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는 시작일 뿐…"AI는 인간 문명의 전환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간 'AI 이후의 세계'·'1%를 보는 눈'
2016년 세계 바둑계의 최강자 중 한명인 이세돌은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인공지능(AI) '알파고'와 세기의 대결을 펼쳤다.
이세돌이 패하리라 예상한 사람들은 별로 없었다.
이세돌도 다섯 번의 대국 중 한 번 정도는 질 것 같다고 겸양했다.
그러나 며칠 후 인터넷에선 '이세돌 알파고에 충격의 패배'라는 속보가 떴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이세돌은 연패 끝에 1승을 거두며 겨우 체면을 세웠다.
종합 전적은 1승4패. 기록으로 남은 모든 기보를 학습한 알파고를 인간이 이긴다는 것 자체가 돌이켜 생각해보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다.
단지 사람들이 AI의 엄청난 능력에 대해 그때는 짐작조차 못했을 뿐이다.
그로부터 1년 후. 역시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알파제로'는 체스 프로그램 챔피언 스톡피시를 꺾었다.
알파제로는 '알파고'나 기존 체스 프로그램처럼 인간의 경험과 지식, 전략에 의존하지 않았다.
개발자들은 알파제로에 그저 체스 규칙을 알려준 후 승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찾으라고 지시했을 뿐이다.
알파제로는 4시간 동안 자기 자신과 대국한 후 세계 최강의 체스 프로그램 자리에 올랐다.
알파제로는 대국에서 인간이 단 한 번도 두지 않은 수를 뒀다.
체스 선수들은 알파제로의 전략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벌어진 일들이다.
이제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 GPT까지 나왔다.
보고서 같은 일상 업무에 필요한 문서는 물론, 소설, 시까지 쓸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사람들은 넷플릭스를 보듯, 일정한 구독료를 내고 챗 GPT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 속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 에릭 슈밋 전 구글 CEO(최고경영자), 대니얼 허트로커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슈워츠먼컴퓨티대 초대 학장 등 3명의 전문가가 정기적으로 만나 AI를 주제로 사색하고 대화를 나눴다.
최근 출간된 'AI 이후의 세계'(윌북)는 세계 질서의 대전환이 확실시되는 AI 시대에 대한 이들의 통찰을 담은 책이다.
AI는 이미 도처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령, 의학 분야에서 MIT는 AI를 이용해 기존 항생제가 통하지 않았던 내성균을 사멸하는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했다.
AI는 6천개에 달하는 분자 가운데 ▲ 항생 효과가 있고 ▲ 기존 항생제와 다르며 ▲ 무독성으로 예측되는 분자를 찾으라는 명령을 충실히 수행해 단 하나의 분자를 찾았다.
비용 때문에 엄두도 내지 못했을 프로젝트를 AI를 활용해 저비용으로 수행한 것이다.
의학 분야뿐 아니다.
AI는 사회·정치·외교·기술·군사 등 다방면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집안일 같은 소소한 일상부터 자연재해 예방, 더 깊이 있는 수·과학 지식의 창출, 핵과 사이버 국가 안보에 관한 전력 분석 등 다양한 분야로 AI 기술이 퍼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회가 AI 기술의 혜택을 공평하게 받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들은 향후 AI를 파트너 삼은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는 엄청난 격차가 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아울러 15세기 인쇄 혁명 이후 인간은 가장 큰 문명의 전환점에 서 있다고 강조한다.
엄청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대비도 필요하다.
그리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AI 기술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함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이다.
저자들은 "AI 시대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시대의 지침이 될 윤리 체계를 확립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AI가 대세가 되겠지만 적어도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저널리스트인 크리스 존스도 그런 사람 중에 하나다.
그는 신간 '1%를 보는 눈'(추수밭)에서 의사, 기업 임원, 운동선수, 기상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만나 기계가 아닌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일들을 소개한다.
저자는 숫자나 AI로 설명되지 않는 '뜨거운 세계'가 있다고 말한다.
"유능한 창작자들이 자기 일에 관해 말하는 이야기는 아무리 들어도 싫증 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절망에 빠졌을 때 처방받을 수 있는 일종의 치료제와 같다.
