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주행거리보다 안전확보가 중요…정책 논의 시작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3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 개최
국내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1회 충전 주행거리 개선보다 소비자 안전 확보가 선결과제라는 주장이 나왔다.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2일 '전기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운전 거리를 늘리는 데 대한 요구보다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교수는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고 일단 발화됐을 때 빠르게 열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려울 수 있다"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단순히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을 늘리는 것보다 안전한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역시 "최근 3년간 충전 과정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29건으로 사고 원인 2위"라며 "충전시설이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지만, 현재의 주차장법에는 별도의 안전 설비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방청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보다 상세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2017년부터 2022년 7월까지 급발진 의심 201건 중 전기차 사례가 20건이나 된다"며 "자동차 및 전기차 전문가, 민간 전문가, 제조사 관계자 등이 모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 기구를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보다 안전과 관련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 고문은 "전기차 안전은 화재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며 "(배터리 무게) 증량·증가로 인한 주행 중 자동차의 거동 변화와 충돌 사고 발생 시 대상물의 충격 강도 증가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는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기차와 핵심 부품 안전 관련 정책적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원 배터리에 대해 정부가 사전에 승인하고, 제작에서부터 폐차 및 재활용까지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축전지 사전 승인 및 이력 관리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석 부원장은 "국제적으로 배터리 1개의 셀에서 문제가 발생해 화재 발생 시 다른 셀로 빠른 전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열전이 지연 성능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발 논의 중"이라며 "전기차 주행거리에 따른 성능 기준도 신설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기차 업체의 불완전한 리콜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전기차 보급 확대로 2018년 3건이던 전기차 리콜은 2022년 67건으로 증가했다"며 "화재 사고로 이어진 경우 여론에 이끌려 불완전한 리콜을 실시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일반적인 리콜은 결함 확인 후 한 번 정도 리콜을 실시하지만, 고전압 배터리 리콜은 최소 2회 최대 4회까지 반복하고 결함 내용과 시정 방법도 상이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하에서 전기차 충전 중에 발생하는 화재 사고를 줄이기 위해 현재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 100%로 되어 있는 지하 충전시설의 완속 충전기를 100% 이하로 제한해 화재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 사고에 대한 정확한 유형 진단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후경 이브이올 대표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 안전사고는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난다"며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기차 안전 대응방안과 관련해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해 조치할 수 있는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백창인 현대자동차 통합안전개발실장은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모듈, 시스템 단위의 단품 시험을 통해 배터리 화재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주행 중 충격을 줄 수 있는 노면 위 장애물의 하부 충격 상황을 가정한 전기차에 특화된 개발 기준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충돌사고 시 화재 발생사례에 대해 백 실장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기준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화재 원인을 분석해 선행 개발 단계부터 이를 반영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로 열렸다.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막식에 앞서 열린 심포지엄은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됐다.
제주=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2일 '전기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운전 거리를 늘리는 데 대한 요구보다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교수는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고 일단 발화됐을 때 빠르게 열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려울 수 있다"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단순히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을 늘리는 것보다 안전한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역시 "최근 3년간 충전 과정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29건으로 사고 원인 2위"라며 "충전시설이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지만, 현재의 주차장법에는 별도의 안전 설비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방청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보다 상세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2017년부터 2022년 7월까지 급발진 의심 201건 중 전기차 사례가 20건이나 된다"며 "자동차 및 전기차 전문가, 민간 전문가, 제조사 관계자 등이 모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 기구를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보다 안전과 관련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 고문은 "전기차 안전은 화재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며 "(배터리 무게) 증량·증가로 인한 주행 중 자동차의 거동 변화와 충돌 사고 발생 시 대상물의 충격 강도 증가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는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기차와 핵심 부품 안전 관련 정책적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원 배터리에 대해 정부가 사전에 승인하고, 제작에서부터 폐차 및 재활용까지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축전지 사전 승인 및 이력 관리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석 부원장은 "국제적으로 배터리 1개의 셀에서 문제가 발생해 화재 발생 시 다른 셀로 빠른 전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열전이 지연 성능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발 논의 중"이라며 "전기차 주행거리에 따른 성능 기준도 신설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기차 업체의 불완전한 리콜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전기차 보급 확대로 2018년 3건이던 전기차 리콜은 2022년 67건으로 증가했다"며 "화재 사고로 이어진 경우 여론에 이끌려 불완전한 리콜을 실시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일반적인 리콜은 결함 확인 후 한 번 정도 리콜을 실시하지만, 고전압 배터리 리콜은 최소 2회 최대 4회까지 반복하고 결함 내용과 시정 방법도 상이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하에서 전기차 충전 중에 발생하는 화재 사고를 줄이기 위해 현재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 100%로 되어 있는 지하 충전시설의 완속 충전기를 100% 이하로 제한해 화재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 사고에 대한 정확한 유형 진단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후경 이브이올 대표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 안전사고는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난다"며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기차 안전 대응방안과 관련해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해 조치할 수 있는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백창인 현대자동차 통합안전개발실장은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모듈, 시스템 단위의 단품 시험을 통해 배터리 화재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주행 중 충격을 줄 수 있는 노면 위 장애물의 하부 충격 상황을 가정한 전기차에 특화된 개발 기준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충돌사고 시 화재 발생사례에 대해 백 실장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기준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화재 원인을 분석해 선행 개발 단계부터 이를 반영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로 열렸다.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막식에 앞서 열린 심포지엄은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됐다.
제주=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