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질환 진단이 자살 위험 높여…환자에 관심 가져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병원, 1만3천명 분석…"실명질환 진단 후 3∼6개월째 가장 위험"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안과 질환을 진단받은 사람의 자살 위험이 높아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서울대병원 안과 김영국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과 통계청 데이터에서 2010∼2020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확인된 1만3천20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실명 질환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7일 밝혔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34%(4천514명)가 자살 전에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을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질환은 초기 증상을 자각하기 어렵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어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서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의 유병률은 각각 48%, 57%, 9%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이들 3개 질환이 자살 위험도를 최대 1.4 배까지 높이는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실명 질환 환자는 최초 진단 후 3∼6개월째 자살 위험도가 5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영국 교수는 "녹내장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살률이 꾸준히 높아졌지만, 당뇨망막병증과 황반변성은 70~80세 이후 고령층에서 자살률이 높았다"면서 "의료진과 가족은 실명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관리하는 등 자살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안과학'(Ophthalm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안과 김영국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과 통계청 데이터에서 2010∼2020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확인된 1만3천20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실명 질환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7일 밝혔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34%(4천514명)가 자살 전에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을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질환은 초기 증상을 자각하기 어렵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어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서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의 유병률은 각각 48%, 57%, 9%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이들 3개 질환이 자살 위험도를 최대 1.4 배까지 높이는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실명 질환 환자는 최초 진단 후 3∼6개월째 자살 위험도가 5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영국 교수는 "녹내장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살률이 꾸준히 높아졌지만, 당뇨망막병증과 황반변성은 70~80세 이후 고령층에서 자살률이 높았다"면서 "의료진과 가족은 실명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관리하는 등 자살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안과학'(Ophthalm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