" ▲ AI 이후의 세계 = 김고명 옮김. 296쪽.
▲ 1%를 보는 눈 = 이애리 옮김. 344쪽.
/연합뉴스
이세돌이 패하리라 예상한 사람들은 별로 없었다.
이세돌도 다섯 번의 대국 중 한 번 정도는 질 것 같다고 겸양했다.
그러나 며칠 후 인터넷에선 '이세돌 알파고에 충격의 패배'라는 속보가 떴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이세돌은 연패 끝에 1승을 거두며 겨우 체면을 세웠다.
종합 전적은 1승4패. 기록으로 남은 모든 기보를 학습한 알파고를 인간이 이긴다는 것 자체가 돌이켜 생각해보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다.
단지 사람들이 AI의 엄청난 능력에 대해 그때는 짐작조차 못했을 뿐이다.
그로부터 1년 후. 역시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알파제로'는 체스 프로그램 챔피언 스톡피시를 꺾었다.
알파제로는 '알파고'나 기존 체스 프로그램처럼 인간의 경험과 지식, 전략에 의존하지 않았다.
개발자들은 알파제로에 그저 체스 규칙을 알려준 후 승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찾으라고 지시했을 뿐이다.
알파제로는 4시간 동안 자기 자신과 대국한 후 세계 최강의 체스 프로그램 자리에 올랐다.
알파제로는 대국에서 인간이 단 한 번도 두지 않은 수를 뒀다.
체스 선수들은 알파제로의 전략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벌어진 일들이다.
이제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 GPT까지 나왔다.
보고서 같은 일상 업무에 필요한 문서는 물론, 소설, 시까지 쓸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사람들은 넷플릭스를 보듯, 일정한 구독료를 내고 챗 GPT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 속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 에릭 슈밋 전 구글 CEO(최고경영자), 대니얼 허트로커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슈워츠먼컴퓨티대 초대 학장 등 3명의 전문가가 정기적으로 만나 AI를 주제로 사색하고 대화를 나눴다.
최근 출간된 'AI 이후의 세계'(윌북)는 세계 질서의 대전환이 확실시되는 AI 시대에 대한 이들의 통찰을 담은 책이다.
AI는 이미 도처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령, 의학 분야에서 MIT는 AI를 이용해 기존 항생제가 통하지 않았던 내성균을 사멸하는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했다.
AI는 6천개에 달하는 분자 가운데 ▲ 항생 효과가 있고 ▲ 기존 항생제와 다르며 ▲ 무독성으로 예측되는 분자를 찾으라는 명령을 충실히 수행해 단 하나의 분자를 찾았다.
비용 때문에 엄두도 내지 못했을 프로젝트를 AI를 활용해 저비용으로 수행한 것이다.
의학 분야뿐 아니다.
AI는 사회·정치·외교·기술·군사 등 다방면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집안일 같은 소소한 일상부터 자연재해 예방, 더 깊이 있는 수·과학 지식의 창출, 핵과 사이버 국가 안보에 관한 전력 분석 등 다양한 분야로 AI 기술이 퍼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회가 AI 기술의 혜택을 공평하게 받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들은 향후 AI를 파트너 삼은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는 엄청난 격차가 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아울러 15세기 인쇄 혁명 이후 인간은 가장 큰 문명의 전환점에 서 있다고 강조한다.
엄청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대비도 필요하다.
그리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AI 기술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함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이다.
저자들은 "AI 시대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시대의 지침이 될 윤리 체계를 확립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AI가 대세가 되겠지만 적어도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저널리스트인 크리스 존스도 그런 사람 중에 하나다.
그는 신간 '1%를 보는 눈'(추수밭)에서 의사, 기업 임원, 운동선수, 기상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만나 기계가 아닌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일들을 소개한다.
저자는 숫자나 AI로 설명되지 않는 '뜨거운 세계'가 있다고 말한다.
"유능한 창작자들이 자기 일에 관해 말하는 이야기는 아무리 들어도 싫증 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절망에 빠졌을 때 처방받을 수 있는 일종의 치료제와 같다.
" ▲ AI 이후의 세계 = 김고명 옮김. 296쪽.
▲ 1%를 보는 눈 = 이애리 옮김. 344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