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공분 산 '제주 4·3 왜곡 현수막' 곳곳서 훼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주4·3을 '김일성 공산폭동'으로 왜곡한 일부 정당 현수막이 잇달아 훼손됐다.
또 해당 현수막을 전면 비판하는 내용의 현수막도 등장하는 등 도민사회 내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4일 자유논객연합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내건 '제주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는 내용의 현수막 80여 개 중 10여개가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찢어지거나 사라졌다.
우리공화당, 자유당, 자유민주당, 자유통일당 등 4개 정당과 자유논객연합 명의로 돼 있는 이 현수막은 지난 21일 게시됐다.
현수막 훼손은 왜곡된 내용에 대한 도민 사회 공분이 표현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몇몇 마을은 '4·3 왜곡 현수막이 잘못된 역사 인식으로 생존 희생자 및 유족들에게 상처를 주고 국민 분열을 야기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마을회 차원에서 인근에 설치된 4·3 왜곡 현수막을 철거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제주시 을)은 이 현수막 위에 '4·3영령이여, 저들을 용서치 마소서. 진실을 왜곡하는 낡은 색깔론, 그입 다물라!'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걸었다.
자유논객연합 김동일 회장은 이날 연합뉴스 통화에서 "현재 각 경찰서를 방문하며 현수막 훼손과 관련해 수사 의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 의하면 4·3은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대회에서의 경찰 발포 사건과 이어진 경찰의 과도한 검거 작전 등이 도화선이 됐다.
또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무장봉기는 남로당 중앙당 지시 없이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진상조사보고서를 토대로 4·3은 제주도의 특수한 여건과 3·1절 발포사건 이후 비롯된 경찰·서북청년단과 제주도민과의 갈등, 그로 인해 빚어진 긴장 상황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5·10 단독선거 반대 투쟁과 접목해 일으킨 사건으로 판단했다.
dragon.
/연합뉴스
또 해당 현수막을 전면 비판하는 내용의 현수막도 등장하는 등 도민사회 내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4일 자유논객연합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내건 '제주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는 내용의 현수막 80여 개 중 10여개가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찢어지거나 사라졌다.
우리공화당, 자유당, 자유민주당, 자유통일당 등 4개 정당과 자유논객연합 명의로 돼 있는 이 현수막은 지난 21일 게시됐다.
현수막 훼손은 왜곡된 내용에 대한 도민 사회 공분이 표현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몇몇 마을은 '4·3 왜곡 현수막이 잘못된 역사 인식으로 생존 희생자 및 유족들에게 상처를 주고 국민 분열을 야기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마을회 차원에서 인근에 설치된 4·3 왜곡 현수막을 철거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제주시 을)은 이 현수막 위에 '4·3영령이여, 저들을 용서치 마소서. 진실을 왜곡하는 낡은 색깔론, 그입 다물라!'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걸었다.
자유논객연합 김동일 회장은 이날 연합뉴스 통화에서 "현재 각 경찰서를 방문하며 현수막 훼손과 관련해 수사 의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 의하면 4·3은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대회에서의 경찰 발포 사건과 이어진 경찰의 과도한 검거 작전 등이 도화선이 됐다.
또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무장봉기는 남로당 중앙당 지시 없이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진상조사보고서를 토대로 4·3은 제주도의 특수한 여건과 3·1절 발포사건 이후 비롯된 경찰·서북청년단과 제주도민과의 갈등, 그로 인해 빚어진 긴장 상황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5·10 단독선거 반대 투쟁과 접목해 일으킨 사건으로 판단했다.
dragon.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