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업의 디폴트 대비방법은…"단기국채 팔고 현금 늘려야"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상향 문제를 둘러싸고 채무 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만일에 대비해 미 기업들이 단기 미 국채를 팔고 현금 보유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디폴트로 정부 지출이 막힐 경우에 대비해 기업들이 정부 계약 비중을 평가하고 긴급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디폴트 발생 시 당장 영향을 받게 되는 기업은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고 있는 경우로, 대금 지급이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지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방위산업·보건 분야가 디폴트에 취약하고 정부와 계약이 많은 테크 기업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밴더빌트대 조슈아 화이트 교수는 "우리 모두 디폴트가 없기를 바라지만, 희망이 계획인 것은 아니다"라면서 "기업들은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젠가는 해결되겠지만 기업들로서는 얼마나 디폴트 상태가 길어질지, 얼마나 타격이 있을지, 그때까지 버틸 수 있을지 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군인들이 거주하는 마을일 경우 정부 지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지역사회에도 여파가 미칠 것"이라면서 이들 지역의 영세기업은 현금 보유를 늘리고, 달러 가치 하락에 대비해 다른 통화를 보유할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또 디폴트에 따른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대형 프로젝트 중단 등을 통해 현금을 많이 보유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켄트 스메터스 교수는 중소기업들이 대금결제 등에 대출을 활용한 경우가 많은 만큼 디폴트시 신용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이 대출을 상당 부분 줄일 가능성이 있고, 은행 예금은 미 국채에 묶여있는 경우가 많은데 디폴트시 이자 지급이 제대로 안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의 해리 마매이스키 교수는 일반 기업도 미 국채 보유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다음 달 초·중순에 만기가 도래하는 미국 단기 국채를 보유하고 있고 여기서 나오는 돈으로 협력업체 대금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 1∼2주간 꼼짝 못 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뉴욕대 W.R.버클리 혁신연구소의 신시아 프랭클린은 디폴트 발생 시 소비자 신뢰지수 하락 가능성도 거론하면서,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