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원, '유물과 마주하다 - 내가 만난 국보·보물' 발간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가 됐다고?…우리 문화재의 숨은 이야기
1920년대 경기도 팔당 인근에 살던 한 할머니가 나물을 캐다가 흰색 병을 발견했다.

목이 길어 참기름을 담기에 좋을만한 병이었다.

할머니는 직접 짠 참기름을 병에 담아 상인에게 1원을 받고 팔았다.

고소한 냄새만 날 것 같은 이 병을 주목한 건 당시 경성(지금의 서울)에 살던 일본인 골동품상이었다.

부인이 산 병이 조선백자임을 알아본 그는 다른 골동품상에게 이를 60원에 팔았다.

이후 여러 수집가를 거쳐 1936년 열린 경매에서 낙찰된 금액은 당시 돈으로 1만4천580원.
기와집 15채에 해당하는 금액이자 조선백자로서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이 '참기름병'을 손에 넣은 사람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보화각(오늘날 간송미술관)을 세운 간송 전형필(1906∼1962)이었다.

훗날 정해진 명칭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97년 지정된 우리나라 국보다.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가 됐다고?…우리 문화재의 숨은 이야기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을 비롯해 국보·보물로 지정된 문화유산 13건을 조사한 내용 등을 정리한 '유물과 마주하다 - 내가 만난 국보·보물'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책자는 미술문화재연구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내용을 흥미롭게 풀어냈다.

보통 국보·보물 정기 조사에서는 각 문화유산의 상태, 보관 상황 등을 점검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용품을 전달한다.

연구진들은 이런 내용에 더해 각 유물에 숨겨진 일화나 조사 소회 등을 책에 담았다.

6·25 전쟁 당시 목숨을 건 피난길에서 조상의 초상화를 챙기느라 고군분투한 후손의 노력, 딸이나 아들 혹은 처가나 외가를 구분하지 않은 재산 상속 이야기 등을 엿볼 수 있다.

각 유물의 세부 모습과 조사 장면을 담은 사진을 더해 현장의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책자는 문화유산 조사와 보존·관리에 도움을 준 개인 소장가, 문중, 사찰, 전국 국·공·사립 도서관과 박물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에도 공개된다.

연구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미술·기록 문화유산이 안전하게 전승돼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현장 조사와 심층 연구를 병행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가 됐다고?…우리 문화재의 숨은 이야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