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진 산업차관, 美 반도체 보조금 이슈에 "한미가 윈윈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반도체업체에 대규모 지원하되 對中투자 제한…한국 기업 '부담'
"전기차 핵심 광물 기준 빨리 나오길…철강 쿼터 문제 기회 생길 것"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보조금 후속 조치 등을 논의하기 위해 2박 3일 일정으로 15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했다.
장 차관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취재진을 만나 "IRA 후속 조치와 수출통제 이슈, 철강 232조와 관련한 유연성 문제 등 미국 측과 협력할 사안이 많다"며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걸림돌 문제도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협상뿐 아니라 기술협력 분야도 같이 얘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차관은 미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현안과 관련해 "미국 측이 우리 입장을 많이 고려하고 있고, 한미관계가 어느 때보다 좋기 때문에 상호 호혜적으로 윈윈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 상무부는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신청 절차, 보조금 지급 일정 등 세부 내용을 이번 달 하순에 발표할 예정이다.
대미 투자를 속속 발표하고 있는 한국 관련 업계도 기대 속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8월 서명해 공포한 반도체법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지원에 390억 달러(약 48조9천억원), 연구개발(R&D)·인력 개발에 132억 달러(약 16조5천억원)를 각각 투입하고 기업 설비투자 비용의 25%에 해당하는 세액공제도 제공하는 등 대규모 지원 내용을 담고 있다.
대신 이 법은 미국의 보조금과 지원금을 받은 기업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지 못 하게 하는 가드레일(안전장치) 조항이 포함돼 있어 한국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IRA에 따른 전기차 후속 조치에 대해 장 차관은 "상용차 문제는 우리 의견이 많이 반영됐고, 태양광 등 우리가 얻을 기회가 많았다"며 "마지막 단계에서 광물 기준 등 빨리 기준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은 IRA에 따라 내년부터 북미에서 채굴된 광물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미 재무부는 다음 달 핵심 광물과 배터리 부품과 관련한 잠정 하위 규정을 발표할 예정으로, 한국 정부는 규정 내 핵심 광물 원산지에 우리 기업이 광물을 조달하는 국가가 포함되도록 설득 중이다.
이어 장 차관은 한국산 철강 제품의 대미 수출 물량 제한 이슈에 대해 "최근 IRA와 관련해 미국에 전기차 투자가 많은데 그게 철강 쿼터 때문에 미 업체들도 진행이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며 "철강 쿼터는 미 민주당 정부에서 민감하고 정치적 이슈여서 쉽지 않지만, 미국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 있으니 우리가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고율 관세를 부과했고, 이를 피하려면 쿼터제를 택하라고 해 한국은 일정 수출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했다.
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 쿼터제를 택하지 않은 유럽연합(EU), 일본, 영국과 재협상을 통해 일정 물량 관세를 철폐하고 이를 넘어선 물량에 관세를 매기는 저율할당관세 방식의 합의를 해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됐다.
미 정부는 우리 정부의 재협상 요구를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장 차관은 이날 로펌, 싱크탱크, 반도체협회 등을 접촉하고 16일에는 돈 그레이브스 상무부 부장관과 백악관 고위 관계자 등을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
"전기차 핵심 광물 기준 빨리 나오길…철강 쿼터 문제 기회 생길 것"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보조금 후속 조치 등을 논의하기 위해 2박 3일 일정으로 15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했다.
장 차관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취재진을 만나 "IRA 후속 조치와 수출통제 이슈, 철강 232조와 관련한 유연성 문제 등 미국 측과 협력할 사안이 많다"며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걸림돌 문제도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협상뿐 아니라 기술협력 분야도 같이 얘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차관은 미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현안과 관련해 "미국 측이 우리 입장을 많이 고려하고 있고, 한미관계가 어느 때보다 좋기 때문에 상호 호혜적으로 윈윈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 상무부는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신청 절차, 보조금 지급 일정 등 세부 내용을 이번 달 하순에 발표할 예정이다.
대미 투자를 속속 발표하고 있는 한국 관련 업계도 기대 속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8월 서명해 공포한 반도체법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지원에 390억 달러(약 48조9천억원), 연구개발(R&D)·인력 개발에 132억 달러(약 16조5천억원)를 각각 투입하고 기업 설비투자 비용의 25%에 해당하는 세액공제도 제공하는 등 대규모 지원 내용을 담고 있다.
대신 이 법은 미국의 보조금과 지원금을 받은 기업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지 못 하게 하는 가드레일(안전장치) 조항이 포함돼 있어 한국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IRA에 따른 전기차 후속 조치에 대해 장 차관은 "상용차 문제는 우리 의견이 많이 반영됐고, 태양광 등 우리가 얻을 기회가 많았다"며 "마지막 단계에서 광물 기준 등 빨리 기준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은 IRA에 따라 내년부터 북미에서 채굴된 광물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미 재무부는 다음 달 핵심 광물과 배터리 부품과 관련한 잠정 하위 규정을 발표할 예정으로, 한국 정부는 규정 내 핵심 광물 원산지에 우리 기업이 광물을 조달하는 국가가 포함되도록 설득 중이다.
이어 장 차관은 한국산 철강 제품의 대미 수출 물량 제한 이슈에 대해 "최근 IRA와 관련해 미국에 전기차 투자가 많은데 그게 철강 쿼터 때문에 미 업체들도 진행이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며 "철강 쿼터는 미 민주당 정부에서 민감하고 정치적 이슈여서 쉽지 않지만, 미국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 있으니 우리가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고율 관세를 부과했고, 이를 피하려면 쿼터제를 택하라고 해 한국은 일정 수출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했다.
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 쿼터제를 택하지 않은 유럽연합(EU), 일본, 영국과 재협상을 통해 일정 물량 관세를 철폐하고 이를 넘어선 물량에 관세를 매기는 저율할당관세 방식의 합의를 해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됐다.
미 정부는 우리 정부의 재협상 요구를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장 차관은 이날 로펌, 싱크탱크, 반도체협회 등을 접촉하고 16일에는 돈 그레이브스 상무부 부장관과 백악관 고위 관계자 등을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