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돌연변이 추적하면 표적치료 효과 극대화"
"정상세포가 담낭암 되는 '돌연변이의 진화' 규명"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원·강민수 교수팀은 정상적인 담낭(쓸개)의 상피세포가 전암성 병변을 거쳐 담낭암과 전이성 담낭암이 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담낭암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 쓸개즙을 농축,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담낭에 생긴 암세포 덩어리를 말한다.

담낭암은 세계 평균 발병률이 전체 암 중 20위로 낮지만, 한국은 8위로 높은 편이다.

대부분은 상당히 진행된 후에 발견돼 완치가 쉽지 않은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전이성 담낭암으로 사망한 환자 2명에 대한 부검 등을 통해 암세포의 발병 및 전이 과정을 살폈다.

이 결과 담낭암은 암 전 단계인 전암성 병변에서부터 세포들의 돌연변이 분포가 매우 다양했으며, 전암성 병변을 이루는 돌연변이 세포군집(클론)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원발암(암세포가 처음으로 발생한 부위의 암)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클론끼리 싸우는 과정에서 다윈의 진화론에 나온 '적자생존의 원칙' 또는 '선택적 싹쓸이'가 적용되면서 원발암으로 변하게 된다"면서 "이렇게 진화된 원발암을 구성하는 클론도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돌연변이를 획득하고 또 다른 경쟁을 거쳐 그중 일부가 다른 장기에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복잡한 과정이 담낭암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지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담낭암의 치료가 어렵다는 것이다.

강민수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담낭암의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는 전암성 단계에서부터 존재하지만, 돌연변이 중 상당수는 암세포 일부에서만 관찰된다"면서 "따라서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항암제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돌연변이를 가진 종양 클론의 시간과 공간적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됐다.

"정상세포가 담낭암 되는 '돌연변이의 진화' 규명"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