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美 해군, 10년간 '부품 돌려막기' 늘고 정비는 늦어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회계감사원 "주력함 10종 운영지원비 17.3% 증가했지만 항행시간은 줄어"
미국에서 해군력이 중국에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미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 과거보다 가동률이 떨어지고 정비에 드는 비용과 시간은 증가했다는 미 정부기관의 평가가 나왔다.
미 회계감사원(GAO)은 해군이 주로 사용하는 함정 151척의 2011∼2021 회계연도 관리 비용 등 운영 현황을 분석한보고서를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GAO는 한 함정의 부품을 빼 다른 함정을 수리하는 데 사용하는 '부품 돌려막기', 함정의 주 임무 수행 능력을 저해하는 사고·고장, 계획보다 정비 기간이 길어지는 '정비 지연'이 증가한 반면 함정이 실제 임무 수행이나 훈련에 투입되는 항행 시간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함정은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비롯해 티콘데로가급 순양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프리덤급 연안전투함(LCS), 인디펜던스급 LCS,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샌안토니오급 상륙수송함, 위드비아일랜드급 상륙선거함, 하퍼스페리 상륙선거함 등 총 10종이다.
이들 함정 10종은 2022년 기준 해군의 전체 전투함 292척 가운데 약 절반인 153척을 차지했다.
GAO는 이들 함정을 유지하는 데 드는 총 운영지원비(O&S)가 2020 회계연도 171억달러로 2011 회계연도 대비 25억달러(17.3%)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정비비용이 62억달러로 12억달러(24%) 늘었다.
이 기간 해군의 함정 수는 33척(28%) 증가했다.
GAO는 10개 함종 중 9개에서 새 부품을 구하지 못해 다른 함정의 부품을 재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업체가 더 생산하지 않거나 자재 부족 등 공급망 문제 때문이다.
정비 지연의 경우 함정당 평균 5일에서 19일로 늘었다.
2019 회계연도에는 함정당 평균 40일이 지연되기도 했다.
또 니미츠급 항모와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하퍼스페리 상륙선거함 등 3종을 제외한 나머지 함종의 항행시간당 평균 운영지원비가 증가했다.
항행시간 자체가 감소한 가운데 정비가 늦어진 탓에 제때 관리하지 못한 함정의 상태가 더 나빠졌고 이에 따라 다시 정비·운영비용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일어났다고 GAO는 분석했다.
/연합뉴스
미 회계감사원(GAO)은 해군이 주로 사용하는 함정 151척의 2011∼2021 회계연도 관리 비용 등 운영 현황을 분석한
GAO는 한 함정의 부품을 빼 다른 함정을 수리하는 데 사용하는 '부품 돌려막기', 함정의 주 임무 수행 능력을 저해하는 사고·고장, 계획보다 정비 기간이 길어지는 '정비 지연'이 증가한 반면 함정이 실제 임무 수행이나 훈련에 투입되는 항행 시간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함정은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비롯해 티콘데로가급 순양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프리덤급 연안전투함(LCS), 인디펜던스급 LCS,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샌안토니오급 상륙수송함, 위드비아일랜드급 상륙선거함, 하퍼스페리 상륙선거함 등 총 10종이다.
이들 함정 10종은 2022년 기준 해군의 전체 전투함 292척 가운데 약 절반인 153척을 차지했다.
GAO는 이들 함정을 유지하는 데 드는 총 운영지원비(O&S)가 2020 회계연도 171억달러로 2011 회계연도 대비 25억달러(17.3%)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정비비용이 62억달러로 12억달러(24%) 늘었다.
이 기간 해군의 함정 수는 33척(28%) 증가했다.
GAO는 10개 함종 중 9개에서 새 부품을 구하지 못해 다른 함정의 부품을 재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업체가 더 생산하지 않거나 자재 부족 등 공급망 문제 때문이다.
정비 지연의 경우 함정당 평균 5일에서 19일로 늘었다.
2019 회계연도에는 함정당 평균 40일이 지연되기도 했다.
또 니미츠급 항모와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하퍼스페리 상륙선거함 등 3종을 제외한 나머지 함종의 항행시간당 평균 운영지원비가 증가했다.
항행시간 자체가 감소한 가운데 정비가 늦어진 탓에 제때 관리하지 못한 함정의 상태가 더 나빠졌고 이에 따라 다시 정비·운영비용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일어났다고 GAO는 분석했다.
/연합뉴스