 환경제품과 환경 서비스 등 관련 의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OTN은 덩 OTN 대표와 캐서린 타이 USTR 대표의 양자 회담에서 양측이 '21세기 무역이니셔티브'로 인해 무역과 투자 업무에 대한 양자 간 파트너십 관계를 심화 발전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덩 OTN 대표는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대만이 법치와 국제적 약속을 준수하며 높은 기준의 무역과 투자 규범을 수용할 준비를 마쳤다고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이어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회원국들이 대만이 CPTPP에 하루속히 가입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번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P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결성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임기 당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자 일본, 캐나다, 호주, 멕시코, 페루, 베트남 등 나머지 11개 국가가 2018년 12월 30일 출범했다.
CPTPP는 상품 무역에서 관세 철폐 수준이 높은 편이다.
또 기술 장벽, 투자, 서비스, 지식재산권, 전자상거래 등과 관련된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중국, 대만,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이 가입을 신청한 상태이며, 한국도 가입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