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 자수했는데 형량 그대로 계산…대법 "다시 재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타인을 허위 사실로 고소해 재판에 넘겨졌다가 잘못을 스스로 인정했는데도 이를 형량에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판결이 파기됐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무고죄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3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
A씨는 2019년 11월 30일 앞서 다른 사건으로 자신이 고소한 B씨에 대해 피해자 진술을 하던 중 "B씨에게 협박과 모욕, 명예훼손, 폭행 등 피해도 봤다"며 허위로 고소했다.
수사 당국은 B씨의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하면서 A씨를 무고죄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재판에서 무고 혐의를 전부 인정했고 법원은 1·2심 모두 혐의를 유죄로 판단해 벌금 300만원을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1·2심이 양형(형량을 정하는 일) 이유 부분에 법률상 처단형 범위를 '벌금 1천500만원 이하'라고 잘못 기재했다며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다.
형법에 따르면 무고죄의 형량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인데, 무고 피해자의 재판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하면 벌금형 또는 징역형 형량의 절반을 감경해야 한다.
이에 따라 A씨의 형량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50만원의 벌금형이 되는데, 1·2심이 1천500만원 이하의 범위에서 벌금을 정한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 대법원 판단이다.
대법원은 "원심 판결에는 무고죄에서 형량을 감면해야 하는 사유인 자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무고죄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3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
A씨는 2019년 11월 30일 앞서 다른 사건으로 자신이 고소한 B씨에 대해 피해자 진술을 하던 중 "B씨에게 협박과 모욕, 명예훼손, 폭행 등 피해도 봤다"며 허위로 고소했다.
수사 당국은 B씨의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하면서 A씨를 무고죄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재판에서 무고 혐의를 전부 인정했고 법원은 1·2심 모두 혐의를 유죄로 판단해 벌금 300만원을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1·2심이 양형(형량을 정하는 일) 이유 부분에 법률상 처단형 범위를 '벌금 1천500만원 이하'라고 잘못 기재했다며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다.
형법에 따르면 무고죄의 형량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인데, 무고 피해자의 재판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하면 벌금형 또는 징역형 형량의 절반을 감경해야 한다.
이에 따라 A씨의 형량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50만원의 벌금형이 되는데, 1·2심이 1천500만원 이하의 범위에서 벌금을 정한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 대법원 판단이다.
대법원은 "원심 판결에는 무고죄에서 형량을 감면해야 하는 사유인 자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